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2026 신광은 형법 총론 기본서

2026 신광은 형법 총론 기본서

신광은 (지은이)
느루(미래인재컴퍼니)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800원 -10% 0원
320원
28,4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2026 신광은 형법 총론 기본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2026 신광은 형법 총론 기본서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경찰공무원(승진) > 형법
· ISBN : 9791194635208
· 쪽수 : 502쪽
· 출판일 : 2025-10-02

책 소개

개정법령 및 개정규칙을 완전 반영하였다. 전 직렬 최근 기출문제, 최신판례를 완벽 반영하였고, 이론과 기출문제를 체계적으로 결합하였다. 형법 최고의 단권화 교재이다.
조문&이론, 판례, 기출문제를 단 한 권의 교재로 통합하였습니다.
먼저 신광은 기본서 형법 (총론)을 명실공히 최고의 수험서로서 자리 잡게 해준 많은 수험생들의 애정과 아낌없는 응원에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
수험생들의 애정에 보답하고 그 기대에 부끄럽지 않은 조력자로서 수험생들의 합격에 밑거름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수험시간과 노력 대비 효율성을 높이고, 정확한 이해와 암기를 위해서 꼭 필요하면서 중요한 설문과 판례를 빠짐없이 수록하였습니다.

▮「신광은 기본서 형법 (총론)」의 주요 특징
1 출제경향의 변화에 따른 개정법률 및 개정규칙 완벽 반영
최근 형법 개정 법률을 전부 반영하여 불필요한 내용은 삭제하고, 변경되거나 추가된 내용을 포함시켰습니다. 또한 최근 출제경향이 법조문과 규칙을 묻는 문제가 많아짐에 따라 개정된 형사법 법령과 규칙은 물론 기출된 법조문과 규칙, 그리고 출제가능한 중요한 법령은 규칙까지 모두 반영하여 법령을 별도로 보지 않아도 충분히 대비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2 전 직렬의 최근 기출지문 완벽 반영
개편되기 전까지의 기존 경찰채용, 승진 등의 기출지문은 물론 법원직·검찰사무직·교정직· 보호직 등의 기출지문을 완벽하게 반영함으로써 앞으로의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에게 적합한 교재가 되도록 노력하였습니다.

3 최신판례와 기출판례 완벽 반영
최근에 시행된 시험을 비롯하여 전 직렬의 시험에 출제된 모든 판례와 올해 새롭게 변경되거나 추가된 최신판례, 그리고 시험에 출제될 가능성이 있는 판례까지 빠짐없이 보충하여 별도의 판례집 없이 기본서만으로 충분히 시험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4 기출지문과 중요설문 아이콘 표시로 출제경향 파악 및 문제적응력 향상
주요 기출지문과 중요설문 및 키워드는
Tip
으로, 함정에 빠지기 쉬운 지문과 키워드는
주의
등으로 표시해서 중요한 부분과 틀리기 쉬운 부분이 어디인지 한눈에 보이도록 하여 출제경향을 파악하고 문제에 대한 적응력을 높일 수 있게 하였습니다.

5 교재의 핵심내용을 강조함으로써 학습효과 증진 및 시간부족의 문제점 해결
반드시 보아야 하는 중요내용은 칼라로 표시하고, 다음으로 중요한 내용은 굵게 처리를 하여 교재 내용의 중요도를 체크하고 표시된 내용만 봐도 주요 핵심을 모두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2026 신광은 형법 (총론)」의 업그레이드
기본서를 통한 최단기간 합격에 좀 더 다가가기 위해 다음과 같은 사항을 개선하였습니다.
1 부록-보충판례를 통한 난이도별 학습
고난이도나 출제가능성이 다소 낮은 판례들은 ‘부록-보충판례’를 통해 선택학습을 하게 함으로써 수험생의 실력에 맞는 난이도별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였습니다.

2 주의의 틀린부분에 밑줄추가
기출설문의 어떤 부분이 틀리게 출제되는지를 처음부터 명확하게 숙지하고, 최단기간 내에 출제포인트를 파악할 수 있도록
주의의 틀린부분에 밑줄을 추가하였습니다.

3 기출표시 약어사용을 통한 지면 절약
긴 문장을 간결하게 정리하여 여러 문장을 최대한 한눈에 파악 가능하도록 하였습니다.

