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2019 ACL 김중근 형사소송법 - 전2권

2019 ACL 김중근 형사소송법 - 전2권

(경찰채용, 경찰간부, 경찰승진, 법원직, 검찰직, 해경, 해경간부, 교정직, 소방직, 출입국관리직)

김중근 (지은이)
에이씨엘커뮤니케이션
4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6개 3,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2019 ACL 김중근 형사소송법 - 전2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2019 ACL 김중근 형사소송법 - 전2권 (경찰채용, 경찰간부, 경찰승진, 법원직, 검찰직, 해경, 해경간부, 교정직, 소방직, 출입국관리직)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7/9급 공무원 > 법학 > 형사소송법
· ISBN : 9791189825126
· 쪽수 : 1048쪽
· 출판일 : 2019-05-28

책 소개

이해하기 쉬운 서술형 방식의 기본서다. 최신 법령과 대법원 판례 모두 반영하였고, 기출논점과 출제예상논점을 명확하게 강조하였다. 밑줄과 음영처리를 통해 중요 부분을 부각시킬 수 있다.

목차

김중근 형사소송법 기본서 Ⅰ


01 서론


CHAPTER 01 형사소송법의 기초
SECTION ❶ 형사소송법의 의의와 성격 2
Ⅰ 형사소송법의 의의 2
01 | 형사소송법의 개념 2
02 | 헌법과 형사소송법 2
03 | 형사소송과 형사절차(형사소송법의 범위) 2
Ⅱ 형사소송법의 성격 3
01 | 절차법 3
02 | 형사법 3
03 | 사법법(司法法) 3
04 | 공법 3
SECTION ❷ 형사소송법의 법원(法源)과 적용범위 4
Ⅰ 형사절차법정주의 4
01 | 의의 4
02 | 근거 4
03 | 실질적 법치국가원리와 형사절차법정주의 4
Ⅱ 형사소송법의 법원(法源) 4
01 | 헌법 4
02 | 형사소송법 8
03 | 대법원규칙과 예규 9
04 | 법무부령 9
Ⅲ 형사소송법의 적용범위 10
01 | 장소적 적용범위 10
02 | 인적 적용범위 12
03 | 시간적 적용범위 15
SECTION ❸ 형사소송법의 역사 17
Ⅰ 구미(歐美) 형사소송법의 역사 17
01 | 대륙법계 형사절차 17
02 | 영미법계 형사절차 17
Ⅱ 우리나라 형사소송법의 역사 17
01 | 형사소송법의 제정 17
02 | 형사소송법의 개정 18

CHAPTER 02 형사소송의 이념과 구조
SECTION ❶ 형사소송의 이념과 기본원칙 22
Ⅰ 형사소송법의 기본이념 22
Ⅱ 실체진실주의 22
01 | 서설 22
02 | 실체진실주의의 내용 23
03 | 실체진실주의의 한계 24
Ⅲ 적정절차의 원리 25
01 | 서설 25
02 | 적정절차원리와 실체진실주의와의 관계 26
03 | 적정절차 원리의 내용 27
04 | 적정절차의 위반에 대한 구제수단 29
Ⅳ 신속한 재판의 원칙 35
01 | 서설 35
02 | 재판의 신속을 위한 제도 36
03 | 신속한 재판의 침해와 그 구제수단 37
SECTION ❷ 형사소송의 기본구조 39
Ⅰ 소송구조론 39
01 | 의의 39
02 | 규문주의 소송구조와 탄핵주의 소송구조 39
Ⅱ 당사자주의와 직권주의 40
Ⅲ 우리 형사소송법의 기본구조 41
01 | 현행 형사소송법의 기본구조 41
02 | 당사자주의적 요소와 직권주의적 요소 41
03 | 당사자주의와 직권주의의 조화 43
03 소송절차의 본질과 절차이분론
SECTION ❶ 소송절차의 본질 44
Ⅰ 소송절차의 의의 44
01 | 의의 44
02 | 성격 44
Ⅱ 소송절차 본질론 44
Ⅲ 소송절차의 본질에 관한 학설 44
Ⅳ 소송의 실체면과 절차면 45
01 | 소송의 실체면 45
02 | 소송의 절차면 45
03 | 실체면과 절차면의 관계 45
SECTION ❷ 소송절차이분론 46
Ⅰ 의의 46
01 | 의의 46
02 | 유래 46
03 | 현행법의 태도 46
Ⅱ 소송절차이분론의 이론적근거 46
01 | 사실인정절차의 순화(純化) 46
02 | 양형의 합리화 46
03 | 피고인의 인격권 보호 47
04 | 변호권의 보장 47
05 | 소송경제 47

