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Pedretti's 작업치료학

Pedretti's 작업치료학

(신체기능장애를 위한 실행기술)

Heidi Mchugh Pendleton, Winifred Schultz-krohn (지은이), 최혜숙 (옮긴이)
  |  
한미의학
2018-10-25
  |  
7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78,000원 -0% 0원 0원 78,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Pedretti's 작업치료학

책 정보

· 제목 : Pedretti's 작업치료학 (신체기능장애를 위한 실행기술)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임상의학 > 재활의학
· ISBN : 9791186089880
· 쪽수 : 1396쪽

목차

PART I 개요: 신체적 기능장애에 대한 작업치료 기초, 1

1. 작업치료실행체계와 신체장애인을 위한 작업치료, 1
작업치료실행체계 3판: 개요, 2
OTPF-3:설명, 4
작업치료 과정, 11
OTPF-3의 학습 전략, 16
OTPF-3:이 책에서의 활용, 16

2. 신체장애 작업치료의 역사와 임상의 변화, 19
작업치료의 근원, 19
확장과 특성화, 21
장애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 장애인 권익/자립생활 운동, 22
인본주의적이고 과학적인 처치의 제공: 전문 영역 내의 지속적인 논의, 23
현대의 임상: 재활모델의 의도하지 않은 결과, 25

PART II 작업치료 과정 및 실행, 29

3 작업치료실행체계의 신체 기능장애에 적용, 29
SECTION 1: 작업치료 과정, 30
작업치료 과정의 단계들, 30
중재 과정에서의 임상적 추론, 37
배경에서의 임상적 추론, 38
클라이언트 중심 치료, 39
이론, 실행모델, 이론의 틀, 40
작업치료 전문가들의 협력, 43
다른 전문가들과의 협력, 44
윤리학, 45

SECTION 2: 신체장애를 위한 중재 환경, 46
연속적인 건강관리체계, 47
새롭게 주목받는 치료: 원격의료, 55

4 작업치료를 위한 근거기반실행, 57
근거기반실행의 모델, 58
체계적 작업치료실행 모델, 58

5 신체적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 대한 건강증진과 웰빙, 69
역사적인 영향과 고려, 70
건강증진 원리 및 실행, 73
건강증진과 질병예방에 관련된 작업치료, 75
건강증진과 작업참여, 77
이차적 상태와 장애인, 78
평가: 건강과 웰빙의 증진 강조하기, 79
중재, 80

6 장애의 개인적, 사회적 배경: 작업치료사의 영향, 83
클라이언트 중심의 자기 보고, 84
개인적 배경, 85
장애의 사회적 모델, 88
사회적 배경, 90
상호작용적 과정: 장애인과 환경, 99

7 작업치료에서의 교수활동, 107
SECTION 1: 작업치료에서의 교수전략, 108
왜 작업치료사는 가르치는가, 108
학습의 단계, 109
학습능력, 109
절차적 학습과 서술적 학습, 109
작업치료에서의 교수와 학습의 원리, 110
학습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115

SECTION 2: 자아의 치료적 사용: 작업치료에서 마음챙김의 구현, 116
자아의 치료적 사용, 117
자아의 치료적 사용의 발달에 대한 환경적 영향, 119
마음챙김과 자아의 치료적 사용의 향상, 120
서양의학, 건강관리, 사회에서의 마음챙김, 123
작업치료실행에서 마음챙김의 적용, 128
작업치료와 마음챙김의 통합, 130
지금 적용하기: 실습 설명, 131

8 작업치료 서비스의 문서화, 139
문서화의 목적, 140
최적의 실행, 140
임상적/전문적 추론 기술, 142
법적 책임, 143
초기평가, 144
중재 계획, 145
경과 보고서, 148
전자와 종이 기반 문서, 151
기밀과 문서, 157

9 임상에서의 안전 문제와 감염관리, 163
임상에서의 안전 권고사항, 164
특수 장비의 주의사항, 164
감염관리, 167
사고와 응급상황, 172

PART III 작업수행과 수행영역: 평가와 중재, 179

10 일상생활활동, 179
일상생활활동과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의 정의, 180
ADL과 IADL의 분석과 훈련에서 고려할 요인, 181
ADL과 IADL의 평가, 185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200
일상생활활동과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훈련, 222
특정한 일상생활활동과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기술, 224