●기출표시방식 변동사항
∙순경1차, 순경2차, 순경3차 → 순1, 순2, 순3/경찰특공대 → 경특/경찰승진 → 경승/
경찰간부 → 경간/경간부 → 경간/경찰대편입 → 경편
∙9급국가·개론 → 국9/9급국가 → 국9/9급개론 → 국9개론/7급국가 → 국7
∙해경1차, 해경2차, 해경3차 → 해1, 해2, 해3/해경특채1차, 해경특채2차 → 해특1차, 해특2차/해경승진 → 해승/해경간부 → 해간
∙변호사시험 → 변시 ∙법학특채 → 법특 ∙법원행시 → 법행
∙지능특채 → 지능 ∙교정특채 → 교특
※ 10년도 이전 기출표시는 삭제하였습니다.(단독출제는 그대로 유지)


▮마치면서
「신광은 형법 (총론)」은 ‘교재의 단권화’를 통한 공부방법이 필자가 강조하는 것인 만큼 이번에도 그 취지를 살려 별도의 판례집이나 문제집을 보지 않고도 본 교재 한권만으로도 충분히 시험에 대비할 수 있도록 주요 판례, 중요 설문 등 시험에 꼭 필요하고 중요한 내용을 빠짐없이 수록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그동안 신광은 형법 교재 출간에 앞서 아낌없는 애정과 조언을 해 준 많은 수험생들에게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하며, 모쪼록 본서를 통해 수험생들이 형법에서 만점의 성과를 거둘 수 있기를 기원합니다.
더불어 수험준비로 힘든 생활 속에서도 건강 잃지 않기를 바라며, 성실하고 능력있는 공무원이 되고자 하는 자신이 원하는 꿈을 이룰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Bravo your life!!
편저자 신광은

목차

제1편 서 론

제1장 형법의 기본개념 3
제1절 형법의 의의 3
Ⅰ. 형법의 개념 3
Ⅱ. 형식적 의미의 형법과 실질적 의미의 형법 3
제2절 형법의 지위와 성격 3
Ⅰ. 형법의 법체계적 지위 3
Ⅱ. 형법의 성격 3
제3절 형법의 기능 4
Ⅰ. 형법의 기능 4
Ⅱ. 위험형법 5

제2장 형법이론 6
제1절 범죄이론 6
제2절 형벌이론 7
제3절 형법학파 8
제4절 범죄체계론 8

제3장 죄형법정주의 10
제1절 의의 및 기능 10
제2절 죄형법정주의의 내용 10
Ⅰ. 법률주의(성문법률주의, 관습형법금지의 원칙) 11
Ⅱ. 명확성의 원칙 15
Ⅲ. 적정성의 원칙 19
Ⅳ. 유추해석금지의 원칙 20
Ⅴ. 소급효금지의 원칙(소급입법 금지의 원칙) 41

제4장 형법의 적용범위 49
제1절 시간적 적용범위 49
Ⅰ. 행위시법주의와 재판시법주의 49
Ⅱ. 제1조 제1항(구법 적용, 행위시법 적용, 추급효 인정) 49
Ⅲ. 제1조 제2항(신법 적용, 재판시법 적용, 소급효 인정) 50
Ⅳ. 제1조 제3항 55
Ⅴ. 제1조 제2항과 제3항의 적용배제 55
Ⅵ. 한시법 57
Ⅶ. 백지형법 58
제2절 장소적 적용범위 58
Ⅰ. 입법주의 58
Ⅱ. 속지주의 원칙 59
Ⅲ. 속인주의에 의한 보충 60
Ⅳ. 보호주의에 의한 보충 61
Ⅴ. 세계주의 63
Ⅵ. 외국에서 받은 형 집행의 효력 63
제3절 인적 적용범위 65
Ⅰ. 원칙 65
Ⅱ. 인적 적용범위의 예외 65
제4절 형법 총칙의 적용범위 66