02 소송주체와 소송

CHAPTER 01 소송의 주체
SECTION ❶ 법원 51
Ⅰ 법원의 의의 51
01 | 법원의 의의와 종류 51
02 | 사법권의 독립 51
Ⅱ 법원의 구성 52
01 | 단독제와 합의제 52
02 | 수소법원(공판법원) 52
03 | 재판장ㆍ수명법관ㆍ수탁판사ㆍ수임판사 53
Ⅲ 제척ㆍ기피ㆍ회피 54
01 | 제척 55
02 | 기피 60
03 | 회피 64
04 | 법원사무관 등에 대한 제척ㆍ기피ㆍ회피 64
Ⅳ 법원의 관할 65
01 | 관할의 의의 65
02 | 법정관할 66
03 | 재정관할 74
04 | 관할의 경합 76
05 | 관할권 부존재의 효과 78
06 | 사건의 이송 80
SECTION ❷ 검사 82
Ⅰ 서설 82
01 | 검사의 의의 82
02 | 검사의 성격 82
Ⅱ 검사동일체 원칙 83
01 | 의의 83
02 | 제도적 취지 83
03 | 내용 83
04 | 효과 85
Ⅲ 검사의 소송법상 지위 86
01 | 수사의 주재자로서의 지위 86
02 | 공소권의 주체 87
03 | 재판의 집행기관 87
04 | 검사의 객관의무 87
SECTION ❸ 피고인 88
Ⅰ 피고인의 의의 88
01 | 의의 88
02 | 공동피고인 88
Ⅱ 피고인의 특정(성명모용과 위장출석) 89
01 | 의의 89
02 | 피고인 특정의 기준 89
03 | 성명모용의 경우 89
04 | 위장출석의 경우 91
Ⅲ 피고인의 소송법상의 지위 92
01 | 당사자로서의 지위 92
02 | 증거방법으로서의 지위(보조적 지위) 94
03 | 절차의 대상으로서의 지위 94
Ⅳ 무죄추정의 원칙 94
01 | 의의 94
02 | 근거 94
03 | 적용범위 95
04 | 무죄추정원칙의 제도적 표현 95
Ⅴ 피고인의 진술거부권 101
01 | 의의 101
02 | 유래 101
03 | 근거 101
04 | 진술거부권의 내용 101
05 | 진술거부권의 효과 107
Ⅵ 당사자능력과 소송능력 108
01 | 당사자능력 108
02 | 소송능력 109
SECTION ❹ 변호인 111
Ⅰ 변호인제도의 의의 111
01 | 의의 111
02 | 존재이유 111
03 | 형식적 변호와 실질적 변호 111
Ⅱ 변호인의 선임 111
01 | 사선(私選)변호인 111
02 | 국선변호인 115
03 | 선정의 취소와 사임 117
Ⅲ 변호인의 소송법상 지위 126
01 | 변호인의 이중적 지위 126
02 | 보호자의 지위 126
03 | 공익적 지위 127
Ⅳ 변호인의 권한과 의무 127
01 | 변호인의 권한 127
02 | 변호인의 의무 132
Ⅴ 보조인 132
01 | 보조인의 의의 132
02 | 보조인의 자격 132
03 | 보조인의 권한 133

CHAPTER 02 소송행위
SECTION ❶ 소송행위의 의의와 종류 134
Ⅰ 의의 134
01 | 의의 134
02 | 구별개념 134
Ⅱ 종류 134
01 | 주체에 의한 분류 134
02 | 기능에 의한 분류 135
03 | 성질에 의한 분류 135
04 | 목적에 의한 분류 135
SECTION ❷ 소송행위의 일반적 요소 136
Ⅰ 소송행위적격 136
01 | 의의 136
02 | 종류 136
Ⅱ 소송행위의 대리 136
01 | 의의 136
02 | 대리의 허용범위 137
03 | 대리의 법률관계 137
Ⅲ 소송행위의 내용 138
01 | 소송행위의 형식적 확실성 138
02 | 소송행위의 부관 138
Ⅳ 소송행위의 방식 139
01 | 구두주의와 서면주의 139
02 | 소송서류 140
Ⅴ 소송행위의 일시 152
01 | 기일 152
02 | 기간 152
Ⅵ 소송행위의 장소 153
SECTION ❸ 소송행위에 대한 가치판단 154
Ⅰ 소송행위의 성립ㆍ불성립 154
01 | 의의 154
02 | 판단의 실익 154
Ⅱ 소송행위의 유ㆍ무효 154
01 | 의의 154
02 | 무효의 원인 155
03 | 무효의 치유 155
04 | 소송행위의 취소와 철회 157
Ⅲ 소송행위의 적법ㆍ부적법 158
01 | 의의 158
02 | 내용 158
Ⅳ 소송행위의 이유의 유ㆍ무 158
01 | 의의 158
02 | 적용범위 158
03 | 내용 158
SECTION ❹ 소송조건 159
Ⅰ 소송조건의 의의 159
01 | 의의 159
02 | 구별 개념 159
Ⅱ 소송조건의 종류 159
01 | 일반적 소송조건과 특별소송조건 159
02 | 절대적 소송조건과 상대적 소송조건 159
03 | 적극적 소송조건과 소극적 소송조건 160
04 | 형식적 소송조건과 실체적 소송조건 160
Ⅲ 소송조건의 조사 160
Ⅳ 소송조건 흠결의 효과 160
01 | 형식재판에 의한 종결 160
02 | 소송조건 흠결의 경합 160
Ⅴ 소송조건의 추완 161
01 | 의의 161
02 | 학설ㆍ판례 162

03 수사와 공소

CHAPTER 01 수사
SECTION ❶ 총설 164
Ⅰ 서설 164
01 | 의의 164
02 | 수사의 시기 164
03 | 구별개념 164
04 | 수사의 성격 164
Ⅱ 수사기관과 피의자 165
01 | 수사기관 165
02 | 피의자 172
Ⅲ 수사구조론 175
01 | 규문적수사관 175
02 | 탄핵적수사관 175
03 | 소송적수사관 176
04 | 수사구조와 피의자의 인권보장 176
Ⅳ 수사의 조건 176
01 | 서설 176
02 | 수사의 필요성 176
03 | 수사의 상당성 178
SECTION ❷ 수사의 개시 184
Ⅰ 수사의 단서 184
01 | 의의 184
02 | 유형 184
03 | 수사의 개시시점 184
Ⅱ 변사자 검시 184
01 | 의의 184
02 | 검시와 검증의 구별 185
03 | 검시의 절차 185
Ⅲ 불심검문 186
01 | 서설 186
02 | 불심검문의 대상 187
03 | 불심검문의 방법(직무질문) 187
04 | 소지품검사 189
05 | 자동차검문 190
Ⅳ 고소 191
01 | 서설 191
02 | 고소의 절차 195
03 | 고소불가분의 원칙(고소의 효력범위) 202
04 | 고소의 취소 206
05 | 고소권의 포기 213
Ⅴ 고발 213
01 | 의의 213
02 | 법적성질 213
03 | 고발권자 213
04 | 고발의 제한 214
05 | 고발의 절차와 방식 214
Ⅵ 자수 216
01 | 의의 216
02 | 법적성질 216
03 | 자수와 자복의 구별 216
04 | 절차 216
SECTION ❸ 임의수사 219
Ⅰ 의의 219
Ⅱ 임의수사와 강제수사의 구별에 관한 학설 219
01 | 구별의 필요성 219
02 | 구별기준에 관한 학설 220
Ⅲ 임의수사의 원칙과 강제수사의 규제 220
01 | 임의수사의 원칙 220
02 | 강제수사에 대한 규제 220
Ⅳ 임의수사의 적법성의 한계 221
01 | 임의수사의 내재적 한계 221
02 | 현행 형사소송법이 규정하고 있는 임의수사의 방법 221
03 | 임의수사의 적법성이 문제되는 경우 221
04 | 임의수사와 강제수사의 한계 227
Ⅴ 임의수사의 방법 240
01 | 피의자신문 240
02 | 피의자 이외의 자에 대한 조사 247
03 | 사실조회(공무소 조회) 250

