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RECAP 인사노무관리 강의워크북

RECAP 인사노무관리 강의워크북

(공인노무사 2차 대비)

정준모 (지은이)
나눔에듀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6,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RECAP 인사노무관리 강의워크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RECAP 인사노무관리 강의워크북 (공인노무사 2차 대비)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산업인력관리공단 > 공인노무사 > 2차 과목
· ISBN : 9791187758914
· 쪽수 : 456쪽
· 출판일 : 2018-12-26

책 소개

공인노무사 2차 논술 시험을 치르고 합격하기 위해 인사노무와 관련한 방대한 지식을 어떻게든 정리하여 시험에 맞춰 암기하고 적어내기 위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이 필요했다. 그 결과로 나온 것이 바로 이 강의워크북이다.

목차

Ⅰ 인사노무관리론의 주요 영역

[01] 인사노무관리 조망 3
⑴ 인사노무관리의 개념과 목적 /3 ⑵ 인사노무관리의 제 기능/분야 /4
⑶ 인사노무관리와 관련된 이슈 영역 /5
Your Work Space! 5

Ⅱ 보상 - 임금과 복리후생

[02] 보상관리의(Compensation & Benefit Management) 개념과 보상에 대한 다양한 관점 9
⑴ 보상관리의 개념과 중요성 /9 ⑵ 거래적 관점에서 보는 보상의 종류 /10
⑶ 복합적 측면을 가진 것으로서 보상에 대한 인식과 관리 /11
Your Work Space! 11
[03] 보상의 구성 요소 12
⑴ 경제적 보상(financial compensation) vs 비경제적 보상(nonfinancial compensation) /13
⑵ 직접적 보상(direct compensation) vs 간접적 보상(indirect compensation) /13
⑶ 각종 보상 종류들의 구분 /13
Your Work Space! 13
[04] [보상(임금) 전략] 정책의 필요성과 목적(중요성) 14
⑴ 보상을 직접적으로 조직의 목표와 연계 /14
⑵ 보상을 통해 조직구성원을 동기부여하기 위하여 /14
⑶ 보상 전략/정책의 구체화 /15
Your Work Space! 15
[05] [보상(임금) 전략] 조직의 전략, 목표와 직접 연계 16
⑴ 고객 전달 가치에 입각한 전략의 구분과 인적자원관리와의 연계 /16
⑵ 성장전략에 따른 인적자원관리 활동의 차이 /17
Your Work Space! 17
[06] [보상(임금) 전략] 임금공정성의 개념과 중요성 18
⑴ 공정성(Equity or Fairness)의 개념 /18 ⑵ 공정성 지각의 단계 /18
⑶ 임금공정성 부족 시 발생하는 문제 /19
Your Work Space! 19
[07] [보상(임금) 전략] 임금공정성 - 공정성의 종류 20
⑴ 배분 공정성 /20 ⑵ 절차 공정성 /21
Your Work Space! 21
[08] [임금수준 관리] 임금수준의 개념과 관리의 필요성 22
⑴ 임금수준의 개념 /22 ⑵ 임금수준 관리의 필요성 /22
⑶ 임금수준 관리의 목적 /23
Your Work Space! 24
[09] [임금수준 관리] 임금수준 전략 25
⑴ 임금수준 전략의 종류 /25 ⑵ 임금수준 전략에 따른 효과 /25
Your Work Space! 27
[10] [임금수준 관리] 임금수준 범위 결정 28
⑴ 임금수준 결정 방법 /28 ⑵ 임금수준 결정 기준(요소) /29
Your Work Space! 30
[11] [임금 수준 관리] 최저 한계로서 최저임금제 31
⑴ 최저임금제도의 정의 /31 ⑵ 최저임금제도의 목적 /31
⑶ 최저임금제도의 연혁 /32
Your Work Space! 32
[12] [임금수준 관리] 임금수준 조정(임금 상승) 방법 33
⑴ 동일 임금 곡선 상에서의 임금 상승 /33 ⑵ 임금 곡선 자체의 이동에 의한 임금 상승 /34
Your Work Space! 34
[13] [임금체계 관리] 의미와 중요성 35
Your Work Space! 36
[14] [임금체계 관리] 연공급 37
⑴ 연공급의 개념 /37 ⑵ 연공급의 유형 /37
⑶ 연공급의 장단점 /38 ⑷ 연공급의 연혁과 발생이유 /38
Your Work Space! 39
[15] [임금체계 관리] 연공급의 단점을 완화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임금피크제 40