제2편 범죄론

제1장 범죄론의 기초 69
제1절 범죄의 의의와 구성요소 69
Ⅰ. 범죄의 의의 69
Ⅱ. 형식적 범죄개념의 구성요소 69
제2절 범죄의 성립요건 69
Ⅰ. 범죄의 성립요건 69
제3절 처벌조건과 소추조건 71
Ⅰ. 처벌조건 71
Ⅱ. 소추조건(소송조건) 72
제4절 범죄의 종류 72

제2장 행위론 77
제1절 행위론의 의의 및 기능 77
Ⅰ. 의의 77
Ⅱ. 기능 77
제2절 행위론 77
Ⅰ. 행위론의 종류 77
Ⅱ. 형법상의 행위 78

제3장 구성요건론 79
제1절 구성요건의 일반이론 79
Ⅰ. 구성요건의 의의 79
Ⅱ. 구성요건과 위법성의 관계 79
Ⅲ. 구성요건의 요소 81
Ⅳ. 구성요건의 분류 81
제2절 행위의 주체(법인의 범죄능력) 82
Ⅰ. 행위의 주체 82
Ⅱ. 법인의 범죄능력 82
Ⅲ. 법인의 형벌능력 83
Ⅳ. 양벌규정 84
제3절 행위의 객체와 보호의 객체 90
Ⅰ. 행위의 객체 90
Ⅱ. 보호의 객체 90
Ⅲ. 구별 90
제4절 부작위범 91
Ⅰ. 의의 91
Ⅱ. 진정부작위범과 부진정부작위범 93
Ⅲ. 부작위범의 성립요건 94
Ⅳ. 부진정부작위범의 동가치성 96
Ⅴ. 관련문제 103
제5절 인과관계와 객관적 귀속 106
Ⅰ. 인과관계의 의의 106
Ⅱ. 인과관계에 관한 학설 106
Ⅲ. 객관적 귀속이론(합법칙적 조건설) 108
Ⅳ. 인과관계의 유형(합법칙적 조건설과 객관적 귀속이론) 109
Ⅴ. 인과관계 인정여부(판례) 110
제6절 구성요건적 고의 117
Ⅰ. 서설 117
Ⅱ. 고의의 체계적 지위 118
Ⅲ. 고의의 존재시기와 증명 118
Ⅳ. 고의의 내용 119
Ⅴ. 고의의 종류 121
Ⅵ. 고의 인정 여부(판례) 122
제7절 구성요건적 착오 125
Ⅰ. 형법상 착오의 의의 125
Ⅱ. 구성요건적 착오의 의의 및 적용영역 126
Ⅲ. 구성요건적 착오의 유형 126
Ⅳ. 구성요건적 착오에 대한 형법 규정(제15조 제1항) 127
Ⅴ. 제15조 제1항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의 해결(부합설) 128
Ⅵ. 관련 문제 134
제8절 과실범 136
Ⅰ. 의의 136
Ⅱ. 과실의 종류 137
Ⅲ. 과실범의 구성요건 140
Ⅳ. 객관적 주의의무의 제한원리 147
Ⅴ. 위법성과 책임 152
Ⅵ. 관련문제 152
제9절 결과적 가중범 153
Ⅰ. 서설 153
Ⅱ. 결과적 가중범의 성립요건 154
Ⅲ. 진정결과적 가중범과 부진정결과적 가중범(종류) 156
Ⅳ. 부진정결과적 가중범의 죄수 157
Ⅴ. 관련문제 159

제4장 위법성론 162
제1절 위법성의 일반이론 162
제2절 불법 163
Ⅰ. 결과반가치와 행위반가치(결과불법과 행위불법) 163
Ⅱ.불법의 본질 164
제3절 위법성의 조각사유 165
Ⅰ. 위법성 조각사유 165
Ⅱ. 주관적 정당화요소의 필요성 165
Ⅲ. 주관적 정당화요소를 결한 경우의 효과(고의 우연방위) 166
Ⅳ. 주관적 정당화요소를 결한 경우의 효과(과실 우연방위) 168
제4절 정당방위 169
Ⅰ. 의의 169
Ⅱ. 근거 169
Ⅲ. 성립요건 170
Ⅳ. 과잉방위 177
Ⅴ. 오상방위와 오상과잉방위 180
제5절 긴급피난 180
Ⅰ. 의의 및 근거 180
Ⅱ. 긴급피난의 본질 181
Ⅲ. 긴급피난의 성립요건 182
Ⅳ. 긴급피난의 특칙(제한) 185
Ⅴ. 과잉피난과 오상피난 186
Ⅵ. 의무의 충돌 186
제6절 자구행위 188
Ⅰ. 의의 188
Ⅱ. 성립요건 188
Ⅲ. 과잉자구행위와 오상자구행위 191
제7절 피해자의 승낙 192
Ⅰ. 의의 192
Ⅱ. 양해(구성요건 조각) 192
Ⅲ. 피해자의 승낙 194
Ⅳ. 추정적 승낙 197
제8절 정당행위 198
Ⅰ. 의의 198
Ⅱ. 법령에 의한 행위 198
Ⅲ. 업무로 인한 행위 204
Ⅳ. 기타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않는 행위 205