11 이동성, 267
SECTION 1: 기능적 보행, 269
보행의 기초, 270
기능적 보행 활동, 273

SECTION 2: 휠체어 평가와 이동, 276
휠체어, 276
휠체어 평가, 276
휠체어 주문 시 고려사항, 277
임대 대 구입, 278
휠체어 선택, 278
휠체어 측정 과정, 282
아동용 휠체어, 284
대형 휠체어, 284
부가적인 좌석 및 자세 고려사항, 285
부속품, 286
타당한 이유/처방전 준비, 287
휠체어 안전, 287
이동 기술, 288
선 자세에서 축으로 돌기 이동, 291
미끄럼판 이동, 291
굽힌 자세에서 축으로 돌기 이동-침대에서 휠체어로, 292
보조 이동, 294
집 안에서의 이동, 299
자동차 이동, 300

SECTION 3: 수송, 지역사회 이동성 및 운전평가, 301
작업치료의 역할, 301
대중교통, 304
개인 교통, 307
승객으로서 여행하기, 309
보행자와 자전거 타는 사람, 312
운전, 314
운전에서의 임상 평가, 316
차량 내 평가, 321
다양한 장애에 대한 중재의 의미, 329

12 성생활과 신체장애, 335
성생활과 장애에 대한 반응, 337
가치관의 명백화, 339
성생활사, 340
성적학대, 341
신체 장애의 영향, 341
교육방법, 348

13 수면과 휴식, 351
작업치료에서 수면과 휴식의 역사, 352
작업치료에서 수면의 요구, 354
작업치료의 휴식의 필요성, 354
수면과 휴식 그리고 작업적 정의, 354
사회/문화적 영향에서 수면의 역사, 355
수면장애, 361
작업치료와 수면, 373
작업치료 평가, 374
수면과 휴식에 대한 작업치료 중재, 374
다양한 실행 환경에서의 작업치료 중재, 376

14 작업평가와 작업기능강화 프로그램, 383
작업기능강화 프로그램에서 작업치료 참여의 역사, 383
작업기능강화 프로그램에서 작업치료사의 역할, 387
산업재활, 387
기능적 역량평가, 387
직업평가, 389
직무요구 분석, 390
작업기능강화/작업신체능력향상, 392
작업장평가, 393
인간공학, 395
장애예방 프로그램, 408
직무적성검사, 415
학교에서 작업장으로 전환 서비스, 417
직업준비 프로그램, 418
작업활동 그룹, 419
지역사회기반 서비스, 419
향후 경향, 421

15 미국장애인법 그리고 일, 여가, 일상생활활동의 참여를 촉진하는 관련 법, 423
미국장애인법(ADA), 424
항공기 접근법, 447
공정주거개정법, 448
중재로서의 옹호, 449

16 여가 작업, 451
신체장애를 동반한 사람들을 위한 여가와 삶의 만족도, 452
여가 작업에서의 웃음과 놀이의 이점, 453
의미 있는 여가활동: 나이, 문화적 이슈, 성별, 454
여가 작업: 평가와 중재, 458

17 보조공학, 465
보조공학이란, 466
재활, 보조, 유니버설 공학, 466
작업 참여 시 보조공학의 역할, 467
사람 인터페이스 평가, 467
할 수 있게 만드는 전자공학 장비의 종류, 468
제어공학, 478

PART IV 평가와 중재: 수행요소, 489

18 수행기술: 작업치료실행체계에서 의미하는 정의와 평가, 489
지석연
최신 작업치료실행체계(OTPF-3), 489

19 운동조절 평가, 501
위운동신경세포와 아래운동신경세포체계, 505
클라이언트-중심 접근방식 중재, 505
운동조절에 대하여 표준화된 ADL 활동 평가, 506
근육긴장도, 507
비정상적인 근육긴장도, 508
근육긴장도 평가, 512
정상적인 자세역학, 515
협응, 519
비협응, 520
협응 평가, 522
작업치료 중재, 523
재활 로봇, 528

