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기초의학 > 의화학
· ISBN : 9791188141197
· 쪽수 : 542쪽
· 출판일 : 2020-02-05
책 소개
목차
제1장 임상화학의개념
제2장 분석기구
1. 기구의 재질
1.1. 유리(초자)
1.2. Plastic
1.3. 합성고무
2. 측정단위
2.1. SI 단위
3. 일반 기구
3.1. 초자 기구의 종류
4. 초자기구의 세정
4.1. 일반적인 세정법
4.2. Dichromate cleaning solution(중크롬산염 세정액)
4.3. 산(acid)처리 초자기구 세정법
4.4. Blood clot(피덩이, 피떡)이 굳은 초자기구 세정법
5. 검사실 안전(Laboratory safety)
5.1. 물리적 위험요소(Physical hazards)
5.2. 화학적 위험요소(Chemical hazard)
5.3. 생물학적 위험요소(Biological hazards)
제3장 시약
1. 물
1.1. Reagent-Grade Water(시약 등급 물)
1.2. 물의 정제법
1.3. 물의 정제 과정
2. 시약 등급 물(reagent grade water) 종류
3. 시약의 규격
3.1. 화학 시약 등급(Chemical reagent grade)
3.2. 기타
3.3. 의약품 규격
4. 표준 물질
4.1. 일차표준물질(primary standard)의 종류
4.2. 이차표준물질(secondary standard)의 종류
4.3. 임상화학용 표준물질
4.4. 시약 사용의 주의점
5. 건조
5.1. Desiccators(데시케이터, 건조기)
5.2. 세기병(Gas washing bottles : 가스세척병)
5.3. 건조기(Drying oven)
5.4. 항온수조(Water bath)
5.5. Fume hood(흄 후드)
5.6. 가열 및 교반장치
제4장 저울
1. 저울의 종류
1.1. 기계식 저울(Mechanical balances)
1.2. 전자저울(Electronic balance)
2. 저울에 필요한 기구
2.1. 분동(Weights)
2.2. 분동 집게(Weight forceps)
2.3. 약포지(Weighing paper)
2.4. 칭량병과 칭량 접시
2.5. 시약 스푼(Lab-spoon)
2.6. 정전기 방지 솔(Antistatic brush)
3. 전자저울의 사용법
4. 저울의 안전관리 및 주의점
제5장 원심분리기
1. 원심분리기의 종류
1.1. 저속 원심분리기
1.2. 고속 원심분리기
1.3. 초고속 원심분리기(Ultracentrifuge)
2. 원심분리기의 관련 장치
2.1. 원심분리기의 사용법
3. 원심력의 산출법
제6장 용액
1. 용액의 종류
1.1. 단순용액(Simple solution)
1.2. 포화 용액(Saturated solution)
1.3. 과포화 용액(Super saturated solution)
1.4. 콜로이드 용액(Colloidal solution, 교질 용액)
1.5. 현탁액(Suspension, 부유액)
1.6. 유탁액(Emulsion, 에멀션)
2. 용액의 농도
2.1. Percent(%) 용액
2.2. 몰(분자) 용액(M/L, mole solution)
2.3. 규정용액(N/L, normal solution)
2.4. 오스몰 용액(Osmolar solution; 삼투질 용액)
2.5. 등장 용액(Isotonic solution)
3. 투석(Dialysis)
4. Dilution(희석, 묽힘)
5. Salting in(염용)
6. Salting-out(염석)
7. Incineration(회화, 灰化)
제7장 산ㆍ염기
1. 산(acid)ㆍ염기(base)의 정의
1.1. 산(Acid)
1.2. 염기(Base)
1.3. 염(Salt)
2. 반응의 형태
2.1. 치환반응
2.2. 산화-환원반응
3. 전해질(electrolyte)
4. 완충액(Buffer solution)
4.1. Buffer solution(완충액)의 정의
4.2. Henderson?Hasselbalch equation(헨더슨-하셀바흐 방정식)
4.3. 완충액의 종류
4.4. 이온 강도(Ionic strength)
5. pH
5.1. pH의 개념
5.2. 지시약(Indicator)
5.3. pH meter(pH 측정기)
제8장 전기화학분석
1. Potentiometry(전위측정법, 전압측정법)
1.1. Glass Electrode(유리전극)
1.2. Solid-State Electrodes(고체 전극)
1.3. Ion-Exchange Electrode(이온교환 전극, Plastic membraneElectrode; 플라스틱막 전극)