⑴ 임금피크제의 의의 /40 ⑵ 임금피크제의 유형 /40
⑶ 임금피크제의 기대효과 /41
Your Work Space! 41
[16] [임금체계 관리] 직능급 42
⑴ 직능급의 의의 /42 ⑵ 직능급의 유형 /43
⑶ 직능급의 장단점 /43 ⑷ 직능급 도입을 위한 전제 또는 문제점 /44
Your Work Space! 44
[17] [임금체계 관리] 직무급 45
⑴ 직무급의 의의 /45 ⑵ 직무급의 유형 /45
⑶ 직무급의 장단점 /46 ⑷ 직무급 도입을 위한 전제 또는 문제점 /46
Your Work Space! 47
[18] [임금체계 관리] 역량급 48
⑴ 역량의 개념 /48 ⑵ 역량 관점 도입의 장점과 단점 /49
⑶ 역량급에 대한 이해 /49
Your Work Space! 49
[19] [임금형태(임금의 계산 및 지급방법) 관리] 임금 산정 기준에 따른 구분(시간급, 성과급(개인)) 50
⑴ 시간에 의해 계산하는 방법 /50 ⑵ 성과에 의해 계산하는 방법 /51
Your Work Space! 52
[20] [임금형태 관리] 집단성과급 53
⑵ 성과에 의해 계산하는 방법(앞 장에서 계속) /53
Your Work Space! 55
[21] [임금형태 관리] 개인성과급과 집단성과급의 도입 목적 및 장단점 56
⑴ 개인성과급 /56 ⑵ 집단성과급 /57
Your Work Space! 57
[22] [임금형태 관리] 연봉제 58
⑴ 연봉제의 개념 /58 ⑵ 연봉제 도입의 목적 /58
⑶ 연봉제의 유형 /59 ⑷ 연봉제의 장단점 /59
⑸ 성공적인 연봉제 도입을 위한 전제조건 /60
Your Work Space! 60
[23] [임금형태 관리] 인재유치 및 성과주의 실현을 위한 스톡옵션제 61
⑴ 스톡옵션제의 개념 /61 ⑵ 스톡옵션제 도입의 목적 /61
⑶ 스톡옵션제의 유형 /62 ⑷ 스톡옵션제의 한계 및 문제점 /62
⑸ 스톡옵션제와 관련된 동향 /62
Your Work Space! 62
[24] [임금형태 관리] 수당 63
⑴ 수당의 개념 /63 ⑵ 수당의 목적 /63
⑶ 수당의 유형 /64 ⑷ 공정성 측면에서의 수당의 종류 /64
⑸ 수당의 개선방향 /64
Your Work Space! 64
[25] [복리후생] 복리후생 제도의 개요 65
⑴ 복리후생의 정의와 목적 /65 ⑵ 복리후생의 유형 /65
⑶ 복리후생제도의 설계 /66 ⑷ 복리후생제도의 운영 /67
⑸ 복리후생제도의 평가 /67 ⑹ 복리후생제도 평가 후 조치 /67
Your Work Space! 68
[26] [복리후생] 복리후생과 임금의 차이 및 목적 69
⑴ 임금과의 차이점 /70 ⑵ 복리후생의 목적 /70
Your Work Space! 71
[27] [복리후생] 퇴직연금제도 72
⑴ 퇴직금의 개념과 성격 /72 ⑵ 퇴직연금제도의 도입 배경 /73
⑶ 퇴직연금제도의 종류와 기존 퇴직금제도와의 비교 /73
Your Work Space! 75
[28] [복리후생] 근로자지원프로그램(EAP: Employee Assistant Program) 76
⑴ 근로자지원프로그램(EAP: Employee Assistant Program) 또는 종업원지원 프로그램의 개념 /76
⑵ 근로자지원프로그램의 연혁 /76 ⑶ EAP의 운영방식과 지원하는 서비스의 유형 /77
⑷ EAP의 도입효과 /77
Your Work Space! 78
[29] [복리후생] 사내근로복지기금 79
⑴ 사내근로자복지기금의 개념과 목적 /79 ⑵ 기금의 조성방법 /79
⑶ 기금 사업의 유형 /80 ⑷ 사내근로복지기금 도입의 효과 /81
Your Work Space! 81
[30] [복리후생] 우리사주제도 82
⑴ 우리사주제도(ESOP: Employee Stock Ownership Program)의 개념과 목적 /82
⑵ 우리사주제도의 유형 /83 ⑶ 우리사주제도의 도입효과 /83
Your Work Space! 84
[31] [복리후생] 카페테리아식 복리후생제도 85
⑴ 카페테리아식 복리후생제도의 개념과 목적 /85
⑵ 카페테리아식 복리후생제도의 유형 /86 ⑶ 카페테리아식 복리후생제도의 장단점 /87
Your Work Space! 88
[32] [복리후생] 새로운 형태의 복리후생제도- 통합적 복지 89
⑴ 통합적 복지(holistic welfare)의 개념과 목적 /89
⑵ 통합적 복지의 주요 내용 /90 ⑶ 통합적 복지의 효과 /90
Your Work Space! 90
[33] [복리후생] 직장생활의 질(QWL: Quality of Worklife) 91
⑴ QWL의 개념 /91 ⑵ QWL의 목적 /91
⑶ QWL이 보는 8가지 작업생활의 질 향상 요인 /92
⑷ QWL 향상 방안 /92 ⑸ QWL의 효과 /93
Your Work Space! 93