20 작업기반 기능운동평가, 531
이혜선
임상관찰, 532
작업기반 기능운동평가, 534

21 관절가동범위, 539
관절 측정, 540
움직임의 면과 축, 541
관절 측정의 원리와 진행, 542
촉진, 543
관절 측정방법, 544
각도계, 545
측정 기록, 546
중재계획을 위한 기초로서의 평가 결과, 547
수동관절가동범위 측정기록절차, 549
움직임 선별/움직임 선별검사, 550
180도 체계 관절 측정을 위한 특정지침, 553

22 근력의 평가, 577
근력, 578
근약화의 원인, 579
근력을 평가하는 방법, 579
도수근력검사의 원칙, 587
팔의 도수근력검사, 588
하지의 도수근력검사, 639
중재계획의 기초가 되는 평가의 결과, 647

23 감각평가와 감각 기능장애의 중재, 649
몸운동영역 배열, 651
신경가소성, 651
몸감각계통(체성감각계), 652
감각둔감화, 660
감각 재교육, 661

24 뇌손상으로 인한 시각손상의 평가와 치료, 665
일상생활 작업에서의 시각 역할, 666
뇌에서 시각처리 과정에 대한 간단한 개요, 666
평가와 중재 과정, 669
시각손상이 작업수행에 미치는 영향, 671
작업치료 평가 및 중재 과정, 672
특정 시각손상의 평가 및 치료, 675

25 지각 기능장애의 평가와 중재, 707
작업치료 평가의 일반적인 원리, 708
작업치료 중재의 일반적 접근, 709
특정한 지각손상에 대한 평가와 중재, 710
지각기능장애의 행동적 양상, 719

26 인지장애로 제한을 받는 작업수행의 평가와 치료, 721
인지와 작업치료, 722
작업치료 임상(실제)을 가이드하는 모델의 개관, 723
적절한 평가도구 선택하기, 726
작업수행을 제한하는 인지기능장애 관리: 평가와 중재, 730

27 먹기와 삼키기, 749
정상 삼킴 작용의 해부학과 생리학, 750
먹기와 삼키기 평가, 755
장치를 이용한 평가, 764
중재, 767

28 통증관리, 785
김수일
통증의 정의, 786
생체심리사회적 모형, 786
통증증후군, 787
평가, 789
치료적 중재, 791

PART V 작업치료과정: 중재의 실행, 795

29 치료적 작업과 도구, 795
작업치료 중재, 796
개인, 환경 및 중재 선택과 관련된 작업과의 관계, 797
작업치료 중재 유형, 797
작업 분석과 활동 분석, 798
직업과 활동의 등급화와 적응, 799
등급화(교정), 799
준비 과제 및 준비 방법, 803
준비 과제: 치료적 운동과 치료적 활동, 803
물리적 적용 방법, 811
기계 장치, 815

30 보조기, 817
SECTION 1: 손 보조기 제작: 원리, 실행, 결정하기, 818
작업치료사의 역할, 819
손의 해부학적 구조, 820
잡기와 쥐기 패턴, 827
손의 역학과 보조기 제작의 원리, 830
보조기 분류, 832
보조기를 언제 하고 언제 하지 않는가, 836
보조기 제작 과정, 837

SECTION 2: 팔 지지대, 848
소개 및 임상추론, 848
정적 팔 지지, 849
동적 팔 지지, 850
비용, 859
섹션 2에 대한 감사의 말, 860

31 중재를 위한 전형적인 감각운동 접근법, 861
개요, 862
움직임에 대한 중추신경계의 조절, 862
감각운동 중재 접근법과의 관계, 866
운동조절의 반사와 계층적 모델, 866

SECTION 1: 전형적인 감각운동 중재 접근법들, 867
Rood 접근법, 867
브룬스트롬(움직임 치료) 접근법, 868
고유수용성신경근육촉진 접근법, 868
신경발달치료 접근법, 869

SECTION 2: 고유수용성신경근육촉진 접근법, 869
역사, 870
중재의 원리, 870
운동학습, 872
평가, 874
중재계획수립, 875

SECTION 3: 신경발달치료 접근법, 888
신경발달치료 접근법의 역사적 배경, 888
Bobath의 개발 이론: 원 개념과 시대에 따른 진화, 889
작업 참여 회복을 위해 사용되는 신경발달치료, 890
신경발달치료와 근거기반 치료, 893