CHAPTER 02 강제처분과 강제수사
SECTION ❶ 서설 252
Ⅰ 강제처분의 의의 252
Ⅱ 강제처분의 종류 252
01 | 객체에 따른 분류 252
02 | 주체에 따른 분류 252
03 | 공소제기 전후에 따른 분류 253
04 | 사전영장의 요부 253
05 | 강제의 정도 253
Ⅲ 강제처분으로부터의 인권보장제도 253
SECTION ❷ 인신구속제도 254
Ⅰ 피의자의 체포 254
01 | 체포영장에 의한 체포 254
02 | 긴급체포 258
03 | 현행범인의 체포 265
Ⅱ 피의자와 피고인의 구속 272
01 | 구속의 의의 272
02 | 구속의 요건 274
03 | 구속의 절차 275
04 | 구속기간의 제한 283
05 | 관련문제 287
Ⅲ 피의자와 피고인의 접견교통권 288
01 | 의의 288
02 | 피의자ㆍ피고인의 변호인과의 접견교통권 288
03 | 피의자ㆍ피고인의 비변호인과의 접견교통권 291
04 | 변호인의 피고인ㆍ피의자 등과의 접견교통권 292
05 | 접견교통권의 침해에 대한 구제 295
Ⅳ 피의자ㆍ피고인 석방제도 296
Ⅴ 체포ㆍ구속 적부심사제도 297
01 | 서설 297
02 | 체포ㆍ구속적부심사의 청구 297
03 | 법원의 심사 300
04 | 법원의 결정 301
05 | 불복방법 304
Ⅵ 보석 305
01 | 의의 305
02 | 보석의 종류 306
03 | 보석의 절차 307
04 | 보석의 취소ㆍ실효 311
05 | 보증금의 몰취ㆍ환부 및 보석조건의 효력상실 등 312
Ⅶ 구속의 집행정지 313
01 | 의의 313
02 | 절차 313
03 | 효과 313
04 | 집행정지의 취소 313
05 | 집행정지에 대한 불복방법 314
Ⅷ 구속의 실효(구속의 취소ㆍ구속의 당연실효) 314
01 | 구속취소 314
02 | 구속의 당연실효 316
SECTION ❸ 압수ㆍ수색ㆍ검증 318
Ⅰ 대물적 강제처분 318
01 | 의의 318
02 | 강제처분의 요건 318
Ⅱ 압수ㆍ수색 319
01 | 압수ㆍ수색의 의의 319
02 | 압수ㆍ수색의 목적물 320
03 | 압수ㆍ수색의 절차 327
04 | 압수물의 처리 333
05 | 압수ㆍ수색에 있어서의 영장주의의 예외 342
Ⅲ 수사상 검증 349
01 | 검증의 의의와 대상 349
02 | 검증의 유형 349
03 | 수사상 검증의 절차 349
04 | 신체검사 350
Ⅳ 수사상 감정 및 감정유치 353
01 | 감정 353
02 | 수사상 감정유치 353
SECTION ❹ 판사에 대한 강제처분의 청구 356
Ⅰ 수사상 증거보전 청구 356
01 | 의의 356
02 | 증거보전의 요건 356
03 | 증거보전의 절차 357
04 | 증거보전 후의 절차 359
Ⅱ 참고인에 대한 증인신문의 청구 359
01 | 의의 359
02 | 증인신문의 청구요건 360
03 | 증인신문의 절차 362
04 | 증인신문 후의 조치 363

CHAPTER 03 수사의 종결
SECTION ❶ 검사의 수사종결 364
Ⅰ 서설 364
01 | 수사종결의 의의 364
02 | 수사종결의 주체 364
03 | 수사종결 후의 수사 364
Ⅱ 수사종결처분의 유형(검사의 사건처리) 365
01 | 공소의 제기 365
02 | (광의)의 불기소처분(검찰사건사무규칙) 365
03 | 타관송치 367
Ⅲ 검사의 처분후의 통지의무 367
01 | 고소인ㆍ고발인에 대한 통지의무 367
02 | 피해자 등에 대한 통지 367
03 | 피의자에 대한 처분통지 368
Ⅳ 불기소처분에 대한 불복 368
01 | 검찰항고ㆍ재항고 368
02 | 재정신청 369
03 | 헌법소원 369
SECTION ❷ 재정신청 372
Ⅰ 의의 372
01 | 의의 372
02 | 제도의 취지 372
Ⅱ 재정신청절차 372
01 | 재정신청절차 372
02 | 고등법원의 재정결정 375
03 | 공판절차 379
SECTION ❸ 공소제기 후의 수사 380
Ⅰ 수사의 필요성과 수사의 범위 380
Ⅱ 공소제기 후의 강제수사 380
01 | 대인적 강제처분 380
02 | 압수ㆍ수색ㆍ검증 381
Ⅲ 공소제기 후의 임의수사 381
01 | 피고인신문 381
02 | 참고인조사 382
03 | 기타의 수사 활동 383

