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쉽게 배우는 K-IFRS 중급회계

쉽게 배우는 K-IFRS 중급회계

(제3판)

김진선, 박재완, 박청규 (지은이)
시대가치
3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8,000원 -0% 0원
1,140원
36,8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38,000원 -10% 1900원 32,300원 >

책 이미지

쉽게 배우는 K-IFRS 중급회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쉽게 배우는 K-IFRS 중급회계 (제3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세무/회계
· ISBN : 9791189607463
· 쪽수 : 712쪽
· 출판일 : 2021-09-10

책 소개

회계원리를 공부한 학생들이 중급회계 수준의 교재를 공부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중급회계를 이해하는 데 기본이 되는 주제, 즉 자산, 부채와 자본회계 및 현금흐름표를 포함한 재무제표의 주요 내용을 배우기 쉽게 설명하려고 노력하였다.

목차

제1장 재무회계의 기본개념
제1절 경제활동과 회계 3
1. 회계의 의의 3
2. 회계대상-경제활동 5
2.1 재무활동 / 5 2.2 투자활동 / 6 2.3 영업활동 / 7
3. 회계정보의 이용자 7
제2절 재무회계와 재무제표 9
1. 재무회계의 의의 9
1.1 재무회계와 관리회계 / 11 1.2 재무회계와 회계감사 / 13
1.3 세무회계 및 회계정보시스템 / 14
2. 재무회계와 재무제표 15
제3절 재무회계와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 16
1.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 16
2. GAAP과 회계투명성 17
3. 우리나라의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 18
4. 미국의 회계기준 22
▨연습문제 / 23―ⅵ―


제2장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
제1절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의 개요 27
1.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의 의의와 필요성 27
2.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의 범위 28
제2절 재무보고의 목적 29
1. 일반목적재무보고의 목적 29
2. 일반목적재무보고서 31
2.1 경제적 자원과 청구권 / 31
2.2 경제적 자원과 청구권의 변동 / 31
2.3 기업의 경제적 자원 사용에 관한 정보 / 32
제3절 유용한 재무정보의 질적특성 32
1. 근본적 질적특성 33
1.1 목적적합성 / 33 1.2 충실한 표현 / 34
2. 보강적 질적특성 36
2.1 비교가능성 / 36 2.2 검증가능성 / 36
2.3 적시성 / 37 2.4 이해가능성 / 37
3. 유용한 재무보고에 대한 원가제약요인 37
4. 질적특성 간의 상충관계 38
제4절 재무제표와 보고기업 39
4.1 보고기간 / 39 4.2 계속기업 가정 / 40
4.3 보고기업 / 40 4.4 연결재무제표 / 40
제5절 재무제표의 요소, 인식 및 측정 41
1. 제무제표의 요소 41
2. 재무제표 요소의 인식 43
2.1 미래 경제적 효익의 발생가능성 / 43
2.2 측정의 신뢰성 / 43
3. 재무제표 요소의 제거 44
4. 재무제표 요소의 측정 44
제6절 표시와 공시 및 자본과 자본유지 개념 45
1. 표시와 공시 45
2. 자본의 개념 46
3. 자본유지 개념과 이익의 결정 47
▨연습문제 / 49


제3장 재무제표의 구조에 대한 이해
제1절 재무보고와 재무제표 55
1. 재무보고와 재무제표의 의의 55
2. 재무제표 작성과 표시의 일반사항 58
2.1 공정한 표시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준수 / 58
2.2 계속기업 평가 / 58 2.3 발생기준 회계 / 59
2.4 중요성과 통합표시 / 59 2.5 상계금지 / 60
2.6 보고빈도 / 60 2.7 비교재무제표와 계속성 / 60
제2절 재무상태표 61
1. 재무상태표의 의의 61
2. 재무상태표와 재무상태표등식 63
3. 재무상태표의 표시 및 분류 64
3.1 재무상태표 항목의 구분과 통합표시 / 64
3.2 유동과 비유동의 구분 / 65
3.3 실현예정일 정보 / 67
4. 재무상태표의 공시형식 67
제3절 포괄손익계산서와 경영성과의 보고 70
1. 포괄손익계산서의 의의 70
2. 구성요소의 인식기준 72
3. 포괄손익계산서의 분류 및 표시 75
4. 포괄손익의 산출방법-자본유지접근방법과 거래접근방법 81
4.1 자본유지접근방법 / 81 4.2 거래접근방법 / 82
제4절 자본변동표 86
1. 자본변동표의 의의 86
2. 자본변동표의 기본구조 및 양식 86
제5절 현금흐름표 89
1. 현금흐름표의 의의 89
2. 현금흐름표의 구조 90
제6절 재무제표의 주석 91
▨연습문제 / 95