32 운동학습, 897
운동학습의 기초이론, 898
강제유도 운동치료, 899
로봇공학, 904
가상현실 공학, 905

PART VI 중재 적용, 907

33 뇌혈관사고(뇌졸중), 907
뇌졸중의 정의, 908
뇌졸중의 원인, 908
뇌졸중의 결과, 909
의학적 관리, 914
뇌졸중 생존자의 평가와 중재 절차, 914
중재를 위한 이론의 틀 적용, 919
뇌졸중 후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기능적 제한, 920
신경행동/인지-지각장애로 인한 작업수행 결여, 928
팔기능장애로 인한 과제수행의 결여, 931
시각장애로 인한 과제수행의 결여, 937
심리사회적 적응, 937

34 외상성뇌손상, 941
역학, 942
병리생리학, 943
혼수와 의식의 단계, 946
임상적 증상, 949
하위 RLA 단계에서 개인의 평가, 958
하위 RLA 단계에서 개인의 중재, 959
중간 이상의 RLA 단계에서 개인의 평가, 964
중·고위 이상의 RLA 단계에서 개인의 중재, 967

35 중추신경계 퇴행성 질환, 977
개요, 978
SECTION 1: 근위축측삭경화증, 980
병태생리학, 982
임상적 특징, 982
의학적 관리, 983
작업치료 평가와 중재, 983
작업치료사의 역할, 983

SECTION 2: 알츠하이머병, 986
발생률, 986
병태생리학, 987
임상적 특성, 988
의학적 관리, 988
작업치료사의 역할, 991
평가, 992
중재방법, 993

SECTION 3: 헌팅톤병, 994
발생률, 994
병태생리학, 994
임상적 특성, 994
의학적 관리, 996
작업치료사의 역할, 996

SECTION 4: 다발경화증, 999
발생률, 999
원인, 999
임상적 특성, 1000
의학적 관리, 1000
작업치료사의 역할, 1001
목표 설정과 중재, 1003

SECTION 5: 파킨슨병, 1004
발생률, 1004
병태생리학, 1005
임상적 특징, 1005
의학적 관리, 1007
작업치료사의 역할, 1008

36 척수손상, 1013
감사의 글, 1014
척수손상의 결과, 1014
임상증후군, 1016
회복에 대한 예후, 1017
척수손상 환자의 내·외과적 처치, 1017
척수손상 후 합병증, 1018
척수손상 재활, 1021
중재목표 설정, 1024
작업치료 중재, 1025
성기능, 1038
수면과 휴식, 1038
아동과 청소년의 척수손상, 1039
척수손상을 동반한 노화, 1039
연구, 1040

37 운동단위 질환, 1043
신경성 질환, 1045
말초신경병증, 1045
말초신경 손상, 1051
신경근질환들, 1055
신경근이음부의 질환: 중증근무력증, 1055
근육병증, 1057
근위축증, 1057

38 관절염, 1061
류마티스질환의 개요, 1062
뼈관절염, 1062
류마티스관절염, 1065
작업치료 평가, 1068
목표설정, 1075
중재 목표와 계획, 1076
작업치료 중재, 1076
작업수행 훈련, 1084

39 손과 팔손상, 1091
검사와 평가, 1093
중재, 1102
기능적 능력평가, 1125
사업장에 대한 협력자문, 1126
손손상의 정신사회적 영향, 1126

40 정형외과적 상태: 엉덩관절골절과 엉덩, 무릎과 어깨관절치환술, 1129
정형외과적 상태에 대한 소개, 1129

SECTION 1: 엉덩관절골절과 인공관절치환술, 1132
골절의 일반적인 의료관리, 1132
엉덩관절골절 형태와 의학적 관리, 1133
낙상 예방, 1135
엉덩관절치환술, 1135
엉덩관절골절이나 인공관절치환술 환자를 위한 작업치료의 역할, 1138

SECTION 2: 무릎관절치환술, 1144
원인과 의학적 관리, 1144
무릎관절치환술에 대한 특별한 고려사항, 1145
무릎관절치환술 클라이언트를 위한 작업치료의 역할, 1147

SECTION 3: 어깨관절치환술, 1150
원인 및 의학적 관리, 1150
어깨관절치환술에 대한 특별한 고려사항, 1152
어깨관절치환술 클라이언트를 위한 작업치료의 역할, 1153