CHAPTER 04 공소제기
SECTION ❶ 공소와 공소권 384
Ⅰ 공소의 의의 384
Ⅱ 공소권의 이론 384
01 | 공소권의 의의 384
02 | 공소권 이론 384
03 | 공소권이론 무용론(부인론) 385
Ⅲ 공소권남용 이론 385
01 | 의의 385
02 | 공소권남용이론의 인정여부 386
03 | 공소권남용의 유형 386
SECTION ❷ 공소제기의 기본원리 390
Ⅰ 국가소추주의 390
Ⅱ 기소독점주의 390
01 | 의의 390
02 | 기소독점주의의 장ㆍ단점 390
03 | 기소독점주의의 예외 390
04 | 기소독점주의에 대한 규제 391
Ⅲ 기소편의주의 391
01 | 기소편의주의의 의의 391
02 | 기소편의주의와 기소법정주의 391
03 | 기소편의주의 내용 392
04 | 기소편의주의에 대한 법적규제 393
Ⅳ 공소의 취소 393
01 | 의의 393
02 | 공소취소의 사유 394
03 | 공소취소의 절차 394
04 | 공소취소의 효과 395
SECTION ❸ 공소제기의 절차 397
Ⅰ 공소제기의 방식 397
01 | 공소장의 제출 397
02 | 공소장의 기재사항 400
Ⅱ 공소장일본주의 412
01 | 의의 412
02 | 내용 413
03 | 공소장일본주의의 적용범위 및 예외 415
04 | 공소장일본주의 위반의 효과 416
05 | 관련문제-공판기일 전의 증거제출 417
SECTION ❹ 공소제기의 효과 418
Ⅰ 공소제기의 소송법상 효과 418
01 | 소송계속 418
02 | 심판범위의 한정 419
03 | 공소시효의 정지 421
Ⅱ 공소시효 422
01 | 서설 422
02 | 공소시효의 기간 423
03 | 공소시효의 정지 429
04 | 공소시효완성의 효과 434
05 | 공소시효의 배제 434

부록 형사소송법 관련 각종서류



김중근 형사소송법 기본서 Ⅱ

04 공판


CHAPTER 01 공판절차
SECTION ❶ 공판절차의 기본원칙 462
Ⅰ 공판절차의 의의 462
01 | 공판절차의 의의 462
02 | 공판중심주의적 법정심리절차의 확립 462
Ⅱ 공판절차의 기본원칙 465
01 | 공개주의 465
02 | 구두변론주의 467
03 | 직접주의 468
04 | 집중심리주의 469
SECTION ❷ 공판심리의 범위 470
Ⅰ 심판의 대상 470
01 | 심판대상의 의의 470
02 | 심판대상에 관한 이론 471
03 | 이원설의 이론적 체계 471
Ⅱ 공소장변경 472
01 | 공소장변경의 의의 472
02 | 공소장변경의 한계 475
03 | 공소장변경의 필요성(요부) 493
04 | 공소장변경의 절차 505
SECTION ❸ 공판준비절차 512
Ⅰ 공판기일전의 절차 512
01 | 공소장부본의 송달 512
02 | 의견서의 제출 512
03 | 국선변호인선정에 관한 고지 513
04 | 공판기일의 지정ㆍ통지와 소환 513
05 | 공판기일의 변경 513
06 | 증거개시절차 514
Ⅱ 공판준비절차 517
01 | 의의 517
02 | 공판준비를 위한 서면의 제출 518
03 | 공판준비기일 518
04 | 공판기일전의 증거조사 520
05 | 공무소 등에 대한 조회 520
06 | 변론의 재개 520
SECTION ❹ 공판정의 심리 521
Ⅰ 공판정의 구성과 당사자의 출석 521
01 | 공판정의 구성 521
02 | 검사 출석 521
03 | 피고인의 출석 522
04 | 변호인의 출석 527
05 | 전문심리위원의 참여 529
Ⅱ 소송지휘권 530
01 | 소송지휘권의 의의 530
02 | 소송지휘권의 내용 531
03 | 소송지휘권의 행사방법 531
04 | 소송지휘권 행사에 대한 불복방법 532
Ⅲ 법정경찰권 532
01 | 의의 532
02 | 법정경찰권의 내용 532
03 | 법정경찰권의 적용범위 533
SECTION ❺ 공판기일의 절차 534
Ⅰ 모두절차 534
01 | 진술거부권 등의 고지 534
02 | 인정신문 534
03 | 검사의 모두진술 535
04 | 피고인의 모두진술 535
05 | 재판장의 쟁점정리 및 검사ㆍ변호인의 증거관계
등에 대한 진술 536
Ⅱ 사실심리절차 537
01 | 증거조사 537
02 | 피고인신문 545
03 | 최종변론 547
Ⅲ 판결의 심의와 선고 548
01 | 판결의 심의 548
02 | 판결의 선고 548
SECTION ❻ 증인신문ㆍ감정ㆍ검증 550
Ⅰ 증인신문 550
01 | 증인신문의 의의 550
02 | 증인의 의의와 증인적격 551
03 | 증인의 소송법상 의무와 권리 554
04 | 증인신문의 절차와 방법 563
05 | 범죄피해자의 진술권 571
Ⅱ 검증 574
01 | 의의 574
02 | 검증의 주체와 대상 574
03 | 검증의 절차 574
04 | 검증조서의 작성 575
Ⅲ 감정 576
01 | 감정의 의의 576
02 | 감정의 절차 576
Ⅳ 통역ㆍ번역 578
SECTION ❼ 공판절차의 특칙 579
Ⅰ 간이공판절차 579
01 | 의의 579
02 | 간이공판절차의 요건 579
03 | 간이공판절차의 개시결정 581
04 | 간이공판절차의 특칙 582
05 | 간이공판절차의 취소 584
Ⅱ 공판절차의 정지와 갱신 586
01 | 공판절차의 정지 586
Ⅲ 변론의 병합ㆍ분리ㆍ재개 589
01 | 변론의 병합 589
02 | 변론의 분리 590
03 | 변론의 재개 590
Ⅳ 국민참여재판 591
01 | 총설 591
02 | 대상사건 및 관할 592
03 | 피고인 의사의 확인 593
04 | 배제결정 및 통상절차회부 595
05 | 배심원 597
06 | 공판절차 600

