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프로그래밍 개발/방법론 > 프로그래밍 기초/개발 방법론
· ISBN : 9791187497042
· 쪽수 : 356쪽
· 출판일 : 2017-05-08
책 소개
목차
CHAPTER 1 ALM
1.1 정의와 개념
1.1.1 프로세스 내에서 도구와 절차의 통합
1.1.2 각 프로세스의 연계/연동
1.1.3 프로세스 상태의 시각화
1.2 역할에 따른 ALM의 활용
1.3 주요 도구
1.4 소프트웨어 시각화
CHAPTER 2 Java의 대표 빌드 도구, Maven
2.1 Maven 소개
2.2 설치와 설정
2.3 Maven 프로젝트 생성
2.3.1 Maven 빌드 라이프 사이클
2.3.2 pom.xml 파일 이해하기
2.4 플러그인 사용하기
2.4.1 플러그인 찾아보기
2.4.2 플러그인 사용 방법
2.4.3 Goals
2.4.4 Usage
2.4.5 플러그인 실행
2.5 Eclipse에서 사용
2.5.1 Maven 프로젝트 생성
2.5.2 pom.xml 파일 수정
2.5.3 Maven 프로젝트 빌드
2.6 요약
CHAPTER 3 소스 코드 버전 관리의 전통, Subversion
3.1 Subversion 소개
3.2 서버 설치 및 사용
3.2.1 VisualSVN 설치
3.2.2 VisualSVN Server 사용자 및 그룹 추가
3.2.3 저장소 추가
3.2.4 저장소 권한 변경
3.3 서버 저장소 백업 및 복원
3.3.1 Dump를 이용한 백업 및 복원
3.3.2 hotcopy - ‘안전한’ 복사를 이용한 백업과 복원
3.3.3 SVNBackup을 이용한 여러 저장소의 백업 및 복원
3.4 Eclipse에서 클라이언트 사용
3.4.1 Subversion 플러그인 설치
3.4.2 서버에서 저장소 체크아웃
3.4.3 수정 후 커밋
3.4.4 변경사항 업데이트
3.5 요약
CHAPTER 4 오픈소스 버전 관리의 대세, Git
4.1 Git 소개
4.1.1 서버의 중앙 집중이 아닌 분산
4.1.2 Git과 Subversion의 차이점
4.1.3 기본 용어 이해
4.2 GitHub에서 서버 사용
4.2.1 가입
4.2.2 저장소 생성
4.3 Gitblit에서 서버 사용
4.3.1 GitBlit 설치
4.3.2 사용자 및 팀 설정
4.3.3 저장소 설정
4.4 Eclipse에서 클라이언트 사용
4.4.1 GitHub에서 Clone하기
4.4.2 수정과 Commit
4.5 요약
CHAPTER 5 소스 코드 버전 관리 만능키, SCMManager
5.1 SCMManager 소개
5.2 SCMManager 설치 및 설정
5.2.1 SCMManager 설치
5.2.2 기본 설정
5.2.3 저장소 종류 설정
5.2.4 사용자 관리
5.2.5 그룹 관리
5.3 저장소 생성 및 관리
5.3.1 저장소 생성
5.3.2 저장소 권한 설정
5.3.3 저장소 불러오기
5.4 플러그인 설치
5.5 요약
CHAPTER 6 프로젝트 통합을 도와주는 집사, Jenkins
6.1 Jenkins 소개
6.2 Jenkins의 지속적 통합 프로세스
6.3 Jenkins 다운로드와 설치
6.4 기본 구성
6.4.1 시스템 설정
6.4.2 Configure Global Security 설정
6.4.3 플러그인 관리
6.5 Job 설정
6.5.1 공통 설정 항목
6.5.2 Freestyle project
6.5.3 Maven projects
6.6 Job 빌드 및 결과 확인
6.6.1 Job 빌드
6.6.2 Job 빌드 결과 확인
6.7 결론
CHAPTER 7 JUnit
7.1 JUnit 소개
7.2 JUnit을 활용한 단위 테스트
7.2.1 어설션(Assertion)
7.2.2 JUnit 어노테이션(Annotation)
7.3 Maven에서 사용
7.3.1 테스트를 위한 Maven 구조 이해
7.3.2 JUnit 테스트 실행
7.4 Jenkins에서 사용
7.5 요약
CHAPTER 8 테스트가 부족한 소스 코드는 어디일까 - Cobertura
8.1 Cobertura 개요
8.2 테스트 커버리지와 복잡도 이해
8.2.1 라인 커버리지
8.2.2 분기 커버리지
8.2.3 복잡도
8.2.4 보고서 확인 팁
8.3 Eclipse에서 사용(eCobertura)
8.4 Maven에서 사용
8.4.1 cobertura:cobertura 사용
8.4.2 cobertura:check 사용
8.5 Jenkins에서 사용