Ⅲ 직무에 대한 설계.분석.평가

[34] [직무관리] 조직과 직무에 대한 개념적 이해 97
Your Work Space! 97
[35] [직무관리] 주요 영역 및 중요성 98
⑴ 직무관리의 개념 /98 ⑵ 직무관리의 주요 영역 /98
⑶ 타 인사기능과의 관계(중요성) /99
Your Work Space! 99
[36] [직무설계-구조(내용)설계] 개념, 중요성, 발전과정 100
⑴ 직무(구조)설계의 개념과 중요성 /100 ⑵ 직무설계의 발전과정 /101
Your Work Space! 101
[37] [직무설계-구조설계] 전통적 vs 행동과학적 접근방법 102
⑴ 전통적 직무설계 접근방법 - 직무전문화 /102
⑵ 행동과학적 직무설계 접근방법 - 직무순환, 직무확대, 직무충실화, 직무특성이론 /103
⑶ 개별 직무설계 접근방법들의 한계 /104
Your Work Space! 105
[38] [직무설계-구조설계] 개인 vs 집단수준 직무설계 방법 106
⑴ 개인수준의 직무 (재)설계 /106 ⑵ 집단수준의 직무 (재)설계 /107
Your Work Space! 108
[39] [직무설계-구조설계] 효과 109
⑴ 직무설계방법에 따른 효과 /109
Your Work Space! 110
[40] [직무설계-구조설계] 직무특성이론 111
⑴ 직무특성이론의 배경과 개념 /111 ⑵ 직무특성이론 모형 /112
⑶ 직무의 동기부여 정도에 대한 계량적 측정 공식과 주요 발견사항 /113
⑷ 이론의 적용 /113 ⑸ 직무특성이론의 장단점 /113
Your Work Space! 114
[41] [직무설계] 사회기술시스템 이론 115
⑴ 사회기술시스템이론의 개념 /115 ⑵ 사회기술시스템 이론 모델 /115
⑶ 직무설계의 원칙 /116 ⑷ 성 과 /116
⑸ 시사점 /116
Your Work Space! 117
[42] [직무설계-직무과정설계] 개념?중요성 118
⑴ 직무과정설계의 배경 : 구조설계의 한계 /118
⑵ 직무과정설계의 개념 /118 ⑶ 직무과정설계가 필요한 경우(중요성) /119
Your Work Space! 119
[43] [직무설계-직무과정설계] 절차, 효과, 유의사항 120
⑴ 직무과정설계의 절차 /120
⑵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직무재설계를 했을 경우의 효과 /121
⑶ BPR 및 직무과정설계의 실패원인과 유의사항 /121
Your Work Space! 121
[44] [직무관리] 근로시간 설계와 관리 122
⑴ 근로시간 설계와 관리의 배경 /122 ⑵ 근로시간설계와 관리의 개념 /122
⑶ 근로시간 설계와 관리의 목적 /123 ⑷ 근로시간설계의 유형 /123
⑸ 근로시간 단축 논의 /124
Your Work Space! 125
[45] [직무분석] 관련 용어 126
⑴ 요소 / 과업 / 의무 / 책임 /126 ⑵ 직위 vs 직무 /127
⑶ 직렬 / 직군 / 직종 /127
Your Work Space! 127
[46] [직무분석] 직무분석의 주요 내용 128
⑴ 직무분석의 개념과 중요성 /128 ⑵ 직무분석의 주요 내용 /128
Your Work Space! 129
[47] [직무분석] 직무분석 절차(G. Dessler의 방법) 130
⑴ 직무분석의 절차 /130
Your Work Space! 132
[48] [직무분석] 직무정보 수집방법 133
⑴ 직무분석을 위한 직무 정보 수집 방법 /133
Your Work Space! 135
[49] [직무분석] 대표적인 직무분석기법 136
⑴ 직무분석 기법의 종류 /136
Your Work Space! 138
[50] [직무분석-결과의 정리] 직무기술서와 명세서 139
⑴ 직무기술서(JD: Job Description) /139 ⑵ 직무명세서(Job Specification) /140
⑶ 직무기술서와 직무명세서의 관계 /140
Your Work Space! 140
[51] [직무분석] 관련 이슈 141
⑴ 목적과 활용 측면 /141 ⑵ 직무분석에 대한 저항과 신뢰 확보 측면 /142
⑶ 업데이트 /142
Your Work Space! 142
[52] [직무분석] 직무분석의 새로운 트렌드 143
⑴ 직무 대 일(Job vs Work) /143 ⑵ 과업 대 역할(Task vs Role) /143
⑶ 정태적 분석 vs 동태적 분석 /144 ⑷ 기능 vs 프로세스 /144
⑸ 시가주의 /144 ⑹ 세분화 vs Broadband /144
Your Work Space! 144
[53] [직무평가] 개념, 보상요소, 용도, 과정 및 이슈 145
⑴ 직무평가의 개념 /145 ⑵ 직무평가에 있어 보상요소 /145
⑶ 직무평가의 용도/목적 또는 결과의 활용 /146
⑷ 직무평가 실시 과정 /146 ⑸ 직무평가와 관련된 이슈 /147
Your Work Space! 147
[54] [직무평가] 주요 기법 148
⑴ 서열법(Ranking Method) /148 ⑵ 분류법(Classification method) /149
⑶ 점수법(Point method) /149 ⑷ 요소비교법(factor-comparison method) /149
Your Work Space! 150

