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사암도인침구요결 : 전

사암도인침구요결 : 전(全)

사암도인 (원작), 이태호(행파거사) (역주)
행림서원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사암도인침구요결 : 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사암도인침구요결 : 전(全)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한의학
· ISBN : 9791189061210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24-10-10

책 소개

한국의 독창적인 민족의학인 사암침법. 사암침법의 뿌리는 오직 <사암도인침구요결(1955년)>에서 시작되었다. 1955년부터 지금까지 침구책에서 가장 귀중한 책으로 여겨지는 <사암도인침구요결>이 새로운 편집으로 개정되어 출간되었다.
“한국의 독창적인 민족의학인 사암침법
→사암침법의 뿌리는 오직 <사암도인침구요결(1955년)>에서 시작되었다.
1955년부터 지금까지 침구책에서 가장 귀중한 책으로 여겨지는
<사암도인침구요결>이 새로운 편집으로 개정되어 출간되었다.


사암침법은 어떤 침법을 말하는가?
사암침법은 한의학의 근본인 음양오행 원리에 입각한 창조인 치료 방법이다. 그리고 사암침법은 난경ㆍ육십구난의 “허보기모(虛補其母) 실사기자(實瀉其子)”를 원칙에서 진보하여 “억기관(抑其官)”의 이치를 탐구한 묘법이다. 진단을 하여 오장육부의 허실을 판단한 후 오행의 상생과 상극의 원리에 따라 자경과 타경에서 각각 2가지 혈을 또는 4가지의 혈을 사용하여 치료한다. 때로는 변용을 하여 1~2개를 이용하여 치료하기도 한다. 사암침법의 가장 큰 특징은 팔 다리의 오유혈(五兪穴)을 사용한다는 점과 보사법(補瀉法)으로 치료 효과를 극화한다는 점이다. 통증 부위에 직접 자침하지 않고 사지 말단의 오유혈을 오행의 원리로 이용하여 혈위를 정한 후, 영수보사ㆍ호흡보사ㆍ개합보사ㆍ서질보사ㆍ구륙보사 등의 보사법을 이용하여 치료한다. _전현우 저 <사암침의학> 중에서

목차

第一講 實際篇
第一章 中風門
第二章 寒門
第三章 天地運氣門
第四章 暑門
第五章 濕門
第六章. 燥門
第七章. 火熱門
第八章 欝門
第九章 痰飮門
第十章 咳嗽門
第十一章 哮喘門
第十二章 瘧疾門
第十三章 痢疾門
第十四章 噎膈門
第十五章 呃逆門
第十六章 嘔吐門
第十七章 吞酸門
第十八章 嘈囃과 噯氣門
第十九章 腫脹門
第二十章 積聚門
第二十一章 虛勞門
第二十二章 霍亂門
第二十三章 泄瀉門
第二十四章 眩暈門
第二十五章 頭痛門
第二十六章 胃脘痛門
第二十七章 腹痛門
第二十八章 腰痛門
第二十九章 脇痛門
第三十章 諸氣痛門
第三十一章 疝氣門
第三十二章 脚氣門
第三十三章 痛風門
第三十四章 痿證門
第三十五章 耳聾門
第三十六章 目病門
第三十七章 口病門
第三十八章 喉證門
第三十九章 齒病門
第四十章 鼻痛門
第四十一章 血證門
第四十二章 痔病門

第二講 準備篇
第一章 舍岩訣의 神秘와 및 그의 靈効
第二章 補瀉란 무엇인가
第三章 補瀉의 方法
第四章 舍岩補瀉 寒熱迎隨秘訣
第五章 舍岩選用穴의 發音 順的考察
第六章 舍岩選用五行穴의 硏究
第七章 舍岩選用穴의 經穴 學的硏究
第八章 舍岩選用諸經穴及 手法圖表一覽
第九章 舍岩五行正理 神鍼歌
第十章 樂浪老夫施鍼歌
「附」後人歷驗特効方要抄

저자소개

사암도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尊姓大名을 밝힌 바 없이 그저 道號 ‘舍岩’이라 한 것은 石窟 속에서 得道했기 때문이라 하며 사암은 별인이 아니라 임진왜란 당시에 승병을 지휘하여 많은 전공을 세우고 군사(軍使)로 일본에 건너가 여러 가지 이적을 나타내어 왜인의 간담을 서늘하게 한 저 유명한 사명당 송운대사의 수제자라는 주장이 있긴 했는데, 1973년 9월 25일부터 27일까지 서울 조선호텔에서 ‘제3차 세계침구학술대회’가 열렸을 때, 이 중에서 조증강(曺增玒)은 ‘사암음양오행 침구학의 원리’이라는 논문에서, 사암도인의 속명은 황연학(黃延學)이며 ‘광해군대의 침구학자’임을 밝혔다. 이로써 사명대사의 생몰연대와 비교해 볼 때 출가 전 속명 황연학은 사명당과 스승과 제자의 관계였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사암침의학> 중에서
펼치기
이태호(행파거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호가 행파(杏坡)로 1923년 행림서원(杏林書院)을 개점한 후, 한의학 서적 출판을 시작하면서 일반적인 관심이 없이 열악한 상황에 있었던 한의학이 일제강점기의 어려움 속에서도 소멸되지 않고 떨쳐 일어나 국민의 사랑을 받을 수 있도록 한의학 서적을 대량으로 출판하여 한의학 지식의 공급을 위해 노력한 공로가 지대하며 한의학 정체성에 생명력을 불어 넣어 오늘날 한의학이 발전하는 데 있어 큰 공헌을 한 인물이다. 일제강점기 말에 나온 행림서원의 도서목록인 『의서총목록(醫書總目錄)』에는 행림서원에서 간행한 40여 종의 의서들이 실려 있다. 『동양의학대사전(東洋醫學大辭典)』,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침구경험방(鍼灸經驗方)』, 『신의학요감(新醫學要鑑)』, 『고금실험방(古今實驗方)』, 『동서의학요의(東西醫學要義)』, 『소아의방(小兒醫方)』, 『의방대요(醫方大要)』, 『운기학강의록(運氣學講義錄)』, 『만병만약(萬病萬藥)』, 『동의사상진료의전(東醫四象診療醫典)』, 『사상금궤비방(四象金匱秘方)』, 『의방신감(醫方新鑑)』, 『광제비급(廣濟秘笈)』, 『대방약합편(大方藥合編)』 등 한의학의 발전을 위해 출판된 귀한 서적들이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