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산업공학
· ISBN : 9791185508474
· 쪽수 : 667쪽
· 출판일 : 2021-01-18
책 소개
목차
Ⅰ. 기계 산업과 관련한 기초 데이터 분석
1. 기계와 사람의 디지털 연결
1) 초창기 기계와 인간의 협동
2) 다양한 기계의 등장과 인간 역할의 변화
3) 자율주행차와 스마트팩토리가 가져온 변화
(1) 자율주행 기술에 의한 일자리 변화
가. GM의 구조조정 이유
나. 자율주행 트럭이 부상하는 이유
(2) 스마트팩토리 및 협동로봇
가. 스마트팩토리로 인한 일자리 변화
나. 인간과 로봇의 공진화를 위한 협동로봇의 등장
다. 일본의 소사이어티 5.0
(3) 기술 발전에 따른 일자리 변화에 예외 없는 한국
(4) 사람과 기계의 공존
가. 로보틱스 디바이드의 등장
나. 테슬라 사례로 살펴본 인간과 기계의 역할
다. 개인 트랜스포메이션 능력을 갖춰야
2. 브레이크 걸린 제조업 생산능력, 국내 고용 발목 잡나?
3. 4차 산업혁명 관련 국내 기계산업의 수출경쟁력 분석
1) 분석 배경
2) 국내 로봇 및 항공?드론산업 현황
3) 무역특화지수를 통한 주요국과의 수출경쟁력 분석
4) 수출입 단가 차이에 의한 산업별 기술 수준 분석
5) 결론
4. 한?중?일 공작기계 및 기계요소 수출 경쟁력 분석
1) 배경 및 분석 범위
2) 한?중?일 수출입 구조 변화
3) 한?중?일 수출경쟁력 분석
(1) 분석 방법
(2) 분석 결과
4) 결론
5. 국내 제조장비 기업의 성장/혁신/수익 패턴 분석
1) 서론
2) 주요 제조장비 산업별 기업의 성장/혁신/수익 패턴 분석
(1) 분석 방법 및 범위
(2) 반도체ㆍ디스플레이 장비
(3) 공작기계
(4) 산업용 로봇
3) 결론
Ⅱ. 국내외 기계산업 시장 분석
1. 글로벌 기계 산업 시장분석
1) 중국, 인프라 투자 확대로 건설기계 산업 초호황 지속
2) 중국 건설기계, Local의 M/S 확대 Vs. 해외기업 수익성 확보
3) 2020년은 중국, 2021년은 미국과 인도 회복 기대
4) 건설기계 Peer 컨센서스는 상향 중
5) 24개월만에 (+) 전환한 일본 공작기계 해외 수주
6) 전세계 제조업 CAPEX의 선행지표, 2021년 턴어라운드 유력
7) 공작기계 Peer 컨센서스는 반전 초입
8) 미국 제조업계 반등과 동행할 방위산업
9) De-carbonization, 중국의 탈 화석연료에 대한 공격적인 정책
10) De-carbonization, 전세계의 정책 공조화
11) De-carbonization, 풍력: 국내 설치 로드맵은 2022년부터
12) De-carbonization, 수소: Green / Blue / Grey / Brown
13) De-carbonization, 수소: 운송방식 다변화는 초기 개발 단계
2. 일반 기계산업 시장 분석
1) 국내외 시장 분석
(1) 세계 시장 분석
가. 세계 시장 동향 및 전망
나. 해외업체 동향
(2) 국내 시장 분석
가. 국내 시장 동향 및 전망
나. 국내업체 현황
다. 국내업체 동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해외기술 동향
(2) 국내기술 동향
3) 국내외 정책 분석
(1) 해외 정책 동향
(2) 국내 정책 동향
4)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연구개발 추진전략