제4장 회계정보의 처리와 회계순환과정
제1절 회계거래의 기록과 복식부기제도 103
1. 회계거래의 식별과 계정과목 103
1.1 거래의 의의 / 103 1.2 계정의 의의와 형식 / 105
1.3 계정의 분류와 총계정원장 / 105
2. 회계등식과 복식부기제도 106
2.1 회계등식 / 106 2.2 복식부기와 차변과 대변 / 108
2.3 분 개 / 108
제2절 회계순환과정 111
1. 회계순환과정의 의의 111
1.1 회계기간 중의 회계절차 / 112 1.2 회계기말의 결산절차 / 114
2. 회계순환과정 종합예제 114
2.1 분 개 / 116
2.2 원장으로 전기 / 117
2.3 수정전시산표의 작성 / 119
2.4 결산수정사항과 결산수정분개 / 121
2.5 수정후시산표의 작성과 재무제표 작성 / 130
2.6 장부의 마감 / 133
2.7 결산후시산표(이월시산표) 및 역분개 / 136
2.8 정산표의 활용 / 139
▨[보론] 재무제표 간의 연결관계와 회계순환과정 / 141
▨연습문제 / 145


제5장 자산평가와 이익측정
제1절 자산평가와 이익측정 155
1. 저량과 유량의 개념 155
2. 경제학적 순이익 및 자본의 측정 156
3. 회계학에서의 순이익 및 자산의 측정 158
3.1 전통적인 측정방법 / 158 3.2 IFRS의 측정방법 / 159
3.3 IFRS의 공정가치 측정 / 162
제2절 화폐의 시간가치 168
1. 기본 개념 168
2. 미래가치와 현재가치 169
3. 정상연금의 미래가치와 현재가치 171
4. 화폐의 시간가치와 회계처리 174
▨[보론] 총포괄이익의 정의와 계산 / 179
▨연습문제 / 182


제6장 재고자산
제1절 재고자산의 의의와 주요 주제 187
1. 재고자산의 의의 187
2. 재고자산 회계의 주요 주제 189
제2절 재고자산의 취득원가 측정 191
1. 취득원가 측정의 일반기준 191
1.1 매입원가 / 192 1.2 제조원가 중 전환원가 / 192
1.3 기타원가 / 193
1.4 재고자산의 취득원가에서 제외되는 항목 / 193
2. 취득원가 측정의 특수사항 194
2.1 매입할인 / 194 2.2 매입에누리와 매입환출 / 196
2.3 일괄구입 / 197
2.4 이연지불조건(후불조건)에 의한 취득의 경우 / 197
2.5 차입원가의 자본화 / 198
3. 농림어업 수확물의 취득원가 198
4. 기말재고자산에 포함될 항목의 결정 198
4.1 미착품 / 199 4.2 적송품(위탁판매의 경우) / 199
4.3 시송품(시용판매의 경우) / 199 4.4 반품가능 재고자산 / 200
4.5 할부판매 / 200
4.6 저당상품과 재구매조건부판매 / 200
제3절 재고자산 거래의 기록방법 201
1. 계속기록법 201
1.1 계속기록법하에서의 재고자산 거래의 기록 / 201
1.2 계속기록법에서의 재고자산감모손실 인식 / 202
1.3 재고자산 매매거래 기록의 실례 1: 계속기록법 / 204
2. 실지재고조사법 206
2.1 실지재고조사법하에서의 재고자산 거래의 기록 / 206
2.2 실지재고조사법에서의 재고자산감모손실 인식 / 207
2.3 재고자산 매매거래 기록의 실례 2: 실지재고조사법 / 208
제4절 재고자산 원가흐름의 가정과 원가배분 211
1. 원가흐름의 가정 211
2. 원가배분 방법 215
2.1 단일재고자산의 원가배분 방법 / 215
2.2 복합재고자산의 원가배분 방법 / 220
3. 원가배분 방법의 비교 220
4. 매입단가의 변동과 재고자산감모손실 223
제5절 저가기준에 의한 기말재고자산 평가 225
1. 순실현가능가치의 평가 226
2. 저가기준 평가의 회계처리 226
3. 순실현가능가치가 회복된 경우의 회계처리 227
4. 저가기준 평가의 적용방법: 종목별기준․조별기준․총액기준 229
5. 저가기준의 한계 230
제6절 추정에 의한 기말재고자산 평가 231
1. 매출총이익법에 의한 재고자산의 추정 232
2. 매출가격환원법(소매재고법) 233
2.1 기본개념 / 233 2.2 판매가격의 변동 / 234
2.3 원가흐름의 가정에 따른 추정액의 결정 / 234
▨[보론] 매출가격환원법과 관련된 특수항목의 조정 / 238
▨연습문제 / 243