41 요통, 1159
개요, 1160
요통의 일반적인 원인, 1160
작업치료 평가, 1163
작업치료 중재, 1164
클라이언트 중심 작업치료 분석, 1170
작업의 중재 전략, 1171
다학제 통증관리 구성원들, 1179

42 화상과 재활, 1181
화상의 유병률과 사망률, 1183
피부해부학, 1183
피부의 기능, 1184
화상의 기전과 화상의 깊이, 1185
총체표면적 손상 비율, 1185
손상의 정도, 1187
상처의 회복 단계, 1188
초기 의학적 관리, 1190
관련 문제들과 합병증, 1195
화상재활, 1197
작업치료 중재, 1201
화상과 관련된 합병증, 1214

43 절단과 의수족, 1221
SECTION 1: 팔절단의 일반적인 고려사항, 1222
절단의 원인과 발생률, 1222
절단의 분류, 1222
팀 접근 방법으로의 재활, 1223
수술적 관리, 1223

SECTION 2: 팔절단, 1223
의수 착용 전 훈련, 1224
의수 선택, 1229
의수체계의 유형, 1229
의수 착용 프로그램, 1237
중간 단계 의수 훈련, 1239
심화된 의수 훈련, 1242
양쪽 절단을 위한 고려사항, 1246
결과 측정, 1247
최근 연구와 기술 발달, 1247

SECTION 3: 다리절단, 1249
다리절단 위치, 1249
다리절단 원인, 1250
수술 후 잔여 팔다리 관리, 1250
의족 및 관련 장비, 1251
작업영역의 참여, 1252
클라이언트 요소, 1253
수행 기술, 1253
수행 패턴, 1254
심리사회적 영향, 1254
배경과 활동 요구, 1254
노인 클라이언트를 위한 부가적 고려사항, 1255

44 심폐질환, 1257
해부학과 순환, 1258
무엇이 심장을 수축하게 하는가, 1259
심장주기, 1259
허혈성심장병, 1259
판막질환, 1262
심장병을 일으키는 위험요인, 1262
의료적 관리, 1263
호흡기의 해부학과 생리학, 1267
호흡계의 신경분포, 1269
만성폐질환, 1269
폐질환을 유발하는 위험요인, 1270
의료적 관리, 1270
평가, 1272
중재, 1273

45 암과 종양 재활, 1277
암 및 종양학 재활에 대한 소개, 1278
치료 선택, 1278
주의점, 금기 및 의학적 복잡성, 1278
방사선과 영상, 1279
작업치료와 암: 영역과 과정, 1279
작업치료사가 종양학 재활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평가, 1279
암과 암치료와 관련된 중요한 이차적인 조건, 1280
종양학에서 상태악화, 1283
심혈관 및 폐질환 고려사항, 1283
정신사회적 문제(신체 이미지, 우울, 불안), 1283
림프부종, 1284
완화치료 및 호스피스, 1284

46 노년층의 특수 요구, 1287
개요, 1288
건강과 생산적 노화, 1288
내 집에서 나이 들기, 1290
작업, 1291
노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정책, 1297
사정과 중재, 1299
노화과정, 1301
정신 구조와 기능의 변화, 1302
감각 구조와 기능의 변화, 1306
신경근육뼈대계 및 움직임과 관련된 구조와 기능의 변화, 1308
심혈관계, 혈액계, 면역계, 호흡기계 구조 및 기능의 변화, 1309
목소리와 언어 기능: 소화·대사·내분비 기능, 비뇨생식 및 생식기능의 변화, 1310
피부 및 관련 구조기능의 변화, 1312

47 HIV 감염과 AIDS, 1315
HIV 감염의 발단과 현재 상태, 1316
감염 과정, 1318
전염, 1318
진단, 1319
약리학, 1320
노화와 HIV 감염, 1321
HIV/AIDS의 신경학적 후유증, 1322
신경병증(신경장애), 1323
치매, 1323
HIV/AIDS 병리학-클라이언트 요인, 1325
예방, 1326
평가, 1326
중재, 1330

48 다발성외상과 작업치료, 1333
다발성외상, 1334

49 호스피스 작업치료와 완화치료, 1345
호스피스와 완화치료, 1346
작업치료 서비스를 위한 근거기반, 1347
작업치료의 역할, 1348
임상의의 자기간호, 1364

찾아보기, 1367

저자소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