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프로그래밍 개발/방법론 > 모바일/무선/임베디드 프로그래밍
· ISBN : 9791185890708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16-11-18
책 소개
목차
제1장 매킨토시는 심리학자가 설계하고 있다 _ 1
1-1 인문 계열과 자연 계열 _ 2
1-2 인간에게 컴퓨터란 무엇인가? _ 6
1-3 비유의 프로는 누구인가? _ 12
1-4 메타 미디어성 발휘와 메타포의 한계 _ 15
1-5 메타포가 없는 디자인 _ 18
1-6 경험이 중심이 되는 설계로 _ 21
1-7 경험을 디자인하는 관점 _ 26
제2장 인터페이스란 무엇인가? _ 29
2-1 투명성에 대한 접근법 1: 도구의 투명성 _ 30
2-2 투명성에 대한 접근법 2: 환경의 투명성 _ 36
2-3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역할 ― ‘가능’의 디자인 _ 50
제3장 정보의 신체화 - 투명성에서 자기 귀속감으로 _ 55
3-1 도구의 투명성 _ 56
3-2 비주얼 햅틱스 _ 61
3-3 던진 공은 어디까지가 신체인가? _ 71
3-4 멀티 더미 커서 실험 _ 75
3-5 인지적 비대칭성 ― 내가 당신이 아닌 이유 _ 83
3-6 커서는 신체의 연장 ― 움직임의 연동이 신체를 연장한다 _ 85
3-7 자기 귀속감 ― 새로운 도구 설계의 키워드 _ 87
3-8 아이폰의 GUI는 왜 기분 좋은가? _ 90
3-9 자기 귀속감과 감촉 ― 무거움, 경쾌함 _ 96
3-10 자기 귀속, 투명성, 도구성, 경쾌함, 타인 _ 100
3-11 새로운 UX의 기초 _ 103
제4장 정보의 도구화 - 인터넷 전제 도구의 본연의 모습 _ 107
4-1 현실에 직접 작용하는 인터페이스로 _ 108
4-2 인터넷 인터페이스/인터랙션 _ 113
4-3 정보의 도구화 사례 _ 117
4-4 네트워크를 전제로 한 설계 _ 123
4-5 암묵성과 인터페이스 _ 128
제5장 정보의 환경화 - 인터랙션 디자인의 기초 _ 133
5-1 컴퓨터 이용의 문맥 변화 _ 134
5-2 행위, 활동에 융합시키는 디자인 _ 136
5-3 PC 앞을 떠나 이제는 움직이면서 정보와 접한다 _ 138
5-4 싱글 인터랙션에서 패러렐 인터랙션으로 _ 145
5-5 제약이 만들어내는 비구속성 _ 149
제6장 디자인의 현상학 _ 151
6-1 현상 레이어의 디자인론 _ 152
6-2 시각 세계는 결로 만들어져 있다 _ 158
6-3 리얼리티에서 경험으로 ― 주관과 객관 _ 165
6-4 사물과 서비스의 현상 _ 174
6-5 디자인 현상학을 한다 ― 세계는 하나의 OS다 _ 179
제7장 미디어 설계에서 인터페이스로 _ 181
7-1 정보와 물질을 나누지 않는 디자인 _ 182
7-2 메타 미디어의 디자이너들 _ 189
에필로그 _ 195
책속에서
이런 세상에서는 어떤 인터페이스로 접속하는 것이 좋을까? 이제 우리는 ‘정보를 어떻게 설계하여 사용할 것인가’라는 물음에 직면해 있다. 특히 사람들과 접점을 어떻게 가질 것인가에 대한 답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정보는 어떻게 신체에 가까워지는가? 정보는 어떻게 도구처럼 현실 세계에 작용하는가? 정보는 어떻게 우리 주변에 아로새겨져 우리와 관계를 갖는가?
키워드는 ‘경험’이다. 경험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 또는 인간의 경험을 어떻게 확장시킬 것인가의 문제다. 경험이란 좋은 생각이기는 하나 의미가 너무 폭넓은 말이다. 논의의 문맥에 따라서는 경험의 의미도 흔들리게 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배우고 있다면, 아마도 한 번쯤은 ‘어포던스(affordance)’라는 말을 접해봤을 것이다. 어포던스는 미국의 지각심리학자 깁슨에 의해 구축된 생태 심리학의 중요 키워드다. 인지적 시점에서 사용 편의성이나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 미국의 심리학자 노먼의 저서 《디자인과 인간 심리》에 의해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