제7장 유형자산 1
제1절 유형자산의 의의․인식기준 및 주요 주제 253
1. 유형자산의 의의 253
1.1 취득목적 / 254 1.2 보유기간 / 254
1.3 물리적 형체 / 255
2. 유형자산의 인식기준 255
3. 유형자산의 분류 256
4. 유형자산 회계의 주요 주제 257
제2절 유형자산의 원가 258
1. 유형자산 최초원가 측정의 일반원칙 및 원가구성요소 258
2. 유형자산 유형별 취득원가 260
2.1 토 지 / 260 2.2 건 물 / 261 2.3 설비자산 / 263
3. 유형자산의 취득방법과 취득원가 측정 264
3.1 구 입 / 264
3.2 주식발행에 의한 유형자산 취득 / 267
3.3 교환에 의한 취득 / 267
3.4 증여 및 무상취득 / 271
3.5 정부보조 등에 의한 취득 / 271
3.6 국․공채의 매입을 통한 유형자산의 취득 / 274
3.7 자가건설 / 275
제3절 취득 후의 지출 276
1. 수익적 지출 및 자본적 지출 277
2. 보유기간 중 지출의 실제 278
2.1 수선 및 유지 / 278 2.2 증 설 / 279
2.3 개량 및 교체 / 279 2.4 이전 및 재배치 / 281
▨[보론] 보론 차입원가의 자본화 / 282
▨연습문제 / 294


제8장 유형자산 2
제1절 유형자산의 감가상각 303
1. 감가상각의 의의 303
2. 감가상각의 결정 요소 304
2.1 감가상각대상금액과 잔존가치 / 304 2.2 내용연수 / 305
3. 감가상각방법 306
3.1 정액법 / 307 3.2 체감잔액법 / 308
3.3 생산량비례법 / 312 3.4 기타의 감가상각방법 / 314
4. 감가상각방법의 선택 315
5. 감가상각의 자산구성 요소별 적용 315
6. 감가상각의 회계처리 316
제2절 감가상각과 관련한 기타 주제 317
1. 기중 취득한 유형자산의 감가상각 317
2. 감가상각과 회계변경 318
3. 자본적 지출과 감가상각 320
제3절 유형자산의 손상 321
1. 손상차손의 인식 321
2. 유형자산의 회수가능액 측정 322
3. 손상된 유형자산의 장부금액 측정 323
4. 손상차손의 환입 324
제4절 유형자산의 제거 326
1. 유형자산의 처분 326
2. 원가모형에서의 유형자산의 폐기 및 비자발적인 처분 328
제5절 유형자산의 재평가모형 329
1. 재평가모형의 공정가치 측정 329
1.1 시장가치접근법 / 330
1.2 이익접근법 및 상각후대체원가법 / 330
2. 재평가모형의 빈도 및 분류별 수행 330
3. 재평가모형의 회계 331
4. 재평가잉여금의 이익잉여금 대체 335
5. 재평가모형하에서 유형자산의 손상차손 337
6. 재평가모형에서의 유형자산의 처분 337
▨연습문제 / 340


제9장 무형자산
제1절 무형자산의 의의 및 인식조건 349
1. 무형자산의 의의 349
1.1 식별가능성 / 350 1.2 통제가능성 / 351
1.3 미래 경제적 효익의 발생가능성 / 352
2. 무형자산의 인식조건 352
3. 무형자산의 분류 355
제2절 무형자산의 취득원가 결정 357
1. 개별 취득 358
2. 정부보조에 의한 취득 359
3. 교환에 의한 취득 359
제3절 무형자산의 유형별 회계 360
1. 산업재산권 360
2. 내부창출무형자산 361
제4절 무형자산 취득 이후의 회계 365
1. 취득 이후의 지출 365
2. 무형자산의 상각 366
2.1 무형자산의 내용연수 결정 / 366
2.2. 내용연수가 유한한 무형자산의 상각 / 367
3. 내용연수가 비한정인 무형자산 372
4. 무형자산의 폐기와 처분 373
5. 무형자산의 재평가모형 374
제5절 영업권 375
1. 영업권의 의의 375
2. 매수영업권의 측정 376
3. 영업권 취득 이후의 회계처리 377
3.1 영업권의 상각 / 377 3.2 영업권의 손상차손 인식 / 378
4. 염가매수차익(부의 영업권) 379
▨연습문제 / 380