(2) 전략제품
3. 정밀기계 산업 시장 분석
1) 국내외 시장 분석
(1) 세계 시장 분석
(2) 국내시장 분석
가. 국내시장 동향 및 전망
나. 국내 업체 현황
다. 국내 업체 동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해외기술 동향
(2) 국내기술 동향
가. 정밀기계 적용기술 동향
나. 국내기업 기술동향
3) 국내외 정책 분석
(1) 해외정책 동향
(2) 국내정책 동향
4)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연구개발 추진전략
(2) 전략제품
4. 2021년 정부 예산안으로 본 국내 방산/기계 업종 분석
1) 2021년 예산안 및 2020~2024 국가재정운용계획
2) 국방예산은 52.9조원, 전년대비 5.5% 증가
3) 저탄소 분산형 에너지 예산 4.3조원 배정
4) 주요 커버 방산 기계 기업의 수혜 예상
Ⅲ. 국내외 기계산업 세부 분야별 시장 분석
1. 굴삭기 분야
1) 2020년 9월, 굴삭기 수출은 중국을 비롯해 주요 국가들로부터 회복 추세 확연
2) 중국에서 굴삭기 판매량 호조로 글로벌 비중이 50%에 육박
3) 중동에서 플랜트 수주 증가는 관련 기업에 호재
4) 방위산업 분야는 실적 안정화와 함께 수주 약진이 기대되는 업체를 주목
5) 국내 및 해외 기계 업종 주요 업체들의 주가 추이
6) 턴어라운드 기업인 현대일렉트릭과 차별화된 성장성의 방산 기업은 관심 증대
2. 건설기계 분야
1) 초호황인 중국, 호황에 진입할 미국, 인도ㆍ유럽은 반등 모색
(1) 2020년 중국 굴삭기 시장규모 전망치, 20만대 → 25만대 → 27만대
(2) 인도시장, Lockdown에서 벗어난 징후 포착
(3) 북미ㆍ유럽 건설경기지수 반등, 시장 회복 기대감 상승
(4) 국내 건설기계 3사, Peer 대비 극심한 저평가 구간
2) 건설기계 지표, 선진시장이 움직이려 함
(1) 선진 시장의 데이터 차트북
(2) 중국 시장 현황 및 데이터 차트북
3) 두산인프라코어 매각 이슈
3. 풍력 발전 산업 분야
1) 풍력발전 현황과 해상풍력 발전 전망
(1) 풍력산업에 관심이 집중되는 이유
(2) 풍력 시장 전망
2) 국내 풍력발전 정책
(1) 그린뉴딜 계획
(2) 풍력 계획: 서남해와 울산
3) 한국의 서플라이 체인과 투자 아이디어
(1) 터빈은 지켜보자: 2024년 무렵 커버리지 확대해 갈 것
(2) 타워: 글로벌 씨에스윈드, 국내의 유니슨, 동국S&C 등
(3) 해상풍력 하부구조물은, 타워보다 4 배 큰 시장
(4) 부유식 구조물(Floater)은 고정식 하부구조물보다 또 4배 큰 시장
4. 농기계 산업 및 무인/자율 농기계 분야
1) 국내외 농기계 산업
(1) 개요
(2) 국내외 농기계 산업 동향
가. 글로벌 시장 동향
나. 글로벌 업체 동향
다. 국내시장 동향
라. 주요 시장 동인
(3) 국내외 국가 정책동향
가. 일본
나. 중국
다. 한국
라. 표준화 동향
(4) 결론
가. 분석결과
나. 시사점 및 정책제언
[붙임] 농업기계화 촉진법 시행규칙 제1조의2
2) 무인?자율 농기계 분야
(1) 무인?자율농기계의 개념
가. 정의
나. 국내외 기술동향
다. 무인·자율농기계 산업의 특징
(2) 농기계 무인?자율화 이슈
가. 글로벌 농업환경과 농업의 역할 변화
