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내과 > 종양
· ISBN : 9791187313311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0-07-01
책 소개
목차
1부 청소년?청년암의 개요
1장 청소년·청년 종양학의 역사와 현주소
1. 북미의 청소년·청년 종양학 프로그램
2. 영국과 유럽의 청소년·청년 종양학 프로그램
3. 호주의 청소년·청년 종양학 프로그램
4. 요약 및 제언
2장 한국 청소년·청년암의 역학
1. 청소년·청년암의 발생빈도
2. 청소년·청년암 생존율
3. 요약
3장 한국 청소년·청년암 환자를 위한 제언
1. 청소년·청년암 환자의 과제
2. 국내 청소년·청년암 환자의 현실
3. 청소년·청년암 환자를 위한 제안
4. 맺음말
2부 청소년·청년 호발암
4장 청소년·청년암의 생물학적 특성
1. 청소년·청년암의 생물학적 특성
2. 청소년·청년 시기의 생리적, 약리적 특성
3. 암소인유전자
4. 결론
5장 백혈병
1. 급성림프모구백혈병
2. 급성골수성백혈병
6장 림프종
1. 호지킨림프종
2. 비호지킨림프종
7장 육종
1. 골종양
2. 연조직육종
8장 생식세포종양
1. 연령별 특징
2. 병리학
3. 종양표지자
4. 원발부위별 특징
5. 치료
6. 결론
9장 중추신경계 종양
1. 교종
2. 뇌실막세포종
3. 두개내생식세포종
4. 머리인두종
5. 수모세포종
6. 요약
10장 암종
1. 발생빈도
2. 생존율
3. 암종별 특성
11장 이차암
1. 위험인자
2. 이차종양
3. 이차암의 감시 및 예방
3부 청소년?청년암의 특수성
12장 청소년·청년의 생물학적 특징 및 청소년·청년암 치료체계
1. 청소년·청년의 생물학적 특징
2. 청소년·청년의 생물학적 특징에 따른 치료 차이
3. 청소년·청년 치료체계
13장 청소년·청년암 환자의 임상연구 및 기타 연구
1. 청소년·청년암 환자의 임상연구
2. 임상연구란 무엇인가
3. 청소년·청년 환자의 낮은 임상연구 참여율
4. 청소년·청년암 환자들의 임상연구 참여율을 높이기 위한 전략
5. 청소년·청년암 환자의 임상연구 참여를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
6. 요약
14장 치료 관련 급성 합병증
1. 항암제 부작용
2. 조혈모세포이식 부작용
3. 치료 관련 부작용의 지지요법
4. 맺음말
15장 치료 순응 및 처방준수
1. 청소년·청년의 처방준수
2. 청소년·청년암 환자의 처방준수
3. 처방 불이행의 평가
4. 처방준수를 증진하는 중재방법
16장 성기능 및 가임력 보존
1. 종양 완치자의 성 및 생식기능
2. 여성 청소년·청년암 생존자의 생식기능 및 임신 결과
3. 남성 청소년·청년암 생존자의 생식기능 및 임신 결과
4. 가임력의 대리지표
5. 청소년·청년에서 특별히 고려할 문제
17장 심리사회적 문제
1. 청소년·청년암 진단과 치료에 따른 영향
2. 심리적 지원과 사회적 지지
3. 심리사회적 검사와 평가 방법
4. 심리사회적 지원의 적용
5. 결론
4부 청소년?청년암 생존자 관리
18장 청소년·청년암 환자의 후기 합병증
1. 후기 합병증
2. 장기 추적 관찰
19장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 및 건강행태
1. 신체적 삶의 질
2. 사회적 삶의 질: 학교 및 직장복귀
3. 청소년·청년암 환자의 가족 지원
20장 재활치료
1. 암 환자 재활 영역
2. 청소년·청년암 재활의 목표 및 포괄적 치료
3. 청소년·청년암 재활치료의 특징
4. 치료로 인한 장애와 재활치료
5. 청소년·청년기 암종별 흔한 장애 및 재활치료
6. 기타 장애에 대한 재활치료