제10장 금융자산 1
제1절 금융자산의 의의 387
1. 금융자산의 의의 387
2. 금융부채의 의의 390
3. 지분상품의 의의 391
4. 금융자산의 분류 392
제2절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 397
1. 지분상품의 분류 및 측정 397
2. FVPL지분상품의 최초측정 및 후속측정 397
2.1 FVPL지분상품의 최초측정 / 397
2.2 FVPL지분상품의 보유 중의 후속측정 / 399
2.3 FVPL지분상품의 처분 / 402
3. FVOCI지분상품의 최초측정 및 후속측정 403
3.1 FVOCI지분상품의 최초측정 / 404
3.2 FVOCI지분상품의 보유 중의 후속측정 / 404
3.3 FVOCI지분상품의 처분 / 406
제3절 채무상품에 대한 투자 408
1. 채무상품의 분류 및 측정 408
2. AC금융자산 409
2.1 AC금융자산의 최초측정과 유효이자율의 계산 / 409
2.2 AC금융자산의 후속측정(이자수익 인식과 기말평가) / 411
2.3 AC금융자산의 이자수령기간과 회계연도의 불일치 / 414
2.4 이자수령일 사이의 AC금융자산의 취득 / 415
3. FVOCI채무상품 418
3.1 FVOCI채무상품의 최초인식 및 후속측정 / 418
3.2 FVOCI채무상품의 손상차손 인식 / 421
4. FVPL채무상품 421
제4절 채무상품의 손상 422
1. 채무상품 손상회계의 개요 422
1.1 금융자산 손상회계의 용어에 대한 이해 / 423
1.2 기대신용손실의 인식(손상요구사항) / 425
1.3 기대신용손실의 측정을 위한 미래전망 정보 / 428
1.4 신용위험의 유의적 증가에 대한 판단 / 429
1.5 손상인식에 적용되는 12개월 간편법 / 431
1.6 기대신용손실의 측정 / 431
2. FVOCI채무상품의 손상회계 433
3. AC채무상품의 손상회계 437
4. 신용이 손상된 채무상품 440
▨연습문제 / 445


제11장 금융자산 2
제1절 현금및현금성자산 455
1.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의의 455
2.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회계 457
2.1 소액현금제도 / 457 2.2 은행계정조정표 / 459
제2절 매출채권 464
1. 매출채권의 의의 464
2. 매출채권의 상각후원가 측정 466
2.1 무이자부어음채권의 예 / 466 2.2 이자부어음채권의 예 / 468
3. 매출채권의 회수가능성과 대손(손상)의 인식 470
4. 매출채권에 적용되는 연령분석법 472
제3절 금융자산의 제거 475
1. 금융자산의 제거절차 475
2. 금융자산의 제거의 회계처리 477
2.1 금융자산의 제거조건을 충족하는 양도의 경우 / 477
2.2 금융자산의 제거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양도의 경우 / 481
2.3 양도자산에 대한 지속적 관여의 회계처리 / 484
▨[보론1] 금융자산의 재분류(분류변경) / 486
▨[보론2] 지분법적용투자주식 / 490
▨연습문제 / 494


제12장 금융부채 및 충당부채
제1절 부채의 개념 503
1. 부채의 의의 503
2. 부채의 인식기준 505
3. 부채의 분류 505
3.1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 / 506 3.2 화폐성부채와 비화폐성부채 / 507
3.3 확정부채와 우발부채 / 508 3.4 금융부채와 비금융부채 / 508
제2절 부채의 측정 509
1. 부채의 측정속성 509
2. 부채의 측정속성의 선택 510
제3절 금융부채 512
1. 금융부채의 의의 512
1.1 금융부채의 정의 / 512 1.2 금융부채의 분류 / 513
2. 금융부채의 최초측정 및 후속측정 514
3. 금융부채의 제거, 상계 및 재분류 515
제4절 사채: 재무활동과 관련한 금융부채 516
1. 사채의 본질 516
2. 사채의 유형 517
3. 일시상환사채의 회계 518
3.1 사채의 발행시점 / 518 3.2 이자지급시점 / 523
3.3 사채의 만기상환 / 527 3.4 이자지급기간(주기)의 문제 / 527
4. 사채의 이자지급기간과 회계연도의 불일치 529
5. 사채권면상의 발행일 이후의 사채의 발행(중도발행) 530
6. 사채의 상환 535
6.1 사채의 조기상환 / 535 6.2 연속상환사채 / 538
제5절 영업활동과 관련한 금융부채 539
1. 단기매입채무 540
2. 장기매입채무 541
3. 영업활동과 관련한 기타 금융부채 541
제6절 비금융부채 542
1. 충당부채 542
1.1 충당부채의 의의 / 543 1.2 충당부채의 사례 / 547
1.3 충당부채의 측정 / 551 1.4 충당부채의 변동 및 사용 / 554
1.5 충당부채의 인식 및 측정기준 적용사례: 경품충당부채 / 556
2. 우발부채 및 우발자산 557
▨[보론] 상품권의 회계처리 / 560
▨연습문제 / 563


