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컴퓨터 공학 > 마이크로프로세서
· ISBN : 9791188621415
· 쪽수 : 236쪽
· 출판일 : 2018-10-15
책 소개
목차
CHAPTER 01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의 이해
1.1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이해 1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란 무엇인가? 1
1.2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13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의 이해 13
서비스지향 아키텍처 15
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인가? 22
CHAPTER 02 클라우드 네이티브의 이해
2.1 클라우드 네이티브 26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26
클라우드 네이티브 아키텍처 32
클라우드 네이티브 인프라 35
지속적 통합과 배포 37
데브옵스 40
2.2 컨테이너 42
컨테이너 개념 42
리눅스 컨테이너 45
도커 컨테이너 47
CHAPTER 03 마이크로서비스 이해와 기획
3.1 마이크로서비스 이해 54
마이크로서비스 개념 54
3.2 마이크로서비스 기획 62
마이크로서비스 식별 전략 63
마이크로서비스를 위한 고려 사항 74
CHAPTER 04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설계
4.1 마이크로서비스 설계 81
커피 전문점 서비스 이해 81
커피 전문점 마이크로서비스 개념 설계 84
커피 전문점 마이크로서비스 구조 설계 92
4.2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설계 102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구성 103
서비스 구성 체계 109
테스트 체계 113
지속적 통합 및 배포체계 설계 116
모니터링 체계 설계 118
CHAPTER 05 마이크로서비스 구현
5.1 마이크로서비스 구성 121
개발 환경 구성 121
커피 전문점 마이크로서비스 구성도 및 구성 요소 124
5.2 마이크로서비스 구현 136
커피 주문 마이크로서비스 구현 136
회원 확인 마이크로서비스 구현 145
CHAPTER 06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구축
6.1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구성 155
스프링 클라우드 아키텍처 참조 모델 155
스프링 클라우드 아키텍처 구성 요소 157
커피 전문점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구성도 및 구성 요소 157
6.2 커피 전문점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구축 160
설정 서버 160
유레카 서버 163
줄 서버 166
터빈 서버 171
히스트릭스 대시보드 서버 174
CHAPTER 07 마이크로서비스 빌드 배포
7.1 마이크로서비스 빌드 단위 181
독립 프로젝트 182
복수 프로젝트 183
7.2 마이크로서비스 배포 형태 184
실행 가능한 압축 파일 185
도커 이미지 185
7.3 소스 빌드 및 패키징 187
‘jar’ 빌드 및 패키징 188
‘war’ 빌드 및 패키징 192
도커 이미지 빌드 및 패키징 196
APPENDIX A 커피 전문점 서비스 요약 및 실행
A.1 커피 전문점 서비스 개요 199
커피 전문점 서비스 개념도 199
커피 전문점 서비스 시스템 구성도 및 구성 요소 200
A.2 커피 전문점 서비스 및 에코시스템 기동 202
에코시스템 기동 202
마이크로서비스 기동 205
테스트 테이블 및 데이터 생성 206
A.3 커피 전문점 마이크로서비스 실행 208
커피 주문 208
주문 처리 상태 확인 209
에코시스템 조회 211
참고문헌 213
찾아보기 215
저자소개
책속에서
프로젝트 성공의 열쇠는 구성원들 간의 협업은 물론 과거의 성공했던 경험과 지식을 공유하고 각자의 역할에 충실히 완료하는 것입니다. 성공한 경험의 공유라는 측면에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기반의 시스템 구축이라는, 익숙하지는 않지만 흥미로운 주제를 통해서 경험의 한 조각을 공유하려 합니다. _ix쪽
서비스 개발에서 배포, 운영까지 서비스의 확장이 자유롭고 관리가 쉬운 자동화된 인프라입니다. 서비스를 개발하는 아이디어도 중요하지만, 빠르게 서비스를 개발하고 선보일 수 있는 체계를 갖추는 것이 생존을 위해 훨씬 더 중요할 것입니다. 기업의 입장에서 이러한 체계는 문화적 환경과 방법론, 기술 요소들입니다. 즉, 기업의 문화와 적절한 방법론 그리고 이를 실현할 수 있는 기술적 인프라가 서로 조화를 이룰 때 마이크로서비스의 진정한 가치가 빛나는 것입니다.
자율적 서비스는 서비스를 기획, 개발, 테스트, 배포 및 서비스의 운영까지 담당 조직(팀)이 독립적으로 의사결정을 하고, 서비스에 대한 소유권(ownership)을 가지고 관리되는 서비스입니다. 즉, 비즈니스 변화, 서비스 자체의 문제나 이슈에 대해서 서비스 간 영향 없이 독립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야 합니다. 서비스 자율성의 의미는 서비스를 관리하는 조직의 자율성이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