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교원임용시험 > 특수교육
· ISBN : 9791188913435
· 쪽수 : 611쪽
· 출판일 : 2018-06-04
목차
01 시각장애 9
Ⅰ. 시각장애의 정의 10
1. 법적 정의 10
2. 교육적 정의 10
3. 전통적인 정의에 대한 비판 11
4. 시각장애 관련 용어와 개념 11
5. 시각의 특수성 12
6. 시각 이해를 위한 접근 13
Ⅱ. 진단과 평가(시각기능 검사) 14
1. 시각의 조건 14
2. 안과 진단의 목적과 안과 전문가의 역할 15
3. 시각(시각 능력 검사 / 시각 능력의 분류) 16
4. 진단 ․ 평가의 단계 38
Ⅲ. 원인과 분류 45
1. 개요 45
2. 눈 46
3. 시각계 질환별 기능적인 문제 55
4. 전신 질환별 기능적인 문제 57
5. 출생 시 원인 60
6. 시각장애의 분류 62
Ⅳ. 시각 손상에 따른 특성 64
1. 개요 64
2. 신체 및 운동발달 66
3. 인지 특성 68
4. 언어 특성 71
5. 사회 및 정서 특성 73
6. 중도실명 시각장애 아동의 특성 75
Ⅴ. 저시력 아동의 지도 76
1. 잔존 시력의 활용 76
2. 교수 ․ 학습 환경 96
3. 저시력 아동을 위한 교육적 접근 101
Ⅵ. 맹 학생의 교육적 접근 156
1. 교수학습의 원리 156
2. 구체적인 교수 학습 지도 159
3. 맹 학생을 위한 교수공학 171
Ⅶ. 맹 학생을 위한 특수교육과정 지도 174
1. 한글점자 174
2. 보행훈련 188
Ⅷ. 시각장애 학생의 일반교육과정 232
1. 국어과 학습지도방법 232
2. 사회과 학습지도방법 233
3. 수학과 학습지도방법 234
4. 과학과 학습지도방법 235
5. 외국어(영어) 학습지도방법 236
6. 체육과 학습지도방법 237
7. 기타 교과 학습지도방법 238
8. 일상생활훈련 238
Ⅸ. 농-맹 학생의 지도 240
1. 정의 240
2. 농맹의 특수성 240
3. 농맹 학생의 의사소통 양식 240
02 지체장애 243
Ⅰ. 정의 및 관련 개념 244
1. 정의 244
2. 개념 247
Ⅱ. 진단과 평가 252
1. 지체장애의 진단과 평가 252
2. 중도 ․ 중복 장애학생의 진단과 평가 268
Ⅲ. 원인 282
1. 지체장애 학생의 원인 282
2. 중도 ․ 중복장애 학생의 원인 284
Ⅳ. 특성 285
1. 지체장애 학생의 특성 285
2. 중도 ․ 중복 장애학생의 특성 307
Ⅴ. 원인별 하위 유형 및 교육적 지원 319
1. 신경성 증후군 319
2. 운동기 증후군 365
3. 기타 372
Ⅵ. 교육적 접근 383
1. 교육과정의 적용 383
2. 교수-학습지도 393
3. 교과별 교수-학습지도 402
Ⅶ. 관련 지원 403
1. 자세 지도 403
2. 보행 및 이동 지도 432
3. 일상생활기술 지도 457
03 건강장애 509
Ⅰ. 정의 및 특성 510
1. 정의 및 개념 510
2. 특성 511
Ⅱ. 원인 및 지도방법 513
1. AIDS(후천성면역결핍증) 513
2. 천식 515
3. 암 520
4. 심장질환 523
5. 아동 학대(약물 남용)와 무관심(방치) 525
6. 낭포성 섬유증 527
7. 당뇨병 528
8. 의료취약/ 기술적 의존증 531
9. 겸상적혈구병 532
10. 간 장애 533
11. 신장장애 535
12. 혈우병(hemophilia) 538
Ⅲ. 교육지원 539
1. 일상에서의 건강관리 및 교육지원 539
2. 교육지원 형태 539
3. 일반적 교육지원 545
04 특수교육공학 549
Ⅰ. 특수교육공학의 이해 550
1. 교육과 공학 550
2. 특수교육과 교수 매체의 활용 555
3. 특수교육공학의 개념 560
Ⅱ. 구성 요소 1. 각종 보조공학기기 566
1. 보조공학의 개념과 필요성 566
2. 컴퓨터 접근성 보장을 위한 지원 및 보조공학기기 570
Ⅲ. 구성 요소 2. 서비스 579
1. 보조공학 서비스(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579
2. 보조공학의 사정 580
3. 교육용 프로그램의 평가(소프트웨어 평가) 581
4. 소프트웨어의 개발 585
5. 효과적인 교수용 프로그램의 특징 586
6. 컴퓨터 접근 및 보조공학기기 지원 587
Ⅳ. 구성 요소 3. 전략과 실제 590
1. 특수교육공학의 활용 수업 590
2. 웹접근성 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