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91189946203
· 쪽수 : 465쪽
· 출판일 : 2019-07-17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부 역사・사상의 시각
제1장 조선 초기 국가지배체제의 특성과 수립과정: 토지사유제와 노비제를 중심으로
I. 서론
II. 건국 초기 토지제도의 구상–사전혁파(私田革罷)와 과전제(科田制)
III. 과전제의 포기와 토지사유권의 제도화
IV. 조선 초기 노비제의 성격
V. 종부위량법(從父爲良法)의 폐기와 일천즉천(一賤則賤)의 제도화
VI. 결어
제2장 국문학 논쟁을 통해서 본 조선 후기의 국가, 사회, 행위자
I. 머리말
II. 국문학 논쟁의 구도
III. 국문학 논쟁 속의 국가론
IV. 경험 연구의 재검토
V. 국가론의 재검토
VI. 국가, 사회, 그리고 행위자
VII. 맺음말
제3장 고대 아테네 민주주의에서 진실성 문제: 파르헤시아(진실발언)에 대한 플라톤의 철학적 검증을 중심으로
I. 들어가며
II. 고대 아테네 민주주의에서 수사학과 파르헤시아
III. 플라톤의 <라케스>와 철학적 파르헤시아의 발견
IV. 플라톤의 <고르기아스>와 진정한 정치의 모색
V. 나가며
제2부 비교정치론의 시각
제4장 국가모델로서 연방과 연합: 미합중국과 유럽연합의 사례
I. 국가모델로서 연방주의 사례 비교
II. 비교 연방주의 이론: 분리와 통합의 역학
III. 미합중국의 건립 과정과 헌정 구상
IV. 유럽연합의 건립 과정과 헌정 구상
V. 국가모델로서 연합과 연방 간 비교
제5장 세계화 시대 국가의 역할: 한국의 경험을 중심으로
I. 기존 이론과 이론적 대안
II. 세계화의 결과: 한국과 미국 사례 비교
III. 전환의 정치
IV. 맺음말
제3부 국제정치론의 시각
제6장 국가 주권과 상호의존성 사이에서
I. 서론: 문제의 성격과 문제 해결장치의 부정합
II. 지구화의 충격과 인류의 대응방식
III. 지구화의 도전에 대한 세 가지 해결책
IV. 국제기구의 세 얼굴
V. 상호의존과 배타성의 조화?
제7장 주권과 보충성: 개념 검토를 통해 본 국제법 규범 이론의 필요성
I. “국가 주권 개념의 대안”
II. 주권의 제한: 보충성의 유연성
III. 규범 이론의 역할: 보충성의 양면성
IV. 규범 이론의 밑그림: 정당화 개인주의의 국제법적 발현
V. 맺음말
제8장 국제정치이론에서 주체-구조 문제 논의의 재검토
I. 서론
II. 과정
III. 복잡성
IV. 교착상태의 극복
V. 지역수준의 논의
VI. 결론
제4부 미래국가론의 성찰
제9장 미국의 대외전략 변화와 자유주의 국제질서의 운명
I. 서론
II. 미국 주도 자유주의 국제질서의 성격과 변화
III. 트럼프 정부와 미국 자유민주주의의 위기
IV. 트럼프 정부의 외교대전략
V. 결론
제10장 하버마스의 글로벌 거버넌스 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I. 머리말
II. ‘세계시민민주주의(cosmopolitan democracy)’
III. ‘세계정부 없는 글로벌 거버넌스’
IV. 글로벌 거버넌스와 민주주의
V. 국가, 민주주의, 지구화
VI. 맺음말
제11장 네트워크 국가론: 미래 국가모델의 국제정치학적 탐구
I. 머리말
II. 네트워크 이론으로 보는 국가변환
III. 네트워크 국가의 세계정치이론
IV. 사이버 공간의 미중경쟁 사례
V.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