Ⅳ 인적자원계획

[55] [인적자원계획] 인적자원의 수요와 공급에 대한 예측 및 조정 153
⑴ 인적자원계획(Human Resource Planning)의 개념과 필요성 /153
⑵ 인적자원계획 수립 과정 /154 ⑶ 인적자원계획의 기능과 한계 /155
Your Work Space! 155
[56] [인적자원계획] 환경분석 단계 156
⑴ 외부환경 분석 /156 ⑵ 내부환경 분석 /157
Your Work Space! 157
[57] [인적자원계획] 수요예측 158
⑴ 인적자원 수요 예측의 개념과 예측 기반 /158
⑵ 인적자원 수요 예측 기법 별 전제사항과 한계 /158
⑶ 생산기술 변화와 질적 인력수요예측에 있어 6가지 가설- 하이테크 도입에 따른 직무구조 및 자격요건 변화 /159
Your Work Space! 159
[58] [인적자원계획] 수요예측의 질적/정성적 기법 160
⑴ 인적자원 수요예측에 있어 질적/정성적 기법에 대한 개념 /160
⑵ 정성적 인적자원 수요예측 기법의 종류 /161
Your Work Space! 162
[59] [인적자원계획] 수요예측과 계량적/정량적 기법 163
⑴ 인적자원 수요예측에 있어 계량적/정량적 기법에 대한 개념 /163
⑵ 계량적 인적자원 수요 예측 기법의 종류 /164
Your Work Space! 165
[60] [인적자원계획] 공급예측과 예측기법 166
⑴ 인적자원 공급예측의 개념과 예측 기반 /166
⑵ 공급에 대한 예측 기법 /167
Your Work Space! 167
[61] [인적자원계획] 내부공급 예측기법-기마대 168
⑴ 기능목록/관리능력목록(skill/management inventory) /168
⑵ 마코브 분석(Markov Analysis) /169
⑶ 대체도/승계계획(Replacement Chart, Succession Plan) 활용기법 /169
Your Work Space! 169
[62] [인적자원계획] 인적자원 수요와 공급의 균형 조정 방안과 장단점 170
⑴ 인적자원의 부족이 예상 시 쓸 수 있는 방법(수요>공급) /170
⑵ 인적자원의 과잉 예상 시 쓸 수 있는 방법(수요<공급) /171
Your Work Space! 173

Ⅴ 모집과 선발

[63] [채용] 채용관리의 개념, 중요성, 전략 177
⑴ 채용관리에 대한 정의와 중요성 /177 ⑵ 채용관련 전략 /178
⑶ 채용관련 전략에 영향을 주는 요인 /178
Your Work Space! 179
[64] [모집] 전략과 원천 180
⑴ 모집(Recruiting)에 대한 정의 /180 ⑵ 모집의 목적 /180
⑶ 모집전략 /181
⑷ 모집의 원천 - 어디에서 지원자를 찾을 것인가? /182
Your Work Space! 183
[65] [모집] 절차와 방법 184
⑴ 내부 노동시장에서의 모집 방법 /184 ⑵ 외부 노동시장에서의 모집 /185
Your Work Space! 186
[66] [모집] 절차와 방법 web기반 모집 187
⑴ Web 기반 모집의 개념과 목적 /187 ⑵ Web 기반 모집의 장단점 /187
⑶ 오프라인 모집방식과의 비교 /188
Your Work Space! 188
[67] [모집] 효과성 판단/평가 189
⑴ 모집에 대한 효과성을 판단/평가 해 보아야 하는 이유 /189
⑵ 모집에 대한 효과성 판단 시 주된 평가 내용 /189
⑶ 평가 방법 /190
⑷ 모집 효과성 판단에 활용되는 주요 지표들 /190
Your Work Space! 191
[68] [선발] 선발의 원칙과 의사결정기법 192
⑴ 선발의 개념 /192 ⑵ 선발의 원칙 /192
⑵ 선발의사결정 기법 /193
Your Work Space! 194
[69] [선발] 선발도구로서 면접 195
⑴ 선발도구로서 면접(interview)의 중요성 /195
⑵ 면접 유형 /195 ⑶ 면접 방법 /196
Your Work Space! 197
[70] [선발] 선발도구와 과정에 대한 평가 198
⑴ 선발에 대한 평가의 중요성 /198 ⑵ 선발의사결정에 있어서 예측치와 준거치 /198
⑶ 선발의 타당성(Validity) /199 ⑷ 선발의 신뢰성(Reliability) /199
⑸ 선발의 효용성(Utility or Practicality) /200
Your Work Space! 200

