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도시/환경공학 > 도시계획/설계
· ISBN : 9791187071341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4-03-25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하나의 도시, 하나의 국가
무엇이 도시를 바꿀까?
1. 돋보기가 되어줄 키워드
2. 교통물류
미래의 교통수단
미래도시 사례: 네옴
3. 디지털 변환
미래의 디지털 변환
미래도시 사례: 이노베이션 파크, 텔로사
4. 탄소중립
친환경 도시
미래도시 사례: 스마트 포레스트 시티
5. 인구변화
세계 인구의 변화 추이
대한민국 인구의 변화 추이
도시는 어디까지 커질까?
1. 글로벌 대도시화 현상
2. 세계의 메가리전
미국의 메가리전
유럽의 메가리전
중국의 메가리전
일본의 메가리전
3. 세계의 메가리전과 대한민국
물리적 규모 비교
세계 메가리전 인덱스
미래에 우리는 어디에서 살까?
1. 2100년 대한민국 상상하기
2. 대한민국 현주소
LBR과 생활 인프라
도시 경쟁력의 지표
대한민국 메가시티 인덱스
양극화 현상과 해소 방안
3. 압축거점 도시모형 실험: 디봇시티
대전-충청권 메가리전과 디봇시티
압축거점의 작동 체계
도시모형 분석
용적률 모형 실험
압축거점 모형 실험
인공지능 활용 디자인
4. 메가시티 네이션 한국
에필로그: 우리가 살고 싶은 도시
참고문헌
도판 출처
저자소개
책속에서

중세 이후 지난 역사를 돌아보면 건축가 피터 아이젠만의 ‘세상의 중심’에 대한 생각이 떠오른다. 그는 중세에서 르네상스 시대로 오며 세상의 중심은 신에서 인간으로, 그리고 산업혁명을 거치며 기계 중심과 정보 중심으로 변화했다고 이야기한다. 지금 주위를 둘러보라. 돈과 정치 권력, 종교가 세계 공통의 질서 축을 이루고 있고, 물리적 교통수단의 발달과 함께 거리가 단축되며 세계가 작아진 반면, 도시는 점점 포용적으로 변하며 그 크기가 커지고 있다.
- ‘프롤로그: 하나의 도시, 하나의 국가’
여기서 주목해야 할 문제가 등장한다. (...) 이 관점에 따르면 인간의 사고 발달은 선형적이지만 기술의 발전은 기하급수적이다. 그러므로 어느 시점에서는 인공지능이 인간지능의 총합을 추월하는 기술적 특이점이 발생할 것으로 주목하고 있다. 커즈와일은 이 시기를 약 2045년 전후로 보고 있으며, 이 시기가 기술의 발전이 만개하는 문명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 이야기한다.
- ‘프롤로그: 하나의 도시, 하나의 국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