1.4. Gas Electrode(가스 전극)
1.5. Enzyme Electrode(효소 전극)
1.6. Reference Electrode(기준전극, 참고전극)
2. 전류측정법(Amperometry)
2.1. pO2 Electrode(pO2 전극)
2.2. 과산화수소전극(Peroxidase electrode)
3. 전기량 측정법(Coulometry)
4. 전도도 측정법(Conductometry)
5. 전기화학 센서 전극(Electrochemical sensor electrodes)
제9장 분광 광도계
1. Colorimetry(비색법, 색측정법)의 원리
1.1. 빛의 기본적 성질
1.2. 색의 성질
1.3. 빛 흡수의 법칙
2. 분광광도계의 구조
2.1. 광원(light source)
2.2. Entrance slit(입구 슬릿)
2.3. 단색화 장치(Monochromators)
2.4. 시료부의 Cuvette(큐벳)
2.5. 검출부(Detectors)
2.6. 판독부
3. 분광 광도계의 사용법
3.1. 사용법
3.2. 농도계산
제10장 형광 광도계
1. 형광의 원리
2. 형광 광도계의 장치
2.1. Radiant energy source(복사 에너지 원)
2.2. Monochromators(단색화 장치)
2.3. 형광 광도계의 기본적인 구조
2.4. 형광 광도계의 장 단점
제11장 Immunonephelometry(면역혼탁계측기, 면역비탁계측기)
1. Laser의 원리
2. Immunonephelometry(nephelometry)의 측정
2.1. 원리
2.2. 광학 구조
2.3. 측정 대상
2.4. 장ㆍ단점
3. 면역확산(Immunodiffusion)법
3.1. Oudin(오딘) 확산법
3.2. Ouchterlony double diffusion(오커틀리 이원 확산법)
3.3. 방사상면역확산(Radial Immunodiffusion, RID)법
제12장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AAS, 원자흡수분광광도계)
1. 원자흡수분광광도계법의 원리
2. 불꽃(Flame)
2.1. 불꽃 원자화 과정
2.2. 불꽃의 구조
3. 기기 장치
3.1. 광원
3.2. 원자화 장치
3.3. 분광계통
3.4. 검출계통
4. 표준분석법 예
4.1. Ag
4.2. Ca
제13장 삼투압계(Osmometer)
1. 삼투압 측정의 원리적인 종류
2. 빙점 강하의 osmometer(삼투압계)
2.1. 빙점의 현상
2.2. 빙점측정의 원리
2.3. Osmometer 측정
2.4. μ OSMETTE(Micro osmometer)의 사용법
3. Vapor Pressure Osmometer[증기압(dew point; 이슬점) 삼투압계]
3.1. Vapor pressure osmometer(증기압 삼투압계)의 원리
3.2. 측정과정
제14장 임상화학 자동화 분석기
1. 임상화학의 Manual(수기, 수동) 방법과 자동화 분석기의 차이점
1.1. Manual(수기, 수동) 방법
1.2. 자동화 분석기의 분석 과정
2. 임상화학 자동화 분석기의 분류
2.1. Discrete analyzer(개별 분석기)
2.2. Centrifugal analyzer(원심 분석기)
2.3. Continuous flow analyzer(연속흐름 분석기)
2.4. Dry chemistry analyzer(드라이 케미스트리 분석기, 건식화학 분석기)
3. 임상화학 자동화 분석기의 선택
제15장 면역화학 자동화 분석기
1. 방사면역측정법과 면역방사측정법
1.1. 방사면역측정법(Radioimmunoassay, RIA)
1.2. 면역방사측정법(Immunoradiometric assay, IRMA)
2. 효소면역분석법(Enzyme Immunoassay, EIA)
2.1. Heterogeneous EIA
2.2. Homogeneous EIA
2.3. 형광면역분석법(Fluorescence immunoassay, FIA)
2.4. 화학발광분석법(Chemiluminescence assay)
3. 면역화학 분석법에 사용하는 기본 원리
3.1. 경쟁 결합방식(Competitive binding type)
3.2. 샌드위치 결합 방식(Sandwich binding type, Two-site)
4. 측정법에 사용하는 일반적인 표지물질
4.1. RIA(Radioimmunoassay)
4.2. EIA(Enzyme immunoassay)
4.3. 형광면역분석법(FIA)
4.4. FPIA
4.5. 화학발광분석(Chemiluminescence assay)
5. 경쟁 단백결합 측정법(Competitive protein binding assay)
6. 면역화학 분석기의 종류
6.1. IMx