나. 농기계 무인?자율화 이슈의 부상과 중요성
(3) 한국 농업 및 농업과학기술에 주는 시사점
가. 한국 농업에 있어 농기계 무인·자율화 도입의 필요
나. 농기계 무인?자율화 도입 및 확산에 있어 한계와 대응
(4) 해외 주요국의 무인·자율농기계 기술개발 동향
가. 미국
나. 일본
다. 유럽
라. 호주
(5) 해외 주요국 정책 동향
가. 일본
나. 미국
다. 중국
(6) 국내 산업 및 정책 동향
가. 산업 동향과 이슈
나. 정책 동향과 이슈
다. 연구개발 투자동향
라. 주요 이슈 및 시사점
마. 연구 결과
바. 시사점
5. 방위산업 분야
1) 번개사업에서 KF-X, KDDX까지
2) 전투체계의 발전을 위해 우리 무기체계 더 늘어야
3) 국산 탄도미사일 현무-4
(1) 1990년대 현무-1
(2) 한미 미사일 지침 개정과, 현무-2
(3) 괴물 미사일 현무-4: 막 개발 성공
(4) KTSSM과 함께, 수출 동력 될 것
4) KDDX : 전투체계, 통합마스트, 소나, 유도탄
(1) 한국 구축함의 도입 이력
(2) KDDX와 KDX-3
(3) KDDX: 한국형 미니 이지스함의 개발 경과
(4) KDDX의 수혜 업체들
5) KF-X 사업, 4세대에서 4.5세대까지
(1) 미들급 한국형 전투기 확보 차원에서 KF-X 사업 착수
(2) 시제품 제작 중, 불과 1년 후 시제1호기 출고
(3) 블록2 와 블록3로 4.5 세대 전투기로 진화
(4) 의미: 미들급 전투기로 LCC 낮추고, 용이한 성능개량
(5) 그 다음 의미: T-50을 뛰어넘는, 미래 수출효자 K-방산이 될 것
6) K-방산의 개화기
(1) KF-X가 수출될 날을 기다리며
가. 하이엔드~미들급~로우급으로 나뉘는 전투기 시장
나. 사고 싶어도 팔지 않는 하이엔드급
다. KF-X는 로우급~미들급 시장을 타겟팅
(2) K-9자주포와 현궁
(3) 레드백: 시작부터 다른 자주적 프로젝트
가. 태생이 한국 국방과제가 아닌, 국외시장 공략의 시발점 레드백21
나. 랜드400 사업 소개
다. 랜드400에 도전하는 한화디펜스의 레드백
라. 사업경과 : 출정식
마. 그 의미: 한국군 때문이 아닌 자주적 국외시장 공략 & T-X와 같은 프리미엄
(3) 방추위와 계절성
가. 방위사업청과 방위사업추진위원회(이하 방추위)
나. 국방중기계획에서 성장이 예약되어 있는 방산업체
Ⅳ. 국내외 기계 산업 특허 동향 분석
1. 고효율 고압 및 유압 밸브 제어 시스템 분야
1) 특허 동향
2) 주요 출원인 동향
2. 고효율 전기 및 전기유압 액추에이터 분야
1) 특허 동향
2) 주요 출원인 동향
3. 굴삭기용 Attachment 분야
1) 특허 동향
2) 주요 출원인 동향
4. 다기능 자동차용 시트 모듈 분야
1) 특허 동향
2) 주요 출원인 동향
5. 이종소재 접합 시스템 분야
1) 특허 동향
2) 주요 출원인 동향
6. 자동차 보조공조 제품 분야
1) 특허 동향
2) 주요 출원인 동향
7. 금속 3D 적층 및 절삭 장치 분야
1) 특허 동향
2) 주요 출원인 동향
8. 레이저 응용 복합 가공 및 리페어 장비 분야
1) 특허 동향
2) 주요 출원인 동향
9. 미세전자기계시스템 분야
1) 특허 동향
2) 주요 출원인 동향
10. 스마트 정밀기계 유닛 분야
1) 특허 동향
2) 주요 출원인 동향
11. 초정밀 및 하이브리드 가공시스템 분야
1) 특허 동향
2) 주요 출원인 동향
12. 생산기계부품 분야
