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외국어 > 중국어 > 중국어 어휘/문법
· ISBN : 9791189074852
· 쪽수 : 696쪽
· 출판일 : 2025-03-28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들어가며
일러두기
제 1 부
1. 문(文)과 구(句)
2. 어(語)
3. 연어(連語)
4. 품사
5. 접사
6. 구의 구조Ⅰ
7. 구의 성분
8. 구의 구조Ⅱ
9. 문(文)의 기능(의미)
제 2 부
10. 품사전환과 파독 (破讀)
11. 명사
12. 대명사
13. 수사
14. 양사
15. 형용사
16. 동사
17. 개사
18. 부사
19. 연사
20. 조사
21. 보어
22. 의문구
마치며
인용서 목록
색인
오타 다쓰오의 중국어 관련 연구·저작 목록
중국어 어법 용어 한·중·일 대조표
역자 후기
책속에서
《他》는 원래 《它》이고, 뱀{蛇}을 의미한다. 아주 오랜 옛날에 사람들은 풀 위에서 살았기 때문에, 뱀으로 인한 피해를 두려워하여, 인사에도 《無它乎》(뱀은 없습니까, 별일 없습니까) 하고 물었다고 한다. 이렇게 해서 《無它》는 이상이 없고, 특별하지 않은 상황을 나타내는 뜻이 되었지만, 이 《它》가 ‘다른 물건, 다른 것’에서, ‘다른 사람’이라는 뜻으로 바뀌고, 마침내 ‘저 사람’의 의미가 되어 3인칭대명사가 되었다. 3인칭대명사로서 사용되고 있는 확실한 예는, 당나라 때 처음 보인다. 이제까지 주목되고 있는 수나라 이전의 예는 문헌의 신빙성에 결여되는 부분이 있는지, 또는 3인칭의 일보 직전의 ‘다른 사람’, 즉 타칭{他稱}을 3인칭으로 오인한 것이다.
_ ‘12.2.1 3인칭’ 중에서
고대어에서는 기수와 서수의 구별이 없었다. 예를 들면 《三月》은 3개월(기수)과 ‘3월’(서수)의 2가지로 쓰였고, 《三男》은 세 명의 남자(자식)라는 의미와, 세 번째 남자(자식)라는 의미가 있다. 그러나 현대어에서는 기수와 서수를 분명히 구별한다. 즉, 기수를 명사로 쓸 때는 반드시 양사를 수반하고, 양사를 쓰지 않을 때는 서수(이외의 경우도 있다)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三月》은 3월, 《三個月》은 3개월이다. 또한 그 외에 특히 서수를 나타내는 말이 생겼다.
_ ‘13.4 서수’ 중에서
앞에서 《毋》는 『맹자』에는 쓰이지 않지만, 『논어』에서는 텍스트에 따라 자주 《無》와 혼동해 쓰이고 있다. 『논어』에서 《毋》가 쓰이고 있다는 것은 아마 『논어』라는 텍스트가 혼란스럽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논어』 『맹자』로 대표되는 전국시대 노나라의 방언에서는 《毋》가 없다는 것을 볼 수 있는 것 같다. 《罔》은 부정사로서는 『논어』에서 쓰이지 않고, 『논어』에서는 부정사로 『서경{書經}』의 인용문에서 하나의 예가 있다. 《末》는 『맹자』에는 없고 『논어』에는 겨우 한 예를 볼 수 있을 뿐이다. 《靡》는 인용된 『시경』에 보이는 것으로 이것도 계산에 넣을 수 없다. 그래서 결국 이 방언에서 쓰인 부정사는 모두 11개가 된다.
고대어의 부정사가 방언 하나에 한정된다 해도 이렇게 많은 것은, 단순한 부정 개념 이외에도 또 다른 개념을 포함하고 있고, 복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현대어에서는 분석적인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단순 부정인 《不》를 제외하고는 나머지는 전부 쓰이지 않게 되었다. 부정사의 용법을 자세히 적는 것은 고대어 문법의 중요한 역할이다. 여기에서는 요점만을 극히 간단하게 언급하겠다.
_ ‘18.6.1 고대어의 부정부사’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