7. 암 재활 시 주의점
8. 맺음말
21장 생존자 관리의 실제
1. 소아 건강관리 프로그램에서 성인 건강관리 프로그램으로의 이행
2. 청소년·청년암 생존자의 심리사회적 문제
3. 청소년·청년암 생존자의 주요 후기 합병증 문제
4. 청소년·청년암 생존자 관리 시스템의 구축
5. 청소년·청년암 생존자 관리 모델
5부 완화의료
22장 완화의료
1. 증상 관리
23장 환자 및 가족의 임종 돌봄
1. 죽음에 대한 상실반응
2. 청소년·청년암 환자의 죽음에 대한 가족의 반응
3. 말기암의 완화의료
저자소개
책속에서
2014년에 보고된 우리나라 암 통계에 따르면 2012년 기준으로 연간 22만 7천 명이 넘는 사람이 새로운 암 진단을 받는다. 그중 청소년· 청년(adolescents and young adult, AYA) 악성종양은 2만례 정도로 약 9%를 차지한다. 이런 발생률은 15세 미만에 비해 약 17배 정도 높은 것이다. 전체적으로 남성에 비해 여성 환자 수가 2.5배 많은데 남성은 38%, 여성은 60% 정도가 갑상선암이다. 갑상선암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암이 남성에서 발생률이 더 높다.
비교해 보면 외국에 비해 우리나라에서 AYA 암 환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전체 암 환자 수에 비해 적지만, AYA 연령군에서는 자살과 교통사고 다음으로 흔한 사망원인으로 공중보건 측면에서 관심이 필요하다. 이런 사정은 미국도 비슷하여 AYA 연령군에서 암은 사고 다음으로 흔한 사망원인이다.
청소년· 청년(adolescents and young adult, AYA)의 암은 진단의 분포가 소아나 장년/노년기와 다를뿐더러 같은 암이라도 생물학적 특성이 다를 수 있다. 소아 연령에는 신경모세포종, 윌름스종양, 망막모세포종, 수모세포종, 간모세포종 등 배아성종양(embryonal tumor)이 많은 반면, AYA에서는 배아성종양이 적고 육종의 빈도가 높다. 또한 호지킨림프종이나 비호지킨림프종, 생식세포종의 빈도가 증가한다. 급성림프모구백혈병도 소아에 흔한 ETV6-RUX1 유전자 전좌(translocation)의 빈도는 줄고, 필라델피아 염색체(Philadelphia chromosome) 등을 갖는 수가 많다. 젊은 여성의 유방암은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및 HER2 수용체가 모두 발현되지 않는 삼중음성(triple-negative) 유방암이 많다. AYA 연령에서 발생하는 암의 치료성적 향상이 더딘 이유 중 하나는 이렇게 종양의 생물학적 특성이 다양하기 때문이다.
교종(glioma)은 AYA을 포함한 모든 연령대에서 가장 흔한 뇌종양으로 신경축(neuroaxis)을 따라 거의 모든 곳에 발생하며 소아 뇌종양의 약 60%를 차지한다. 교종은 세계보건기구(WHO) 분류에 따라 저등급(grade 1, 2)과 고등급(grade 3, 4)으로 나뉘는데, 소아의 경우 저등급교종과 고등급교종 사이의 경계가 명확하며 저등급교종이 고등급교종으로 진행되지 않기 때문에 저등급교종의 20년 전체 생존율이 90%에 이른다. 소아 저등급교종의 약 15%는 신경섬유종증 1형 또는 결절성경화증과 관련된다. 반면 성인에서는 2등급 이상 교종의 대부분이 고등급교종이나 교모세포종(glioblastoma, WHO 4등급)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임상적 차이는 소아와 성인 저등급교종 간의 분자유전학적 특성이 다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