CHAPTER 02 증거
SECTION ❶ 증거의 의의와 종류 612
Ⅰ 증거의 의의 612
01 | 증거의 의의 612
02 | 증명의 의의 612
Ⅱ 증거의 종류 613
01 | 직접증거와 간접(정황)증거 613
02 | 인적증거ㆍ물적증거ㆍ증거서류 617
03 | 본증과 반증 617
04 | 진술증거와 비진술증거 618
05 | 실질증거와 보조증거 618
Ⅲ 증거능력과 증명력 619
SECTION ❷ 증거법의 기본원칙 620
Ⅰ 증거재판주의 620
01 | 증거재판주의의 의의 620
02 | 엄격한 증명 620
03 | 자유로운 증명의 대상 624
04 | 증명을 요하지 않는 사실(불요증사실) 626
05 | 증거재판주의의 위반효과 627
Ⅱ 거증책임 628
01 | 서설 628
02 | 거증책임의 분배 628
03 | 거증책임의 전환 630
Ⅲ 자유심증주의 631
01 | 자유심증주의의 의의 631
02 | 자유심증주의의 내용 632
03 | 자유심증주의의 내재적 한계 634
04 | 증명력 판단의 합리성 보장 637
05 | 자유심증주의의 예외 637
06 | 자유심증주의와 in dubio pro reo
(의심스러울 때 피고인의 이익으로)의 원칙 637
SECTION ❸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 647
Ⅰ 의의 647
Ⅱ 연혁 647
Ⅲ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의 인정여부 647
01 | 학설 647
02 | 판례 647
Ⅳ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의 적용범위 649
01 | 배제의 기준 649
02 | 유형별 고찰 649
03 |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과 자백배제법칙과의 관계 661
Ⅴ 독수의 과실이론 661
01 | 의의 661
02 | 독수의 과실이론의 예외(제한이론) 662
Ⅵ 관련문제 662
01 | 선의의 예외이론 662
02 | 위법수집증거와 증거동의 662
03 | 위법수집증거와 탄핵증거 663
Ⅶ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의 효과 663
SECTION ❹ 자백배제법칙 664
Ⅰ 자백의 의의 664
01 | 의의 664
02 | 자백의 형식 664
03 | 자백의 주체 664
04 | 구별개념 664
Ⅱ 자백배제법칙의 의의 665
Ⅲ 자백배제법칙의 연혁 665
Ⅳ 자백배제법칙의 이론적 근거 666
Ⅴ 자백배제법칙의 구체적 적용범위 667
01 | 고문ㆍ폭행ㆍ협박ㆍ신체구속의 부당한 장기화로
인한 자백 667
02 | 기망 기타 방법에 의한 임의성에 의심 있는 자백 668
Ⅵ 인과관계의 필요성 여부 671
Ⅶ 임의성의 입증 671
01 | 자백의 임의성에 대한 거증책임 671
02 | 자백의 임의성에 대한 증명방법 671
Ⅷ 자백배제법칙의 효과 672
01 | 증거능력의 절대적 배제 672
02 | 임의성없는 자백에 의하여 수집된 증거의 증거능력
(독수의 과실이론을 인정할 것인가의 문제) 672
SECTION ❺ 전문법칙 673
Ⅰ 전문증거와 전문법칙 673
01 | 전문증거 673
02 | 전문법칙 674
03 | 전문법칙의 예외이론 676
Ⅱ 형사소송법상 전문법칙의 예외이론 678
01 | 법원 또는 법관의 면전조서 682
02 | 피의자신문조서 684
03 | 진술조서 697
04 | 진술서 702
05 | 검증조서 709
06 | 감정서 715
07 | 제314조에 의한 증거능력 인정 715
08 | 당연히 증거능력이 있는 서류 725
09 | 전문진술 728
10 | 진술의 임의성 733
Ⅲ 전문법칙의 관련문제 734
01 | 사진의 증거능력 734
02 | 녹음테이프의 증거능력 738
03 | 비디오테이프 등의 증거능력 744
04 | 거짓말탐지기 검사결과의 증거능력 745
SECTION ❻ 당사자의 증거동의와 증거능력 747
Ⅰ 서설 747
01 | 의의 747
02 | 제도의 취지 747
03 | 소송구조와의 관계 747
Ⅱ 동의의 법적성질 747
01 | 동의의 본질 747
02 | 동의와 전문법칙과의 관계 748
Ⅲ 동의의 방법 748
01 | 동의의 주체와 상대방 748
02 | 동의의 대상 749
03 | 동의의 시기와 방식 751
04 | 증거동의의 의제 752
Ⅳ 증거동의의 효과 754
01 | 증거능력의 인정 754
02 | 동의의 효력이 미치는 범위 754
Ⅴ 증거동의의 철회와 취소 755
01 | 증거동의의 철회 755
02 | 증거동의의 취소 756
SECTION ❼ 탄핵증거 757
Ⅰ 의의 757
01 | 의의 757
02 | 근거법규(증명력을 다투기 위한 증거) 758
03 | 제도의 취지 758
04 | 구별개념 758
Ⅱ 탄핵증거의 성질 759
01 | 탄핵증거와 전문법칙 759
02 | 탄핵증거와 자유심증주의의 관계 759
Ⅲ 탄핵증거의 허용범위와 탄핵증거의 제한 759
01 | 탄핵증거의 허용범위 759
02 | 탄핵증거의 제한 759
Ⅳ 탄핵의 대상과 범위 760
01 | 탄핵의 대상 760
02 | 탄핵의 범위 762
Ⅴ 탄핵증거의 조사방법 762
Ⅵ 기억환기를 위한 증거제시 763
SECTION ❽ 자백의 보강법칙 765
Ⅰ 서설 765
01 | 의의 765
02 | 근거법규 765
03 | 타제도와의 관계 765
04 | 자백의 보강법칙의 적용범위 766
Ⅱ 보강을 필요로 하는 자백 766
01 | 피고인의 자백 766
02 | 공판정의 자백 767
03 | 공범자의 자백 767
Ⅲ 보강증거의 자격 767
01 | 증거능력 있는 증거 767
02 | 독립증거 768
03 | 정황증거 769
04 | 보강증거로서의 공범자의 자백 771
Ⅳ 보강증거의 범위 772
01 | 보강증거가 필요한 범위 773
02 | 구체적 고찰 774
03 | 보강증거의 증명력 775
Ⅴ 보강법칙의 위반의 효과 776
SECTION ❾ 공판조서의 증명력 777
Ⅰ 서설 777
01 | 공판조서의 의의 777
02 | 공판조서의 정확성 보장 777
Ⅱ 자유심증주의의 예외 777
Ⅲ 배타적 증명력의 적용범위 778
01 | 공판기일의 소송절차 778
02 | 공판조서에 기재된 소송절차 778
Ⅳ 공판조서의 멸실 및 무효 780