Ⅵ 인사평가

[71] [인사평가] 개념, 목적, 중요성 203
⑴ 인사평가의 개념 /203 ⑵ 인사평가의 목적과 중요성 /203
⑶ 인사평가와 타 인사 기능과의 관계 /204
Your Work Space! 204
[72] [인사평가] 평가의 구성요건(평가의 관리기준) 205
⑴ 타당성 /205 ⑵ 신뢰성 /206
⑶ 수용성 /206 ⑷ 실용성 /207
Your Work Space! 207
[73] [인사평가] 평가오류의 종류와 원인들 208
⑴ 평가자 오류 /208 ⑵ 피평가자 오류 /209
⑶ 제도적 오류 /209
Your Work Space! 210
[74] [인사평가] 평가오류의 극복방안 211
⑴ 평가자 오류의 극복방안- 평가능력의 향상 /211
⑵ 피평가자 오류의 극복방안-자기개방 노력 /211
⑶ 제도적 오류의 극복방안 - 제도적 장치 개선 /212
Your Work Space! 212
[75] [인사평가] 피평가자 오류극복 - 자기개방노력 213
⑴ 조하리의 창의 개념 /213 ⑵ 조하리의 창을 통한 분류 기준 /213
⑶ 4개의 창 영역 /214 ⑷ 조하리의 창을 인사관리 제 기능에 활용하는 방안 /214
Your Work Space! 215
[76] [인사평가] 제도의 설계-평가자/시기/빈도/대상 216
⑴ 평가자의 종류(평가 주체)와 선정 /216 ⑵ 피평가자(평가 대상) /218
⑶ 시기와 빈도 /218
Your Work Space! 219
[77] [인사평가제도의 설계] 평가요소(내용), 평가방법 220
⑴ 평가요소(내용) /220 ⑵ 평가 방법 /221
Your Work Space! 222
[78] [인사평가] 팀(집단)평가 223
⑴ 전통적 개인 평가의 특징과 한계- 조직의 협동 시스템 약화 /223
⑵ 팀 평가의 도입 및 운영 /224
Your Work Space! 225
[79] [인사평가] 평가기법(How)- 전체조망 226
⑴ 전통적 기법 /226 ⑵ 현대적 기법 /227
Your Work Space! 228
[80] [인사평가] 평가기법(How)-평가센터기법(Assessment Center Method) 229
⑴ 평가센터기법의 개념과 연혁 /229 ⑵ 평가를 위한 상황과제의 개발 절차 /230
⑶ 평가센터 운영 과정 /230 ⑷ 평가센터 기법의 장점과 단점 /231
⑸ 평가센터 기법의 성공적 실시를 위한 조건 /231
Your Work Space! 232
[81] [인사평가] 평가기법(How)-균형성과표 기법(Balanced Scorecard Method) 233
⑴ BSC의 개념과 연혁 /233 ⑵ BSC의 4가지 관점(Perspectives) /234
⑶ BSC의 개발 과정 /234 ⑷ BSC의 기대효과 /235
Your Work Space! 235
[82] [인사평가] 평가기법(How)- 행위기준평가척도(BARS)와 행위관찰척도(BOS) 236
⑴ 행동(행위)기준 평가의 의의 /236
⑵ 행위기준평가척도(BARS: Behaviorally Anchored Rating Scales) /237
⑶ 행위관찰척도(BOS: Behavior Observation Scales) /237
⑷ 행위기준평가 방식의 장단점 /238
Your Work Space! 238
[83] [인사평가] 평가기법(How)-다면평가(360 feedback) 239
⑴ 다면평가의 개념과 목적 /239 ⑵ 다면평가 도입의 필요성 /239
⑶ 평가주체별 특징 /240 ⑷ 다면평가의 장단점 /240
⑸ 다면평가의 성공적 도입 및 운영의 전제조건 /241
Your Work Space! 241
[84] [인사평가] 평가기법(How)-MBO(목표관리법, 목표에 의한 관리기법) 242
⑴ MBO(Management by Objectives)의 개념과 연혁 /242
⑵ MBO를 실시하기 위한 전제조건 /242 ⑶ MBO의 목표가 가져야 하는 특성(SMART) /243
⑷ MBO제도의 설계 및 운영 과정 /243 ⑸ MBO제도의 장단점 /244
⑹ MBO제도에 대한 평가 /244
Your Work Space! 245
[85] [인사평가] 평가결과의 활용 및 평가제도의 개선 방향 246
⑴ 평가결과의 활용 /246 ⑵ 평가제도의 개선 방향 /247
Your Work Space! 247
[86] 인사감사(Personnel Audit) 248
⑴ 인사감사의 개념, 목적, 기능 /248 ⑵ 인사감사의 종류 /249
⑶ 인사감사의 방식 /249 ⑷ 인사감사의 한계 /250
⑸ 인사감사의 실시의 전제조건 /250
Your Work Space! 251

