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프로그래밍 개발/방법론 >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 > 데이터베이스 구축
· ISBN : 9791187316305
· 쪽수 : 84쪽
· 출판일 : 2018-09-24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_누구나 데이터 아키텍처 전문가가 될 수 있습니다 / 5
Part 1. 데이터 아키텍처 전문가는 어떤 일을 하는가?
01 | DA와 DA컨설팅이란 무엇인가? / 10
02 | DAP 시험에 나오는 분야가 실제 DA의 역할일까? / 13
03 | 데이터 아키텍처 전문가의 업무 범위 / 15
Part 2. 왜 사람들은 데이터 아키텍처 전문가가 되고 싶어 하는가?
04 | 데이터 아키텍처 전문가가 되고 싶어 하는 사람은 많다 / 18
05 | 개발자에서 그 다음을 고민한다면? / 21
06 | 희소가치가 있는 직종이다 / 24
07 | 데이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 26
08 | 설계업무의 정수다 / 27
09 | 나이에 상관없이 일을 계속할 수 있다 / 28
10 | DA전문가가 할 수 있는 일의 범위는 생각보다 넓다 / 31
Part 3. 데이터 아키텍처 전문가가 되기 힘든 이유
11 | 관련 업체가 많지 않아 좁은 문이다 / 34
12 | DA전문가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아직 낮다 / 35
13 | 개발 위주의 IT 프로젝트 문화가 바뀌지 않고 있다 / 38
14 | DA전문 회사에 들어가도 경력 개발이 쉽지 않다 / 39
15 | 관련 정보가 부족하고 책도 다양하지 않다 / 42
16 | 방법론은 방법론일 뿐, 일하면서 배우는 경험만이 일을 잘하게
해 준다 / 44
17 | DA전문가는 IT컨설턴트라는 직업의 본질을 잘 이해해야 한다 / 46
18 | IT 컨설턴트가 적성에 잘 맞는 사람은 따로 있다 / 49
Part 4. 데이터 아키텍처 전문가가 되는 방법
19 | 데이터 아키텍처 전문가가 되기에 적합한 커리어패스는? / 56
20 | 지금 다니는 직장에서 DA전문가 역할을 한다 / 59
21 | DA전문 컨설팅 회사에 입사한다 / 60
22 | DA전문 회사 입사 시 유리해지는 방법 / 61
23 | 일 잘하는 사람을 벤치마킹하자 / 63
Part 5. 데이터 아키텍처 전문가의 조건, 어떤 역량을 갖추어야 하나?
24 | 관련 지식을 미친 듯이 흡수해야 한다 / 66
25 |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있어야 한다 / 68
26 | 청취력, 문맥력, 절차력이 있어야 한다 / 69
27 | 프로그램 개발 경험이 있어야 한다 / 73
28 | 최소한 SQL은 자유자재로 쓸 수 있어야 한다 / 75
29 | 자기주도적인 일 처리가 가능해야 성장할 수 있다 / 76
30 | 생각하는 힘과 문제해결능력이 가장 중요하다 / 80
나가는 글
저자소개
책속에서
DA가 하는 일은 크게 세 가지로, 데이터 표준화, 데이터 모델링, 데이터 품질 관리다. DAP 시험에는 데이터베이스 설계와 이용도 포함되어 있는데 물론 이 분야도 잘 알면 좋다.
표준화, 모델링, 데이터 품질, 모델링을 표현하는 툴(TOOL), 그리고 이 모든 일련의 작업을 하나로 묶는 종합적인 지식까지 골고루 다 갖추어야 프로젝트에서 DA로서의 업무를 문제없이 매끄럽게 진행할 수 있다. 컨설팅 업무는 난이도가 꽤 있는 일이다. 1~2년의 경력으로는 가지기 힘든 지식이며 다른 일도 마찬가지지만 몸으로 체화되는 것이 중요하다
효율적인 시스템 구축을 위한 데이터 모델링의 중요성도 있지만 데이터 모델링을 잘한다는 능력 자체가 상당한 희소가치가 있다. 데이터 모델링은 단순히 지식을 외운다고 잘할 수 있는 일이 절대 아니다. 논리력, 사고력이 절실히 필요하다. 그리고 정답이 없다. 아무리 이론적으로는 이상적이고 좋은 데이터 모델도 고객이 원하는 방향이 아니면 아무 소용이 없다. 튜닝처럼 답이 딱 나오는 종류의 일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