CHAPTER 03 재판
SECTION ❶ 재판의 기본개념 782
Ⅰ 재판의 의의 782
01 | 의의 782
02 | 구별개념 782
Ⅱ 재판의 종류 783
01 | 재판의 기능에 따른 분류 783
02 | 재판의 내용에 따른 분류 783
03 | 재판의 형식에 따른 분류 784
SECTION ❷ 재판의 성립과 재판서 785
Ⅰ 재판의 성립 785
01 | 재판의 내부적 성립 785
02 | 재판의 외부적 성립 785
Ⅱ 재판의 구성과 방식 787
01 | 재판의 구성 787
02 | 재판의 방식 787
CHAPTER 04 종국재판
SECTION ❶ 유죄판결 790
Ⅰ 유죄판결의 의의 790
Ⅱ 유죄판결에 명시할 이유 790
01 | 의의 790
02 | 범죄될 사실 791
03 | 증거의 요지 794
04 | 법령의 적용 795
05 | 소송관계인의 주장에 대한 판단 796
SECTION ❷ 무죄판결 798
Ⅰ 무죄판결의 의의 798
Ⅱ 무죄판결의 사유 798
01 | 피고사건이 범죄로 되지 아니한 때 798
02 | 범죄사실의 증명이 없는 때 798
Ⅲ 무죄판결의 판시방법 800
01 | 무죄판결의 주문 표시 800
02 | 무죄판결의 이유설시 방법 800
Ⅳ 무죄판결의 효력 800
01 | 선고의 효력 800
02 | 확정의 효력 800
03 | 형사보상의 사유 801
04 | 무죄판결에 대한 상소 801
05 | 무죄판결과 비용보상 801
06 | 무죄판결과 치료감호 802
SECTION ❸ 관할위반의 판결 803
Ⅰ 의의 803
01 | 의의 803
02 | 성질 803
Ⅱ 관할위반의 사유 803
01 | 원칙 803
02 | 예외:토지관할의 위반 803
SECTION ❹ 공소기각의 재판 804
Ⅰ 의의 804
01 | 의의 804
02 | 성질 804
Ⅱ 공소기각 결정의 사유 804
01 | 공소가 취소된 경우(1호) 804
02 | 피고인이 사망하거나 피고인인 법인이 존속하지
아니하게 되었을 때(2호) 805
03 | 관할의 경합(제12조 또는 제13조의 규정)으로
인하여 재판할 수 없는 때(3호) 805
04 | 기재된 사실에 범죄가 될 만한 사실이 포함되지
아니하는 때(4호) 805
Ⅲ 공소기각판결의 사유 806
01 | 공소기각판결의 사유 806
02 | 효과 808
03 | 공소시효의 재진행 808
04 | 상소의 이익 809
Ⅳ 공소기각사유의 경합 809
01 | 결정과 판결에 의한 공소기각 사유가 경합한 경우 809
02 | 공소기각의 사유와 관할위반 또는 면소의 사유가
경합한 경우 809
03 | 공소기각의 사유와 무죄의 사유가 경합한 경우 809
SECTION ❺ 면소의 판결 810
Ⅰ 의의 810
01 | 의의 810
02 | 성격 810
Ⅱ 면소판결의 본질 810
Ⅲ 면소판결의 사유(326조) 810
01 | 확정판결이 있은 때(1호) 810
02 | 사면이 있은 때(2호) 813
03 | 공소시효가 완성되었을 때(3호) 813
04 | 범죄 후의 법령 개폐로 형이 폐지되었을 때(4호) 813
Ⅳ 관련문제 814
01 | 심리의 특칙 814
02 | 일죄의 일부에 면소사유가 있는 경우 814
03 | 면소판결의 부수적 효과 814
SECTION ❻ 종국재판의 부수효과 815
Ⅰ 구속영장의 실효 815
Ⅱ 압수물의 처분 815
01 | 몰수의 선고와 압수물 815
02 | 압수장물의 환부(제333조) 815
Ⅲ 재산형의 가납판결 815

CHAPTER 05 재판의 효력
SECTION ❶ 재판의 확정 816
Ⅰ 재판확정의 의의 816
01 | 확정재판 의의 816
02 | 제도적 기능 816
Ⅱ 재판의 확정시기 816
01 | 볼복신청이 허용되지 않는 재판의 경우 816
02 | 불복신청이 허용되는 재판 817
SECTION ❷ 재판확정의 효력 817
Ⅰ 형식적 확정력 818
01 | 의의 818
02 | 효력 818
03 | 범위 818
Ⅱ 내용적 확정력 818
01 | 의의 818
02 | 내용적 확정력의 효과 818
Ⅲ 기판력 819
01 | 의의 819
02 | 기판력이 인정되는 재판 819
03 | 기판력이 인정되지 않는 재판 821
04 | 기판력의 범위 823
05 | 기판력의 배제 829
06 | 기판력의 효과 829