Ⅶ 인적자원개발과 교육훈련

[87] [인적자원개발] HRD의 발달과정 255
⑴ 인적자원개발(HRD: Human Resource Development)의 태동기 /255
⑵ HRD의 이론적 완성기 /256 ⑶ HRD의 현재 모습 /256
Your Work Space! 256
[88] [인적자원개발] HRD의 개념과 영역 257
⑴ 인적자원개발(Human Resource Development)의 개념 /257
⑵ HRM과 HRD의 영역-HR Wheel을 중심으로 /257
⑶ HRD의 주요 3 영역 /258
Your Work Space! 259
[89] [인적자원개발] HRD의 목적과 트렌드 260
⑴ HRD의 목적 /260 ⑵ HRD의 트렌드 /261
Your Work Space! 261
[90] [교육훈련] 개념/필요성 262
⑴ 교육훈련의 개념과 특징 /262 ⑵ 교육훈련의 필요성 /263
⑶ 교육훈련의 목적과 기대효과 /263 ⑷ 교육훈련의 내용 /263
Your Work Space! 264
[91] [교육훈련] 수요조사와 과정설계 265
⑴ 교육훈련 수요 분석(Training Needs Analysis) /265
⑵ 과정 설계 및 개발(Course Design & Development) /266
Your Work Space! 267
[92] [교육훈련] 실시의 유형과 기법 268
⑴ 교육훈련 장소와 주체에 따른 구분 /268 ⑵ 교육 대상자에 따른 구분 /269
⑶ 교육 내용에 따른 구분 /270 ⑷ 교육진행 방식에 따른 구분 /270
Your Work Space! 271
[93] [교육훈련] 평가 - 목적, 접근법, 개별 평가 기법 272
⑴ 교육훈련 평가의 개념 /272 ⑵ 교육훈련 평가의 목적 /272
⑶ 교육훈련 평가에 대한 접근법 /273
⑷ 커크패트릭의 4단계 교육훈련 평가 모형- 교육훈련과정의 효과성 관점 /274
⑸ 골드슈타인의 교육훈련 타당성 평가 모형 /274
Your Work Space! 275
[94] [교육훈련] ROI를 활용한 평가 276
⑴ ROI의 개념과 인적자원개발 분야에 대한 평가에 도입된 배경 /276
⑵ ROI 도입의 목적과 용도 /277
⑶ ROI를 통한 측정 및 평가의 주요 영역 /277
⑷ 인사부문 ROI 측정을 위한 요소들 /277
⑸ 인적자원 분야 ROI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방안 /278
Your Work Space! 278
[95] [교육훈련] 변화 동향 279
⑴ 전략과의 연계성 강화 /279 ⑵ On/Off line의 교육의 연계 /279
⑶ 수요자 중심의 내용 설계와 운영 /280 ⑷ 아웃소싱의 증가 /280
Your Work Space! 280
[96] [교육훈련] Self Development 281
⑴ 교육훈련 방법으로서 Self Development 도입, 확산 배경 /281
⑵ Self Development의 개념과 특징 /282
⑶ Self Development의 운영과정과 구체적 운영방안의 종류 /282
⑷ Self Development 장단점 /282
⑸ Self Development의 성공적 운영을 위한 전제조건 /283
Your Work Space! 283
[97] [교육훈련] Action Learning 284
⑴ 교육훈련의 패러다임 변천 /284 ⑵ Action Learning의 개념과 특징 /285
⑶ Action Learning의 운영과정 /285 ⑷ Action Learning의 장단점 /286
⑸ Action Learning의 성공적 운영을 위한 전제조건 /286
Your Work Space! 286
[98] [교육훈련] e-Learning, Blended Learning 287
⑴ e-Learning /287 ⑵ Blended Learning /288
Your Work Space! 289
[99] [교육훈련] 인적자원개발 마케팅 290
⑴ 인적자원개발 마케팅의 개념 /290 ⑵ 교육훈련 프로그램 포트폴리오 분석 /291
Your Work Space! 292
[100] [교육훈련] 인적자원 포트폴리오 관리 293
⑴ 인적자원 포트폴리오 관리의 의의와 목적 /293
⑵ 인적자원 포트폴리오 관리를 위한 계량적 분석의 전제 /294
⑶ 인적자원 포트폴리오의 분석과 유형 /294
⑷ 인적자원 포트폴리오 분석이 관리자에게 주는 시사점 /295
Your Work Space! 295

Ⅷ 승진, 배치이동, 이직

[101] [승진/배치/이동] 승진관리 299
⑴ 승진의 개념과 중요성 /299 ⑵ 승진의 기준과 주요 과제 /300
⑶ 승진관리의 기본 원칙 /300 ⑷ 승진의 유형 /300
⑸ 승진제도의 운영과정 /301 ⑹ 승진의 성공적 운영조건 /301
Your Work Space! 301
[102] [승진/배치/이동] 배치 및 이동관리 302
⑴ 배치와 이동의 개념과 중요성 /302 ⑵ 배치와 이동의 과제 /303
⑶ 배치와 이동의 기본 원칙 /303 ⑷ 적정 배치를 위한 방안 /303
⑸ 배치 및 이동의 과정 /303 ⑹ 부적격자에 대한 처리 /304
⑺ 성공적인 배치와 이동을 위한 전제조건 /304
Your Work Space! 304
[103] [승진/배치/이동] 이직관리 305
⑴ 이직의 개념 /305 ⑵ 이직관리의 중요성 /305
⑶ 이직의 기능 및 효과 /306 ⑷ 이직의 적정 수준 관리 /306
⑸ 자발적 이직과 관리 방안 /307 ⑹ 비자발적 이직과 관리방안 /308
Your Work Space! 309
[104] [승진/배치/이동] 전직지원제도(Outplacement) 310
⑴ 전직지원제도의 개념 /310 ⑵ 전직지원제도의 필요성 /310
⑶ 전직지원제도의 주요 내용 /311 ⑷ 전직지원제도의 도입 방법 /311
⑸ 전직지원제도 운영 과정 /311 ⑹ 전직지원제도의 유형 /312
⑺ 전직지원제도의 효과 /312 ⑻ 성공적인 전직지원제도 운영을 위한 조건 /312
Your Work Space! 313