1) 볼스크류 / LM가이드
(1) 해외 업체
가. 특허출원 동향
나. 해외 주요 출원업체 분석
(2) 국내 업체
가. 특허출원 동향
나. 국내 주요 출원업체 분석
(3) 기술 집중도
2) 스핀들
(1) 해외 업체 동향
가. 특허출원 동향
나. 해외 주요 출원업체 분석
(2) 국내 업체
가. 특허출원 동향
나. 국내 주요 출원업체 분석
(3) 기술 집중도
Ⅴ. 기계 산업의 기술동향 분석
1. 포스트 코로나 시대, 유망 기계 기술 전망
1) 경기 전망
2) 코로나19에 따른 변화 양상
3)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유망 기술
(1) 제조 분야
(2) 교통?물류 분야
(3) 에너지 분야
(4) 환경 분야
(5) 보건?의료 분야
(6) 공공?안전 분야
4) 결론
2. 굴착기용 전기구동 실린더 기술개발 동향
1) 굴착기용 전기구동 실린더 개요
(1) 전기 굴착기
(2) 전기구동 실린더 구조 및 작동 원리
(3) 전기구동 실린더 특장점
(4) 운동변환 기구
2) 국내외 전기구동 실린더 기술동향
(1) 국내 전기구동 실린더 기술동향
(2) 전기구동 실린더 국외 기술동향
3) 굴착기용 전기구동 실린더 기술개발 방향
(1) 실린더 및 전동기의 경량화
(2) 내구성과 추력밀도를 고려한 구조 최적설계
4) 정책적 제언
3. 제조장비의 공정혁신에 대한 국내외 기술 및 수요 분석
1) 기술적 특징
(1) 제조장비산업 주요 현황
(2) 제조장비의 공정혁신 필요성
2) 분야별 제조장비 주요 동향
(1) 정밀가공 장비 분야
(2) 산업공정 장비 분야
(3) 반도체 디스플레이 장비 분야
(4) 로봇자동화 장비 분야
3) 국내외 공정혁신 제조장비 사례 분석
(1) 정밀가공 장비 분야
(2) 산업공정 장비 분야
(3) 반도체 디스플레이장비 분야
(4) 로봇자동화 장비 분야
4) 주요 산업별 공정혁신 제조장비 수요 분석
5) 주요 시사점 및 정책적 제안
4. 스마트 건설기계 연동형 드론측량 시스템 개발
1) 신속 정확성 확보하기 위한 기획
(1) 건설시장 개관
(2) 국내시장 규모 및 전망
(3) 세계시장 규모 및 전망
(4) 과제 핵심기술 및 주요 연구내용
(5) 기대효과
Ⅴ. 기계 산업의 국가별 시장 및 정책 분석
1. 미국 공작기계
2. 중국
1) 중국제조 2025 주요 제조장비 개발 계획
(1) 중국제조 2025
(2) 중국제조 기술노선도와 2025 우리나라 기술 현황 비교
가. 고급 수치제어 공작기계와 핵심부품
나. 로봇 및 핵심부품
다. 반도체 장비
라. 농기계
(3) 대응 방안
2) 중국 공정기계 내수?수출시장 점유율 확대 중
3. 캐나다
1) 농기계 산업 동향
2) 식품 포장기계 시장 동향
4. 이집트
1) AD(자체파괴형) 주사기 제조기계 시장동향
2) 건설기계 시장 동향
5. 인도
1) 건설기계 시장동향
2) 섬유기계 시장동향
6. 러시아
1) 석유가스 기계설비 시장
2) 농업기계 산업
(1) 산업 특성
(2) 산업의 수급 현황
(3) 진출 전략
3) 목공기계 산업
(1) 러시아 목공기계 산업 현황
(2) 러시아 목공기계 수입 동향
(3) 러시아 진출 주요 기업 동향
7. 스리랑카
1) 건설기계 시장 현황
2) 다목적 농기계 시장 동향
3) 포장기계 산업 동향
8. 슬로바키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