제13장 자본회계
제1절 주식회사 및 자본의 의의 574
1. 주식회사의 의의 574
2. 자본의 의의 575
제2절 주식의 발행 및 자본조달 577
1. 현금과의 교환을 통한 주식발행 577
2. 청약에 의한 주식발행 579
3. 현물출자에 의한 주식발행 580
4. 무상증자와 주식발행 581
5. 주식발행비의 회계 581
제3절 주식의 소각과 자기주식 582
1. 주식의 소각 582
1.1 실질적 감자(유상감자) / 583 1.2 형식적 감자(무상감자) / 584
2. 자기주식 585
제4절 이익잉여금 회계 588
1. 이익잉여금의 의의 588
2. 처분이익잉여금 및 미처분이익잉여금 589
2.1 법정적립금 / 590 2.2 임의적립금 / 590
2.3 적립금 회계 / 590
3. 배 당 592
3.1 배당의 의의 / 592 3.2 배당의 종류와 회계 / 592
4.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597
4.1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의 의의와 형식 / 597
4.2 회계변경의 누적효과 / 600 4.3 전기오류수정손익 / 600
4.4 임의적립금 등의 이입 / 601 4.5 결손금처리액 / 601
제5절 자본변동표 602
1. 자본변동표의 의의 602
2. 자본변동표의 작성 603
2.1 자본금 및 자본잉여금의 변동 / 604 2.2 자본조정 항목의 변동 / 604
2.3 기타포괄손익누계액의 변동 / 604 2.4 이익잉여금의 변동 / 605
▨연습문제 / 608


제14장 현금흐름표
제1절 현금흐름표의 기초 619
1. 현금흐름표의 의의와 기업활동 619
2. 이익과 현금흐름과의 관계 621
3. 현금흐름 정보의 유용성 623
제2절 현금흐름표의 관계식 624
제3절 현금흐름표의 양식과 작성 628
1. 직접법 631
1.1 재무상태표 및 포괄손익계산서계정 분석 / 632
1.2 「현금계정」의 완성 및 분류 / 641
1.3 현금흐름표 작성-직접법 / 642
2. 간접법 643
2.1 현금유출이 없는 비용 등의 가산 / 644
2.2 현금유입이 없는 수익 등의 차감 / 645
2.3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부채의 변동 조정 / 646
2.4 이자비용과 법인세납부액 등 별도 보고항목 / 651
제4절 현금흐름표의 해석 654
▨연습문제 / 656

❐부록: <표1>1원의 미래가치표 / 664<표2>1원의 현재가치표 / 668<표3>정상연금 1원의 미래가치표 / 672<표4>정상연금 1원의 현재가치표 / 676
❐찾아보기(INDEX) / 681

저자소개

박재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경영학사) 서울대학교(경영학석사) 미국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회계학박사) 미국 University of Oregon, Visiting Assistant Professor 공인회계사 시험위원 역임 현, 한국공인회계사회 감사인증기준위원회 위원 현, 동국대학교 경영대학 회계학과 교수 e-mail : jwpark@dongguk.edu
펼치기
김진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경제학사) 서울대학교(경영학석사) 미국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회계학박사) Jardine Fleming Securities(현 JP Morgan), 서울지점 Senior Analyst 공인회계사 및 행정고시 시험위원 역임 동국대학교 LA분교 총장 역임 동국대학교 경영대학 학장 역임 현, 동국대학교 경영대학 회계학과 교수 e-mail : jsnk@dongguk.edu
펼치기
박청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 경영대학 회계학과에 재직하며 재무회계 분야의 연구와 강의를 담당하고 있다. 미국의 켄터키대학교에서 회계학 전공으로 경영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미시간대학교에서 조교수를 역임했으며 대학에서 교편을 잡은 지 10년 이상 되었다. 재무보고와 공시의 품질 및 영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며 ESG 공시와 ESG 평가의 가치관련성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의 초빙연구위원과 서울지방국세청의 국세심사위원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다수의 회계 및 ESG 관련 학회에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K-IFRS 중급회계(2021)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89607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