Ⅸ 경력개발

[105] [경력개발] 관련 주요 용어와 개념 317
⑴ 경력개발과 경력관리의 필요성 /317 ⑵ 경력개발의 목적 /317
⑶ 경력개발과 관련된 주요 용어와 개념 /318
⑷ 경력개발 프로세스 /319 ⑸ 경력개발의 기본원칙 /319
Your Work Space! 319
[106] [경력개발] 개발모형 320
⑴ 개인차원의 경력개발 모형 /320 ⑵ 조직차원의 경력개발 모형 /321
⑶ 개인차원과 조직차원의 경력개발의 통합 모형 /322
Your Work Space! 322
[107] [경력개발] 직업 선택단계와 경력초기 단계 323
⑴ 직업선택 및 입사 단계(25세 이전) /323 ⑵ 경력초기 단계(25세~40세) /324
Your Work Space! 325
[108] [경력개발] 경력중기 및 경력말기 단계 326
⑴ 경력중기 단계(40~55세) /326 ⑵ 경력말기 단계(55세 이상) /327
Your Work Space! 328
[109] [경력개발] 효과적 경력개발제도 운영의 전제 329
Your Work Space! 330

Ⅹ 노사관계관리

[110] [노사관계] 노사관계와 노동조합 333
⑴ 노사관계의 개념과 특징 /333 ⑵ 노동조합 /334
Your Work Space! 336
[111] [노사관계] 단체교섭과 노동쟁의 337
⑴ 단체교섭 /337 ⑵ 노동쟁의 /339
Your Work Space! 340
[112] [노사관계] 경영참가 341
⑴ 경영참가의 개념과 목적 /341 ⑵ 단체교섭과의 차이점 /341
⑶ 경영참가의 유형 /342 ⑷ 경영참가와 관련된 문제점 /343
Your Work Space! 343

ⅩⅠ 산업안전보건관리

[113] [산업안전보건관리] 안전관리와 보건관리 347
⑴ 산업재해의 개념과 주요 지표 /347 ⑵ 안전보건관리의 개념과 필요성 /348
⑶ 안전관리 /348 ⑷ 보건관리 /349
⑸ 안전보건관리를 위한 조직적 대책 /350
Your Work Space! 350

ⅩⅡ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114]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인적자원의 속성과 환경 353
⑴ 인적자원의 중요성 /353 ⑵ 외부환경의 변화와 인적자원에 대한 영향 /354
⑶ 내부환경과 인적자원에 대한 영향 /355
Your Work Space! 355
[115]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전략경영 356
⑴ 전략과 전략경영의 개념 및 기능 /356 ⑵ 전략경영 프로세스 /357
⑶ 전략경영과 인적자원관리와의 관계 /357
Your Work Space! 358
[116]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포터의 본원적 경쟁전략에 따른 인적자원관리 방식 359
⑴ 포터의 본원적 경쟁전략(Porter's generic competitive strategy) /359
⑵ 원가우위전략에 따른 인적자원관리 방식의 특징 /360
⑶ 차별화전략에 따른 인적자원관리 방식의 특징 /360
⑷ 집중화전략에 따른 인적자원관리 방식의 특징 /361
Your Work Space! 361
[117]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마일즈-스노우의 전략유형에 따른 인적자원관리 방식 362
⑴ 마일즈-스노우의 전략유형(Miles & Snow's Strategy Typology) /362
⑵ 방어형 전략유형과 인적자원관리 방식 /362
⑶ 혁신형 전략유형과 인적자원관리 방식 /363
⑷ 분석형 전략유형과 인적자원관리 방식 /364
Your Work Space! 365
[118]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성장전략과 그에 따른 인적자원관리 방식 366
⑴ 성장전략의 개념과 인적자원관리 /366 ⑵ 집중화전략(Focus Strategy) /366
⑶ 내부성장전략(Internal Growth Strategy) /367 ⑷ 외부성장전략(External Growth Strategy) /367
⑸ 축소전략 /367
Your Work Space! 368
[119]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조직의 수명주기와 그에 따른 인적자원관리 방식 369
⑴ 조직생애주기의 개념과 인적자원관리 /369
⑵ 도입기에 있는 조직들의 인적자원관리 방식 /369
⑶ 성장기에 있는 조직들의 인적자원관리 방식 /370
⑷ 성숙기에 있는 조직들의 인적자원관리 방식 /370
⑸ 쇠퇴기에 있는 조직들의 인적자원관리 방식 /371
Your Work Space! 371
[120]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e-HRM 372
⑴ e-HRM의 개념과 중요성 /372 ⑵ e-HRM의 발전단계 /373
⑶ e-HRM의 주요 기능과 활용 /373 ⑷ e-HRM의 도입효과 /374
Your Work Space! 374
[121]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아웃소싱 375
⑴ 아웃소싱의 개념과 아웃소싱 확산의 배경 /375
⑵ 아웃소싱 대상 업무 범위 /375 ⑶ 아웃소싱의 장단점 /376
⑷ HR 분야의 아웃소싱 /376
⑸ 아웃소싱의 성공적 운영을 위한 전제조건 /377
Your Work Space! 378
[122]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HR부서와 담당자의 역할 379
⑴ 인적자원관리 활동과 인적자원관리 담당 부서 /379
⑵ HR부서의 역할과 변화 /380 ⑶ HR담당자들에게 요구되는 스킬 /380
⑷ 일선관리자의 HR관련 역할 /381
Your Work Space! 381
[123]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고성과 조직관리(High Performance Work System) 382
⑴ 고성과작업시스템에 대한 연구배경 /382 ⑵ 고성과 작업 시스템의 개념 /382
⑶ 고성과 작업 시스템 운영 원칙 /383 ⑷ 고성과 작업시스템의 효과 /383
⑸ 고성과조직의 구성요소 /383 ⑹ 고성과조직 구축을 위한 조건 /384
⑺ 고성과조직 구축 및 운영을 위한 HR의 역할 /384
Your Work Space! 385

