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태권도 심판법

태권도 심판법

정현도 (지은이)
상아기획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000원 -0% 0원
1,250원
23,7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태권도 심판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태권도 심판법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무예/무술
· ISBN : 9791186196335
· 쪽수 : 308쪽
· 출판일 : 2024-02-29

책 소개

태권도 역사는 고대에서 현대사까지 국기원에서 발간한 태권도교본를 토대로 구성하였고, 태권도 품새편은 지도자들이 언제, 어디에서든지 품새를 찾아 볼 수 있도록 유급자 및 유단자 품새를 실었다. 경기규정은 대한태권도협회 경기 규정집을 참고하고, 그동안의 심판 경험 및 노하우를 수록하였다.

목차

제1장 태권도의 정의………………………………………………………………………… 7

제2장 태권도의 역사………………………………………………………………………… 13
1. 고대시대(B.C 24C~A.D. 10C.)…………………………………………………14
2. 중세(10C~16C)……………………………………………………………………16
3. 근세(17C~1945)………………………………………………………………………18
4. 태권도 태동…………………………………………………………………………21
5. 태권도 전국체전 정식종목 채택(1961~1970)…………………………………24
6. 비약적 발전(1971~1985)……………………………………………………………27
7. 아시안게임 정식종목 올림픽 시범종목 진출(1989~1999)……………………32
8. 세계적 무예스포츠(2000~)………………………………………………………36

제3장 태권도 품새…………………………………………………………………………… 41
1. 품새 개론……………………………………………………………………………43
태극1장…………………………………………………………………………………48
태극2장…………………………………………………………………………………54
태극3장…………………………………………………………………………………60
태극4장…………………………………………………………………………………66
태극5장…………………………………………………………………………………72
태극6장…………………………………………………………………………………80
태극7장…………………………………………………………………………………86
태극8장…………………………………………………………………………………92
고려……………………………………………………………………………… 100
금강……………………………………………………………………………… 110
태백……………………………………………………………………………… 116
평원……………………………………………………………………………… 124
십진……………………………………………………………………………… 132
지태……………………………………………………………………………… 140
천권……………………………………………………………………………… 148
한수……………………………………………………………………………… 162
일여……………………………………………………………………………… 172

제4장 태권도 경기………………………………………………………………………… 181
1. 경기의 개념……………………………………………………………………… 182
2. 태권도 경기의 발달………………………………………………………………… 183

제5장 태권도 심판의 정의 및 역할…………………………………………………………… 187
1. 태권도 심판의 정의………………………………………………………………… 188
2. 태권도 심판의 역할………………………………………………………………… 189

제6장 태권도 심판의 권위와 기능………………………………………………………… 191
1. 태권도 심판의 권위………………………………………………………………… 192
2. 태권도 심판의 기능………………………………………………………………… 192

제7장 태권도 심판의 자질 및 책임 ……………………………………………………… 195
1. 태권도 심판의 자질………………………………………………………………… 196
2. 태권도 심판의 책임………………………………………………………………… 199

제8장 태권도 채점의 기준과 원칙 …………………………………………………………… 201
1. 태권도 채점의 기준………………………………………………………………… 202
2. 태권도 채점의 원칙………………………………………………………………… 203

제9장 태권도 심판의 임무 및 구성 ……………………………………………………… 205
1. 태권도 심판원의 임무……………………………………………………………… 206
2. 태권도 심판의 구성………………………………………………………………… 208

제10장 주심의 위치 선정 ………………………………………………………………… 209
1. 주심의 바람직한 위치 선정………………………………………………………… 210
2. 주심의 바람직하지 못한 위치 선정…………………………………………… 214
3. 주심의 바람직한 감점 부여………………………………………………………… 218
4. 경기중 선수나 주심에 가려 사각(斜角)이 발생하는 경우… …………………… 220

제11장 태권도 심판 수신호 ……………………………………………………………… 223

제12장 태권도 겨루기 경기규칙 ………………………………………………………… 239

저자소개

정현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학 력] - 당진송악고등학교 태권도부 주장 졸업 - 경남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졸업(체육학사) - 경남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졸업(체육학석사) - 경남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박사 졸업(체육학박사) [경 력] - 세계태권도본부 국기원 9단 - 세계태권도연수원 자격 평가위원 - 세계태권도연맹 국제심판 - 세계 신지식인 선정 - 세계태권도문화학회 상임이사 - 한국체육교육학회 이사 - 한국체육정책학회 이사 - 한국무예학회 이사 - 한국태권도 고수회 자문위원 - 한국무술총연합회 충청남도회장 - 전통무예 태권도 명인 인증 - 대한민국 대통령 국민훈장 석류장 수훈 - 세한대학교 홍보위원회 위원 - 세한대학교 태권도학과장 교수 [논 문] - 2023 세계태권도한마당 경기의 활성화 방안 외 50여 편 - 2013 [저 서] - 2020 1급 국제태권도 사범 보수 교육과정 교재 - 2020 2급 국제태권도 사범 신규 양성과정 교재 - 2020 2급 국제태권도 사범 보수 교육과정 교재 - 2014 WTA 실기강사 교육을 위한 교육 콘텐츠 개발 - 겨루기 호신술 교재 - - 2014 WTA 실기강사 교육을 위한 교육 콘텐츠 개발 - 겨루기 및 호신술 학습지도안 및 평가 도구 - - 2010 태권도 용어 정보사전 - 2009 태권도학 - 2004 태권도 심리 기술훈련 - 2003 태권도 수련의 이론과 실전 - 1999 호신태권도 교본 - 1997 TAEKWONDO [자 격] 1급 국제태권도사범 자격 1급 국기원 심사위원 자격 1급 세계태권도한마당 심판자격 1급 겨루기 심판 자격 1급 장애인 심판 자격 1급 장애인 지도사 자격 2급 국제심판 자격 2급 전문지도자 자격 2급 생활스포츠 지도자 자격 3급 장애인 사범, 3급 호신술, 3급 격파 자격
펼치기
정현도의 다른 책 >

책속에서

우리의 역사와 함께 발전해 온 국기(國技) 태권도는 선조들의 지혜와 혼(魂)이 담긴 민족 고유의 무술로서 전신의 근육과 관절, 손과 발을 사용하여 상대의 공격을 피함과 동시에 공격(받아차기)하는 기술 체계를 이룬 격투기이다.
대한민국의 수많은 전통 무술 중에서 전 세계적으로 각광을 받고 있는 태권도는 그 유래에 관한 문헌에서 보면 수박, 택견, 태권, 권법 등으로 불리어 오면서 각 시대별로 무술(武術), 무예(武藝), 무도(武道)의 성격을 갖추고 계승된 우리나라 고유의 무술(박한규, 1993)로 현재에는 세계 212개국에서 1억 5천여만 명 정도가 수련하는 인기스포츠로 자리 잡았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