제5장 책임론 215
제1절 책임이론 215
Ⅰ. 책임과 책임주의 215
Ⅱ. 책임의 근거 216
Ⅲ. 책임의 본질 217
제2절 책임능력 219
Ⅰ. 의의 219
Ⅱ. 책임능력의 규정방법 219
Ⅲ. 책임 무능력자(형사미성년자와 심신상실자) 219
Ⅳ. 한정책임능력자(심신미약자와 농아자) 225
Ⅴ. 특별법의 제한 226
제3절 원인에 있어서 자유로운 행위 227
Ⅰ. 의의 227
Ⅱ. 문제의 소재(책임주의와의 관계) 227
Ⅲ. 가벌성의 이론 구성 228
Ⅳ. 형법 제10조 제3항의 해석 230
Ⅴ. 유형 230
제4절 위법성의 인식 232
의의 232
위법성 인식의 체계적 지위 232
제5절 법률의 착오(금지착오) 234
Ⅰ. 의의 234
Ⅱ. 법률의 착오의 유형 234
Ⅲ. 제16조의 해석 235
Ⅳ. 위법성조각사유의 전제사실에 대한 착오 245
제6절 기대가능성 249
Ⅰ. 의의 249
Ⅱ. 기대가능성의 지위와 기능 249
Ⅲ. 기대가능성의 판단기준 250
Ⅳ. 기대불가능성으로 인한 책임조각사유 252
Ⅴ. 강요된 행위 252

제6장 미수론 256
제1절 미수범의 일반이론 256
Ⅰ. 범죄의 실현단계 256
Ⅱ. 미수범의 처벌근거 256
제2절 예비·음모죄 257
Ⅰ. 의의 257
Ⅱ. 법적 성격과 실행행위성 257
Ⅲ. 성립요건 259
Ⅳ. 관련문제 261
제3절 장애미수 262
Ⅰ. 의의 262
Ⅱ. 성립요건 262
Ⅲ. 처벌 266
Ⅳ. 관련문제 268
제4절 중지미수 269
Ⅰ. 의의 269
Ⅱ. 법적 성격(필요적 감면의 근거) 269
Ⅲ. 중지미수의 성립요건 269
Ⅳ. 중지미수의 처벌 273
Ⅴ. 관련문제 273
제5절 불능미수 275
Ⅰ. 의의 275
Ⅱ. 성립요건 276
Ⅲ. 불능미수의 처벌 282
Ⅳ. 관련문제 283

제7장 공범론 284
제1절 공범의 일반이론 284
Ⅰ. 범죄참가형태 284
Ⅱ. 필요적 공범 285
Ⅲ. 임의적 공범 288
제2절 공동정범 293
Ⅰ. 의의 293
Ⅱ. 공동정범의 본질(공동의 의미) 294
Ⅲ. 성립요건 294
Ⅳ. 공동실행의 의사 관련 문제 298
Ⅴ. 공동의 실행행위 관련 문제 302
Ⅵ. 공동정범의 처벌 307
제3절 합동범과 동시범 308
Ⅰ. 합동범 308
Ⅱ. 동시범 311
제4절 간접정범 315
Ⅰ. 의의 315
Ⅱ. 성립요건 316
Ⅲ. 처벌 318
Ⅳ. 간접정범과 착오 318
Ⅴ. 간접정범의 한계 319
Ⅵ. 특수교사·방조 320
제5절 교사범 321
Ⅰ. 의의 321
Ⅱ. 성립요건 321
Ⅲ. 교사범의 처벌 326
Ⅳ. 교사의 미수 327
Ⅴ. 교사의 착오 328
제6절 종범(방조범) 330
Ⅰ. 의의 330
Ⅱ. 성립요건 331
Ⅲ. 종범의 처벌 336
Ⅳ. 종범의 착오 337
Ⅴ. 관련문제 338
제7절 공범과 신분 339
Ⅰ. 의의 339
Ⅱ. 신분의 의의와 종류 339
Ⅲ. 제33조의 해석 340
Ⅳ. 제33조의 적용 341
Ⅴ. 제33조 적용 효과 344
Ⅵ. 소극적 신분과 공범 347