CHAPTER 06 소송비용
Ⅰ 소송비용의 의의 830
01 | 의의 830
02 | 소송비용의 범위 830
Ⅱ 소송비용의 부담자 830
01 | 피고인의 소송비용부담 830
02 | 공범 831
03 | 고소인ㆍ고발인의 경우 831
04 | 상소 또는 재심청구자 831
Ⅲ 소송비용부담의 재판절차 831
01 | 재판으로 소송절차가 종료되는 경우 831
02 | 재판에 의하지 아니하고 소송절차가 종료되는 경우 831
03 | 소송비용부담액의 산정 832
04 | 소송비용부담재판의 집행 832

05 상소ㆍ비상구제ㆍ재판집행ㆍ형사보상

CHAPTER 01 상소
SECTION ❶ 상소일반 834
Ⅰ 상소의 의의와 종류 834
01 | 의의 834
02 | 구별개념 834
03 | 제도의 취지 834
04 | 상소의 종류 834
Ⅱ 상소권 835
01 | 상소권자 835
02 | 상소권의 발생ㆍ소멸ㆍ회복 835
Ⅲ 상소의 이익 840
01 | 의의 840
02 | 검사의 상소이익 840
03 | 피고인의 상소이익 841
Ⅳ 상소의 제기와 포기ㆍ취하 844
01 | 상소의 제기 844
02 | 상소의 포기ㆍ취하 845
Ⅴ 일부상소 847
01 | 일부상소의 의의 847
02 | 일부상소의 범위 847
03 | 일부상소의 방식 850
04 | 일부상소의 효력 851
Ⅵ 불이익변경금지의 원칙 854
01 | 의의 854
02 | 불이익변경금지원칙의 적용범위 854
03 | 불이익변경금지의 내용 857
04 | 불이익변경금지원칙의 위반효과 860
Ⅶ 파기판결의 구속력 867
01 | 의의 867
02 | 구속력의 법적 성질 868
03 | 구속력의 범위 868
04 | 위반의 효과 869
SECTION ❷ 항소 871
Ⅰ 항소의 의의 871
01 | 개념 871
02 | 구별개념 871
Ⅱ 항소심의 구조 871
01 | 항소심의 구조의 유형 871
02 | 현행법상 항소심의 구조 872
Ⅲ 항소이유 873
01 | 의의 874
02 | 항소이유의 분류 874
Ⅳ 항소심의 절차 875
01 | 항소의 제기 875
02 | 항소심의 심리 881
03 | 항소심의 재판 885
Ⅴ 관련문제 887
01 | 항소심에서의 공소장변경 887
02 | 기판력의 시적 범위 887
SECTION ❸ 상고 888
Ⅰ 상고의 의의 888
01 | 의의 888
02 | 기능 888
Ⅱ 상고심의 구조 888
01 | 원칙적 법률심과 예외적 사실심 888
02 | 원칙적 사후심과 예외적 속심 888
Ⅲ 상고이유 889
Ⅳ 상고심의 절차 892
01 | 상고의 제기 892
02 | 상고심의 심리 894
03 | 상고심의 재판 896
04 | 재판서의 기재방법 896
Ⅴ 비약적 상고 897
01 | 의의 897
02 | 비약적 상고의 대상 897
03 | 비약적 상고의 이유 897
04 | 비약적 상고의 효력상실 898
Ⅵ 상고심판결의 정정 899
01 | 판결정정의 의의 899
02 | 판결정정의 사유 899
03 | 정정절차 899
SECTION ❹ 항고 900
Ⅰ 의의 900
01 | 의의 900
02 | 구별개념 900
Ⅱ 항고의 종류 900
Ⅲ 항고심의 절차 902
01 | 항고의 제기 902
02 | 항고심의 심판 903
Ⅳ 준항고 905
01 | 의의 905
02 | 성질 905
03 | 준항고의 대상 905
04 | 준항고의 절차 906

CHAPTER 02 비상구제절차
SECTION ❶ 재심 910
Ⅰ 서설 910
01 | 의의 910
02 | 구별개념 910
03 | 재심절차의 구조 910
Ⅱ 재심의 대상 910
01 | 유죄의 확정판결 910
02 | 상소기각의 확정판결 912
Ⅲ 재심사유 912
01 | 유죄의 확정판결에 대한 재심이유(제420조) 913
02 | 상소(항소ㆍ상고)기각의 확정판결에 대한 재심이유 920
03 | 확정판결에 대신하는 증명 920
Ⅳ 재심개시절차 921
01 | 재심의 관할 921
02 | 재심의 청구 922
03 | 재심청구에 대한 심판 923
Ⅴ 재심심판절차 925
01 | 재심의 공판절차 925
02 | 재심심판절차의 특칙 925
03 | 재심의 재판 926
SECTION ❷ 비상상고 931
Ⅰ 비상상고의 의의 931
01 | 의의 931
02 | 구별개념 931
03 | 제도의 취지 931
Ⅱ 비상상고의 대상 931
01 | 모든 확정판결 931
02 | 약식명령ㆍ즉결심판 931
03 | 당연무효의 판결 931
04 | 상소기각판결 932
Ⅲ 비상상고의 이유 933
01 | 의의 933
02 | 법령위반의 의미 933
03 | 사실오인과 비상상고 933
Ⅳ 비상상고의 절차 934
01 | 비상상고의 신청 934
02 | 비상상고의 심리 934
03 | 비상상고의 판결 934

