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기초의학 > 의화학
· ISBN : 9791188141043
· 쪽수 : 524쪽
· 출판일 : 2018-08-10
목차
Chapter 01 제1장 임상화학의개념
Chapter 02 제2장 분석기구
1. 기구의 재질
2. 측정단위
3. 일반 기구
4. 초자기구의 세정
5. 검사실 안전
Chapter 03 제3장 시약
1. 물
2. 시약 등급 물 종류
3. 시약의 규격
4. 표준 물질
5. 건조
Chapter 04 제4장 저울
1. 저울의 종류
2. 저울에 필요한 기구
3. 전자저울의 사용법
4. 저울의 안전관리 및 주의점
Chapter 05 제5장 원심분리기
1. 원심분리기의 종류
2. 원심분리기의 관련 장치
3. 원심력의 산출법
Chapter 06 제6장 용액
1. 용액의 종류
2. 용액의 농도
3. 투석
4. Dilution(희석, 묽힘)
5. Salting in(염용)
6. Salting-out(염석)
7. Incineration(회화,灰化)
Chapter 07 제7장 산ㆍ염기
1. 산(acid)ㆍ염기(base)의 정의
2. 반응의 형태
3. 전해질
4. 완충액(Buffer solution)
5. pH
Chapter 08 제8장 전기화학분석
1. Potentiometry(전위측정법, 전압측정법)
2. 전류측정법(Amperomety)
3. 전기량 측정법(Coulometry)
Chapter 09 제9장 분광광도계
1. Colorimetry(비색법, 색측정법)의 원리
2. 분광광도계의 구조
3. 분광 광도계의 사용법
Chapter 10 제10장 형광 광도계
1. 형광의 원리
2. 형광광도계의 장치
Chapter 11 제11장 Immunonephelometry(면역혼탁계측기, 면역비탁계측기)
1. Laser의 원리
2. Immunonephelometry(nephelometry)의 측정
3. 면역확산(mmunodiffusion)법
Chapter 12 제12장 Atomic Spectrophotometer(AAS, 원자흡수분광광도계)
1. 원자흡수분광광도게법의 원리
2. 불꽃(Flame)
3. 기기 장치
4. 표준분석법 예
Chapter 13 제13장 삼투압계(Osmometer)
1. 삼투압 측정의 원리적인 종류
2. 빙점 강하의 osmometer(삼투압계)
3. Vapor Pressure Osmometer[증기압(dew point; 이슬점) 삼투압계]
Chapter 14 제14장 임상화학 자동화 분석기
1. 임상화학의 Manual(수기, 수동) 방법과 자동화 분석기의 차이점
2. 임상화학 자동화 분석기의 분류
3. 임상화학 자동화 분석기의 선택
Chapter 15 면역화학 자동화 분석기
1. 방사면역측정법과 면역방사측정법
2. 효소면역분석법(Enzyme Immunoassay, EIA)
3. 면역화학 분석법에 사용하는 기본 원리
4. 측정법에 사용하는 일반적인 표지물질
5. 경쟁 단백결합 측정법(Competitive protein binding assay)
6. 면역화학 분석기의 종류
Chapter 16 분리분석
1. Electrophoresis(전기이동, 전기영동)
2. Chromatography(크로마토그래피)
3. Mass Spectrometer(질량분광계)
Chapter 17 통계
1. 통계학(Statistics)
2. 기술통계학과 추측통계학
3. 모집단과 표본
4. 도수분포표
5. 자료의 통계적 측정
6. 상관 및 회귀
7. 가설 검정
Chapter 18 Quality control(질관리, 정도관리)
1. Quality control(질관리, 정도관리)의 역사
2. Quality control(질관리, 정도관리)의 중요성
3. 측정 오차(Errors)의 종류
4. 오차의 허용범위
5. 정도관리(질관리)의 종류
6. 개별 정도관리
Chapter 19 기준치(Reference value; 기준값)
1. 기준치(Reference value; 기준값)의 의의
2. 기준치(Reference value; 기준값)의 분포
3. 기준치(Reference value; 기준값)의 계산법
4. 기준치(Reference value; 기준값)의 영향 인자
5. 개체간의 변동과 개인 기준치
Chapter 20 검체 취급법
1. 검체의 종류
2. 혈액 검체의 채혈
3. 혈액 성분 변동인자
4. 용혈의 영향
5. 검체의 성분변화 및 보존
Chapter 21 단백질제거법(Deproteinization Method)
1. 단백질제거법(Deproteinization Method)의 원리적 분류
2. 단백질제거법(Deproteinization Method)의 종류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