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교원임용시험 > 보건/사서/상담교사
· ISBN : 9791186210840
· 쪽수 : 672쪽
· 출판일 : 2017-01-20
책 소개
목차
PART Ⅰ. 상담이론과 실제
01 게슈탈트 상담(Gestalt Therapy) / 8
02 현실치료(Reality Therapy) / 23
03 교류분석 상담(Transactional Analysis) / 37
04 실존주의 상담(Existential Counseling) / 57
05 의미치료(LogoTherapy) / 62
06 여성주의 상담 / 65
07 상담 기술 / 72
PART Ⅱ. 성격심리
01 설리번(Harry S. Sullivan)의 대인관계 이론 / 84
02 호니(Karen Horney)의 신경증적 이론 / 88
03 프롬(Erich Fromm)의 성격유형 / 92
04 머레이(Henry A. Murray)의 욕구 및 동기이론 / 95
05 켈리(George A. Kelly)의 개인 구성개념 이론 / 100
06 로터(Julian B. Rotter)의 사회적 학습이론 / 110
07 반두라(Albert Bandura)의 사회인지 이론 / 117
08 미첼(W. Mischel)의 사회인지이론 / 120
09 올포트(G. W. Allport)의 특질 이론 / 122
10 캐텔(Raymond B. Cattell)의 특질 이론 / 128
11 아이젠크(Hans J. Eysenck)의 생물학적 유형론 / 132
12 성격의 5요인 모델(Big Five) / 137
13 엘리스(Albert Ellis)의 인지적 성격이론 / 141
14 벡(Aron T. Beck)의 인지적 성격이론 / 144
15 동기이론 / 146
16 공격성 이론 / 151
17 성격과 적응 / 155
18 자기(self) / 159
19 대상관계이론 / 166
20 애착이론 / 169
21 달라드와 밀러(J. Dollard & N. Miller)의 추동심리학 / 171
PART Ⅲ. 가족상담
01 전략적 가족상담 / 174
02 후기 가족치료의 기초 / 184
03 해결중심적 가족상담 / 187
04 이야기 치료 / 196
05 정신역동적 가족상담 / 205
06 가계도, 가족지도, 원가족도표 기호 비교 / 211
07 가족평가(Family Assessment) / 212
08 주관적 가족평가 방법 / 214
09 객관적 가족평가 방법 / 221
10 가족생활주기에 의한 가족평가 / 225
11 가족상담 과정의 구조화 / 232
12 초기 상담 / 234
13 상담과정의 실제적 문제 / 239
14 상담종결 과정 / 244
15 가족 스트레스 / 247
16 비행청소년 가족상담 / 252
17 비행청소년 부모상담 / 259
PART Ⅳ. 집단상담
01 집단준비 및 집단계획서 작성 / 264
02 집단상담 과정 모형 / 270
03 시작단계 / 272
04 전환단계(갈등단계, 과도기) / 276
05 작업단계(활동기) / 280
06 종결단계 / 284
07 추수상담 / 289
08 집단상담 평가 / 291
09 정신분석 집단상담 / 294
10 인지행동 집단상담 / 298
11 게슈탈트 집단상담 / 301
12 합리 ․ 정서 ․ 행동 집단상담(REBT) / 306
13 현실 집단상담 / 309
14 교류분석 집단상담 / 312
15 아들러학파 집단상담 / 317
16 실존주의 집단상담 / 321
17 사이코드라마(심리극)와 집단상담 / 324
18 집단지도성 이론 / 331
19 지도성 유형 및 지도성 관련 요인 / 336
PART Ⅴ. 진로상담
01 고프레선(Gottfredson)의 제한타협이론 / 340
02 터크만(Tuckman)의 진로개발교육이론 / 344
03 직업적응이론(TWA) / 346
04 인지정보처리이론(CIP) / 352
05 사회인지진로이론(SCCT) / 355
06 구성주의 진로발달이론(Theory of Career Construction) / 361
07 가치중심적 진로접근 모형 / 364
08 진로의사결정이론 / 365
09 진로의사결정유형이론 / 368
10 진로의사결정 모델 / 372
11 진로상담 과정 / 379
12 진로상담 기법 / 385
13 내담자의 심리적 특성과 평가 / 392
14 진로상담 영역별 진로정보 / 401
PART Ⅵ. 심리검사
01 BGT(Bender-Gestalt Test) / 404
02 집/나무/사람 검사(HTP) / 409
03 로샤 검사(Rorschach Test) / 418
04 주제통각 검사(TAT) / 430
05 문장완성 검사(SCT) / 437
06 다면적 인성 검사(MMPI-A) / 440
07 K-WISC-IV / 464
08 K-WISC-III / 469
09 K-WAIS-IV / 472
10 K-WAIS / 476
11 KABC-II(한국 카우프만 아동용 지능검사 II) / 479
12 Holland 진로탐색검사 / 482
13 Strong 진로탐색검사 / 489
14 한국아동인성평정척도(KPRC) / 495
15 청소년 성격평가질문지(PAI-A) / 498
16 학업동기검사(Academic Motivation Test: AMT) / 503
17 MLST-II 학습전략검사 / 505
18 그 외 학습검사 / 508
PART Ⅶ. 특수아상담
01 자폐성 장애 / 512
02 영재아 / 528
03 품행장애 / 542
04 우울증 / 547
05 적대적 반항장애 / 550
06 간헐적 폭발성장애, 반사회성 성격장애 등 / 552
07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 555
08 그 외 장애유형 / 557
09 전환교육과 순회교육 / 566
10 특수교육대상자 선별검사 및 진단 ․ 평가 영역 / 572
11 특수아 진단 및 평가 / 573
12 정서 및 행동장애아의 문제행동 지도 및 사회적 기술 교수 / 587
13 장애학생을 위한 교수전략 / 590
14 행동지도를 위한 자료 수집 및 분석 절차 / 592
15 단일대상 설계 / 595
PART Ⅷ. 학교상담
01 학교상담의 기초 및 모형 / 604
02 학교폭력 / 608
03 자살, 인터넷 과몰입, 게임 과몰입 / 619
04 우울, ADHD, 학습부진 / 628
05 학교상담 프로그램의 편성 절차 / 640
06 자문, 정보제공 활동, 의뢰 / 644
07 교육 및 연수 / 655
08 행정업무 / 657
09 비행상담 / 6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