6.2. TDxFLx
6.3. Abbott의 Axsym analyzer
6.4. 화학발광 분석기(Chemiluminescence analyzer)
6.5. 전기화학발광분석기(Electrochemiluminescence analyzer)
제16장 분리분석
1. Electrophoresis(전기이동, 전기영동)
1.1. Electrophoresis(전기이동, 전기영동)의 원리
1.2. Electrophoresis에 관여하는 요소
1.3. Electrophoresis의 종류
1.4. Electrophoresis에 사용하는 염색 시약
1.5. Protein electrophoresis의 실제
1.6. Immunoelectrophoresis(면역전기이동법; IEP)
1.7. Immunofixation electrophoresis(IFE, 면역고정 전기이동법)
2. Chromatography(크로마토그래피)
2.1. 크로마토그래피의 정의
2.2. 크로마토그래피의 분류
2.3. 크로마토그래피의 실험적 방법
3. Mass Spectrometer(질량분광계)
3.1. Mass spectrometer의 원리
3.2. Mass spectrometer의 구조
4. 모세관 전기이동(Capillary electrophoresis, CE)
제17장 통계
1. 통계학(Statistics)
2. 기술통계학과 추측통계학
2.1. 기술통계학
2.2. 추측(추리)통계학
3. 모집단과 표본
3.1. 모집단
3.2. 표본
4. 도수분포표
4.1. 도수분포표의 작성
4.2. 도표의 종류
5. 자료의 통계적 측정
5.1. 대푯값
5.2. 산포도
6. 상관 및 회귀
6.1. 상관 계수(Correlation coefficient)
6.2.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
7. 가설 검정
7.1. 가설의 개념
7.2. 가설검정의 개념
7.3. 가설 검정의 오류
7.4. 가설검정의 방법
제18장 Quality control(질관리, 정도관리)
1. Quality control(질관리, 정도관리)의 역사
2. Quality control(질관리, 정도관리)의 중요성
3. 측정 오차(Errors)의 종류
3.1. 고유오차
3.2. 기술오차
4. 오차의 허용범위
4.1. Tonks의 허용오차
4.2. 생리적 변동에 의한 허용오차의 범위
5. 정도관리(질관리)의 종류
5.1. 정밀도(precision) 정도관리
5.2. 정확도(accuracy) 정도관리
6. 개별 정도관리
6.1. 이상치 Check
6.2. 상관 check
6.3. Delta check
제19장 기준치(Reference value; 기준값)
1. 기준치(Reference value; 기준값)의 의의
2. 기준치(Reference value; 기준값)의 분포
3. 기준치(Reference value; 기준값)의 계산법
3.1. Percentile 법
3.2. 확률지법
3.3. Parametric 법
4. 기준치, 기준값(Reference value; 기준값)의 영향 인자
4.1. 연령
4.2. 성별
4.3. 식사
4.4. 일내변동
4.5. 체위
4.6. 운동
5. 개체간의 변동과 개인 기준치
제20장 검체 취급법
1. 검체의종류
1.1. Blood(혈액, 피)
1.2. Urine(소변, 요)
1.3. Body Fluid(체액)·
2. 혈액 검체의 채혈
2.1. 공복
2.2. 식후
3. 혈액 성분 변동인자
3.1. 식사의 영향
3.2. 일내 변동
3.3. 연령
3.4. 성별의 차
3.5. 운동의 영향
3.6. 음주의 영향
3.7. 임신의 영향
3.8. 기타
4. 용혈의 영향
4.1. Hemoglobin의 영향
4.2. 적혈구 성분의 영향
5. 검체의 성분변화 및 보존
5.1. 검체의 성분 변화
5.2. 검체의 보존
제21장 단백질제거법(Deproteinization Method)
1. 단백질제거법(Deproteinization Method)의 원리적 분류
1.1. 가열
1.2. 염석
1.3. 유기용매
1.4. 알칼로이드 시약(음이온)
1.5. 금속염(양이온)
1.6. 분자체법
2. 단백질제거법(Deproteinization Method)의 종류
2.1. Folin-Wu Method(폴린-우 법)
2.2. Trichloroacetic acid Method(삼염화아세트산 법)
2.3. Perchloric acid Method(과염소산 법, Neuberg Method; 노이베르크 법)
2.4. Metaphosphoric acid Method(메타인산 법)
2.5. Somogyi Method(소모기 법)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