제3편 죄수와 형벌론

제1장 죄수론 351
제1절 죄수의 일반이론 351
Ⅰ. 죄수론의 의의 351
Ⅱ. 죄수결정의 기준 351
제2절 일죄 354
Ⅰ. 의의 354
Ⅱ. 법조경합 354
Ⅲ. 포괄일죄 363
제3절 수죄 376
Ⅰ. 상상적 경합 376
Ⅱ. 실체적 경합 387

제2장 형벌론 395
제1절 형벌의 의의와 종류 395
Ⅰ. 의의 395
Ⅱ. 사형 395
Ⅲ. 자유형 396
Ⅳ. 명예형 397
Ⅴ. 재산형(벌금·과료·몰수) 398
Ⅵ. 형의 경중 410
제2절 형의 양정 411
Ⅰ. 의의 411
Ⅱ. 형의 가중·감경 411
Ⅲ. 형의 가감례 413
Ⅳ. 양형(형의 양정) 415
제3절 형의 면제 415
제4절 판결선고 전 구금과 판결의 공시 416
제5절 자수와 자복 417
Ⅰ. 의의 417
Ⅱ. 시기와 방법 417
제6절 누범 419
Ⅰ. 의의 419
Ⅱ. 누범가중과 책임주의 419
Ⅲ. 누범 가중 요건 420
Ⅳ. 누범의 효과 423
Ⅴ. 판결선고 후의 누범 발각(제36조) 423
Ⅵ.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상 누범 424
제7절 선고유예 424
Ⅰ. 의의 424
Ⅱ. 선고유예의 요건 425
Ⅲ. 선고유예의 효과 426
Ⅳ. 선고유예의 실효 427
제8절 집행유예 428
Ⅰ. 의의 428
Ⅱ. 집행유예의 요건 428
Ⅲ. 집행유예의 효과 430
Ⅳ. 집행유예의 실효와 취소 433
제9절 가석방 435
Ⅰ. 의의 435
Ⅱ. 가석방의 요건 435
Ⅲ. 가석방의 효과 436
Ⅳ. 실효와 취소 436
제10절 형의 시효·소멸·기간 437
Ⅰ. 형의 시효 437
Ⅱ. 형의 소멸 438
Ⅲ. 형의 기간 440
제11절 보안처분 441
Ⅰ. 의의 441
Ⅱ. 형벌과의 구별 441
Ⅲ. 보안처분의 종류 441
Ⅳ. 형벌과의 관계 441
Ⅴ. 현행법상 보안처분 442

부록 보충판례 / 443

저자소개

신광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미래인재 경찰학원 형사법 / 형법 / 형소법 전임 중앙경찰학교 형사법 교수 경찰교육원 형사법 교수 수사연수원 형사법교수 한남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객원교수 전 윌비스 신광은 경찰학원 형사법 / 형법 / 형소법 전임 제47회 사법고시 합격, 사법연수원 37기 수료 경찰대학 9기 졸업 형사반장, 조사반장, 폭력주임, 형사계장 경찰종합학교(현,경찰인재개발원0, 수사학과 교수 경찰대학, 중앙경찰학교, 경찰수사연수원, 해양경찰청 외래교수 청와대 22경호대(대통령경호대) 서울기동단 등 초빙교수 청와대 101경비단 초빙교수 인천지방검찰청 검사(시보) 서울디지털대학 경찰학과 교수 경찰청 채용시험 출제위원 경찰공제회 경찰실무종합, 경찰실무Ⅱ 저자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