8.5.1 Cobertura 플러그인 설치
8.5.2 Maven Job에서 Cobertura 보고서 생성 설정
8.5.3 빌드 후 Cobertura 보고서 확인
8.6 요약
CHAPTER 9 소스 코드 체력단련, PMD
9.1 PMD 소개
9.2 홀로 사용
9.2.1 PMD: Rule을 이용한 정적 분석
9.2.2 CPD: 복사-붙여넣기한 중복 코드 확인
9.3 Eclipse에서 플러그인으로 이용
9.3.1 플러그인 설치
9.3.2 Eclipse PMD 전역 설정
9.3.3 Eclipse PMD 프로젝트별 설정
9.3.4 Eclipse 에서 PMD(룰 위반 검증) 사용
9.4 Maven에서 PMD 사용
9.4.1 pmd:pmd 사용
9.4.2 pmd:check 사용
9.5 Jenkins에서 PMD 사용
9.5.1 PMD 플러그인 설치
9.5.2 Maven Job으로 pmd:pmd 이용하기
9.5.3 Freestyle Job으로 PMD 이용
9.5.4 Maven Job으로 pmd:check이용 주의사항
9.6 Maven에서 CPD 사용
9.6.1 pmd:cpd 사용
9.6.2 pmd:cpd-check 사용
9.7 요약
CHAPTER 10 JavaNCSS
10.1 JavaNCSS 소개
10.2 Maven에서 구성 및 사용
10.2.1 javancss:report 사용
10.2.2 jacsncss:check 사용
10.3 Jenkins에서 구성 및 사용
10.3.1 플러그인 설치
10.3.2 Job 설정 및 실행
10.4 요약
CHAPTER 11 JDepend
11.1 JDepend 소개
11.2 Eclipse에서 사용
11.2.1 JDepend 플러그인 설치
11.2.2 JDepend 분석 결과 확인
11.3 Maven에서 사용하기
11.4 Jenkins에서 사용
11.4.1 JDepend 플러그인 설치
11.4.2 Maven Job에서 JDepend 분석 보고서 생성 설정
11.4.3 빌드 후 JDepend 분석 보고서 확인
11.5 요약
CHAPTER 12 똑똑한 개발 관리, Redmine
12.1 Redmine 소개
12.2 Redmine 설치
12.2.1 기본 설치
12.2.2 Bitnami Redmine 패키지 설치
12.3 관리자 기능(설정)
12.3.1 프로젝트
12.3.2 사용자
12.3.3 그룹
12.3.4 일감 유형
12.3.5 일감 상태
12.3.6 업무 흐름
12.3.7 사용자 정의 항목
12.3.8 설정
12.4 새 일감 추가와 관리
12.4.1 새 일감 만들기
12.4.2 일감 목록 보기
12.4.3 Gantt 차트 및 달력
12.4.4 버전 사용
12.5 저장소와의 연동
12.6 요약
CHAPTER 13 Mylyn
13.1 설치
13.1.1 커넥터 설치: 기본 방법
13.1.2 커넥터 설치: Redmine
13.1.3 커넥터 설치: JIRA
13.2 일감 확인 및 상태 변경
13.3 요약
CHAPTER 14 오픈소스 ALM 적용 시나리오
14.1 시나리오 소개
14.2 개발 준비
14.2.1 GitHub: 저장소 생성 및 권한 설정
14.2.2 Redmine: 프로젝트 생성 및 권한 설정
14.2.3 Maven: 프로젝트 생성 및 기본 설정
14.2.4 Maven: 필요 플러그인 설정
14.2.5 Jenkins: Job 설정
14.3 개발 진행
14.3.1 Redmine: 일감 생성
14.3.2 Eclipse: 구현
14.3.3 JUnit: 단위 테스트 작성 및 실행
14.3.4 Cobertura: 테스트 결과/커버리지 확인
14.3.5 PMD: 코딩 룰 위반 사례 확인
14.3.6 PMD(CPD): 중복 코드 확인
14.3.7 JDepend: 의존성 확인
14.3.8 Maven: 빌드 확인
14.3.9 Git: 커밋 및 푸시
14.3.10 Redmine: 일감 완료
14.3.11 Jenkins: 통합 빌드
14.4 요약
CHAPTER 15 NSIS
15.1 개요
15.2 설치
15.2.1 +NSIS 설치
15.2.2 HM NIS Edit 설치
15.3 Eclipse 설치 파일 생성
15.3.1 Eclipse 준비
15.3.2 HM NIS Edit로 설치 스크립트 작성
15.3.3 NSIS로 설치 파일 생성
15.4 설치 파일 확인
15.4.1 설치 파일로 Eclipse 설치
15.4.2 Eclipse 실행 확인
15.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