CHAPTER 03 특별형사절차
SECTION ❶ 약식절차 938
Ⅰ 약식절차의 의의 938
01 | 약식절차의 개념 938
02 | 구별개념 938
03 | 인정취지 938
04 | 법적성질 938
Ⅱ 약식명령의 청구 939
01 | 청구권자와 그 대상 939
02 | 청구의 방식 939
Ⅲ 약식절차의 심판 939
01 | 법원의 심사 939
02 | 공판절차의 이행 940
03 | 약식명령 940
Ⅳ 정식재판 청구의 절차 941
01 | 의의 941
02 | 정식재판 청구의 절차 941
03 | 정식재판 청구에 대한 재판 943
SECTION ❷ 즉결심판절차 946
Ⅰ 서설 946
01 | 즉결심판절차의 의의 946
02 | 제도의 취지 946
03 | 즉결심판절차의 법적성질 946
Ⅱ 즉결심판의 청구 946
01 | 즉결심판의 청구권자 946
02 | 즉결심판의 대상 946
03 | 관할법원 947
04 | 청구의 방식 947
Ⅲ 즉결심판 청구사건의 심리 947
01 | 판사의 심사와 경찰서장의 송치 947
02 | 심리상의 특칙 948
03 | 형사소송법의 준용 949
Ⅳ 즉결심판의 선고와 효력 950
01 | 즉결심판의 선고 950
02 | 즉결심판의 효력 950
03 | 형의 집행 951
Ⅴ 정식재판의 청구 951
01 | 정식재판청구의 절차 951
02 | 공판절차에 의한 심판 952
SECTION ❸ 소년에 대한 형사절차 955
Ⅰ 소년형사범의 의의 955
01 | 목적 955
02 | 구별 법규 955
03 | 소년사건 955
Ⅱ 사건의 송치 956
01 | 범죄소년에 대한 소년부 사건송치 956
02 | 소년부에서 검사로 사건송치 956
Ⅲ 선도조건부 기소유예 957
01 | 입법취지 957
02 | 내용 957
Ⅳ 소년형사절차의 특칙 957
01 | 소송조건에 관한 특칙 957
02 | 구속영장발부의 제한과 분리수용 957
03 | 심리에 관한 특칙 958
04 | 재판에 있어서의 특칙 958
05 | 형의 집행에 있어서의 특칙 959
SECTION ❹ 범죄피해자의 법적지위 961
Ⅰ 피해자의 의의 961
Ⅱ 수사절차에서의 범죄피해자의 법적 지위 961
01 | 고소권 및 고소취소권 961
02 | 검사의 불기소처분에 대한 통제권 961
03 | 구속 전 피의자심문에서의 의견진술 및 심문권 961
04 | 형사조정 회부 961
Ⅲ 공판절차에서의 범죄피해자의 법적 지위 962
01 | 증인으로서의 지위 962
02 | 피해자의 진술권 962
03 | 피해자 진술의 비공개 962
04 | 피해자 등의 공판기록 열람ㆍ등사 963
05 | 신뢰관계자의 동석
(제163조의2, 제221조 제3항, 제276조의2) 964
06 | 비디오중계방식에 의한 신문(제165조의2) 964
Ⅳ 배상명령절차 964
01 | 의의 964
02 | 배상명령의 요건 964
03 | 배상명령의 절차 966
Ⅴ 범죄피해자 보호제도 972
01 | 범죄피해자 보호의 의의 972
02 | 범죄피해 구조금의 지급 요건 및 종류 973
03 | 범죄피해 구조금의 지급 974

CHAPTER 04 재판의 집행과 형사보상
SECTION ❶ 재판의 집행 976
Ⅰ 재판집행의 의의 976
01 | 개념 976
02 | 구별개념 976
Ⅱ 재판집행의 기본원칙 976
01 | 재판집행의 시기 976
02 | 재판집행의 지휘 977
03 | 집행지휘의 방식 977
04 | 형집행을 위한 소환 978
Ⅲ 형의 집행 980
01 | 형 집행의 순서 980
02 | 사형의 집행 980
03 | 자유형의 집행 981
04 | 자격형의 집행 986
05 | 재산형의 집행 987
06 | 몰수물의 집행과 압수물의 처분 988
Ⅳ 재판집행에 대한 구제방안 989
01 | 재판해석에 대한 의의(疑義)신청 989
02 | 재판집행에 대한 이의(異議)신청 989
03 | 소송비용의 집행면제신청 990
04 | 소송비용의 재판에 대한 불복 990
SECTION ❷ 형사보상 991
Ⅰ 형사보상의 의의 991
01 | 의의 991
02 | 제도의 취지 991
Ⅱ 형사보상의 성질 991
01 | 형사보상의 본질 991
02 | 형사보상과 국가배상과의 관계 991
Ⅲ 형사보상의 요건 992
01 | 피의자보상 992
02 | 피고인보상 992
Ⅳ 형사보상의 내용 994
01 | 구금에 대한 보상 994
02 | 형의 집행에 대한 보상 995
Ⅴ 형사보상의 절차 995
01 | 형사보상의 청구 995
02 | 피고인 보상청구에 대한 재판 996
03 | 피의자보상의 결정 997
04 | 보상금 지급의 청구 998
Ⅵ 명예회복 998
01 | 의의 998
02 | 무죄재판서 게재 청구 998
03 | 청구에 대한 조치 998
Ⅶ 무죄판결과 비용보상문제 999
01 | 의의 999
02 | 보상의 제한 999
03 | 비용보상의 절차 1000
04 | 비용보상의 범위 1000
05 | 준용규정 1000

저자소개

김중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법학박사(형사법 전공) 경북대학교 법과대학 및 동 대학원 졸업 현) 김중근 폴리스 아카데미 원장 전) 국립중앙경찰학교 형사법 교수 전) 국립중앙경찰학교 순경졸업시험 출제위원 전) 계명문화대학 경찰행정학과 교수 전) 경찰간부 합격의 법학원 대표 형법 교수 전) 경북대학교 법과대학 강사 전) 계명대학교 법경대학 외래교수 전) 경북대학교 법과대학 사법시험 특강 교수 전) 경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형사법 교수 전) 경상북도 공무원 승진시험 출제위원 역임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