ⅩⅢ 국제 인적자원관리

[124] [국제인적자원관리] 국제인적자원관리의 개념 389
⑴ 국제인적자원관리가 중요해 진 배경 /389 ⑵ 한국기업의 국제화 단계 /390
⑶ 국내 인적자원관리와의 차이점 /390 ⑷ 국제인적자원관리를 위한 3가지 차원 /391
Your Work Space! 391
[125] [국제인적자원관리] 주요 기능과 활동 392
⑴ 모집과 선발 /392 ⑵ 교육훈련 /394
⑶ 평가와 보상 /394
Your Work Space! 395
[126] [국제인적자원관리] 국제인적자원관리와 관련된 쟁점들 396
⑴ 충원과 승진 /396 ⑵ 재귀국 문제 /397
⑶ 충성심의 분리 /397 ⑷ 의사소통 /397
⑸ 권한위임 /397 ⑹ 노사관계 /398
Your Work Space! 398
[127] [국제인적자원관리] 거래비용이론 399
⑴ 거래비용이론의 개요 /399 ⑵ 거래비용의 발생 요인 /400
⑶ 거래비용의 구성 요소/종류 /400
⑷ 거래비용이론에 따른 국제인적자원관리의 역할과 과제 /400
⑸ 거래비용이론을 국제 인적자원관리에 적용하기 위한 전제조건 /401
Your Work Space! 401

ⅩⅣ 여성.고령자.비정규직 인적자원관리

[128] [여성인력활용] 배경/필요성/여성인력 유형과 개발전략 405
⑴ 여성인력활용 논의의 배경 및 필요성 /405 ⑵ 여성인력에 대한 경력개발 /407
Your Work Space! 408
[129] [여성인력활용] 여성관리자의 개발과 유리천정 409
⑴ 여성관리자 현황과 잠재적 문제점들 /409
⑵ 여성관리자들의 개발, 성장 방해 요인들과 해결방안 /410
⑶ 유리천장 현상과 극복해야 할 과제들 /411
⑷ 여성 리더십 활용의 필요성과 장점 /412
Your Work Space! 412
[130] [여성인력활용] 여성인력 활용을 위한 지원과 대안적 노동형태 413
⑴ 여성인력 활용을 위한 주체별 역할 /413 ⑵ 여성인력 활용을 위한 대안적 노동형태 /415
Your Work Space! 416
[131] 고령자 인적자원관리 417
⑴ 고령자 인적자원관리가 중요해진 배경과 고령화 현황 /417
⑵ 고령 인력에 대한 선입견 /418 ⑶ 고령 인적자원 관리를 위한 접근방안 /418
Your Work Space! 419
[132] 비정규직 인력관리 420
⑴ 비정규직의 개념과 비정규직 확대의 배경 /420
⑵ 비정규직의 노동형태 /421 ⑶ 비정규직 활용 시의 장단점 /421
⑷ 비정규직에 대한 2가지 시각과 인적자원관리 접근방식 /422
⑸ 비정규직 인력의 전략적 활용을 위한 방안 /422
Your Work Space! 422

ⅩⅤ 윤리적 인적자원관리와 다양성관리

[133] 윤리적 인적자원관리 425
⑴ 윤리적 인적자원관리 논의의 배경 /425 ⑵ 기업윤리와 윤리적 인적자원관리의 의미 /425
⑶ 윤리성 판단의 근거 /426 ⑷ 윤리적 인적자원관리의 실천기준과 방안 /426
⑸ 윤리적 인적자원관리 도입의 효과 /427
⑹ 윤리적 인적자원관리와 관련된 최근의 이슈들 /427
Your Work Space! 428
[134] 인력다양성 관리 429
⑴ 다양성 관리가 조직에게 중요해진 배경 /429
⑵ 다양성의 개념과 종류 /430 ⑶ 다양성관리가 필요한 영역과 관리방안 /430
⑷ 다양성이 가져다 주는 장단점 /431 ⑸ 성공적인 다양성 관리를 위한 요건 /431
Your Work Space! 432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