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삼각관계로 바라보는 국제정치

삼각관계로 바라보는 국제정치

정성철, 김종학, 김태형, 최규빈, 김보미, 박재적, 천자현 (지은이),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정성철 (엮은이)
사회평론아카데미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600원
19,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삼각관계로 바라보는 국제정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삼각관계로 바라보는 국제정치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91167070609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22-05-19

책 소개

국제정치 속 삼각관계의 이론화 필요성에 공감한 연구자들이 실시한 이론적·경험적 연구를 담아낸 책이다. 현재까지 진행된 삼각관계 연구의 핵심내용과 연구동향을 점검하고 19세기부터 현재에 이르는 주요 삼각관계 사례들을 면밀히 검토하고 있다.

목차

서문 삼각관계로 바라보는 국제정치

제1장 삼각관계 국제정치의 이론화 모색
I 들어가는 글
II 국제정치이론의 분석수준
III 국제관계연구와 삼자수준
IV 삼각관계의 유형, 부상, 그리고 변환
V 나가는 글

제2장 삼각관계 체계이론으로 본 근대 한·중·일 관계의 전개(1871-1907)
I 서론
II 성립(1871-1876): 근대 동아시아 삼각관계의 내재적 모순
III 전개(1882-1894): 체계 동학(動學)의 본격적 작동
IV 전환(1895-1907): 이중적 삼각관계로의 진화
V 결론

제3장 인도-파키스탄 숙적관계(rivalry)와 파키스탄-미국의 불안정한 동맹—1971년 3차 인도-파키스탄 전쟁과 3국관계의 교훈
I 서론
II 인도-파키스탄 숙적관계의 생성, 변화, 발전
III 3차 인도-파키스탄 전쟁(방글라데시 전쟁)
IV 3차 인도-파키스탄 전쟁과 파키스탄-미국 동맹
V 결론

제4장 중국-베트남-소련 삼각관계의 형성과 와해—두 전선의 전쟁, 1978-1979
I 서론
II 중국과 캄보디아의 동맹, 베트남의 역습
III 중국과 베트남 관계의 밀착과 파열, 소련의 개입
IV 결론

제5장 냉전의 종식과 핵보유국의 태동—중·러가 북한의 핵프로그램에 미친 영향(1980- 1994)
I 문제제기: 북한은 어떻게 핵보유국이 될 수 있었나?
II 사회주의 동맹의 압박과 북한의 NPT 가입(1980-85)
III 진영의 붕괴와 한반도비핵화선언(1986-91)
IV 1차 북핵위기와 전통적 사회주의 연대의 해소(1992-94)
V 결론

제6장 인도·태평양 지역 미국 주도 삼자 안보협력과 삼각관계
I 서론
II ‘소다자주의’: 이론적 접근
III 인도·태평양 지역 미국 주도 삼자 안보협력
IV 미국 주도 삼자 안보협력의 삼각관계
V 결론

제7장 역사적 기억과 한·미·일 삼각관계의 변화
I 서론
II ‘유사동맹(quasi alliance)’ 모델 그 이후
III 한일 역사 갈등의 현재화
IV 한-미, 미-일 동맹의 ‘병렬적 협력’ 모델
V 결론

저자소개

김종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 부교수 저서로 『개화당의 기원과 비밀외교』, 『흥선대원군 평전』 등이 있고, 논문으로 「조일수호조규 체결 전후 오경석의 막후활동: 개화당 기원의 재검토」, 「國=家와 國/家: 왕권을 둘러싼 정치투쟁과 대한제국」, 「‘개화’의 수용과 근대 정치변동(1876~1895)」 등이 있다.
펼치기
김보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시간대 정치학과 졸업 뉴욕대 정치학 석사 북한대학원대 북한학 박사 현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연구위원서강대 공공정책대학원 대우교수합동참모본부 정책자문위원통일부 정책용역평가 심사위원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KINAC) 비상임 이사 통일연구원 프로젝트연구위원 / 중앙대 강사 역임 [주요논저] “김정은 시기 북한의 국방력 발전 계획: 억제력의 강화 과정을 중심으로” (INSS 연구보고서) “냉전의 종식과 핵보유국의 태동: 중러가 북한의 핵프로그램에 미친 영향(1980-1994)” (세계정치) “북한 사이버위협의 특징과 대응방안: 김정은 시대를 중심으로” (INSS 연구보고서) “북한은 파키스탄의 길을 가고 있는가: 북한과 파키스탄의 전술핵무기 역할과 핵지휘통제 비교” (국방연구) “북한의 핵개발 전략 변화: 냉전기에서 핵무력 완성기까지(1948-2017)” (INSS 연구보고서) “북한의 핵전력 지휘통제체계: 이론적 예측과 안전성 전망” (INSS 연구보고서) 외 다수
펼치기
최규빈 (지은이)    정보 더보기
통일연구원 부연구위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한동대학교를 졸업하고 맨체스터대학교에서 국제개발학 석사 학위, 리즈대학교에서 국제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에서 책임연구원을 역임했다. 평화와 인권, 발전에 대한 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최근 논저로는 『한반도 평화학: 보편성과 특수성의 전략적 연계』(공저), 『평화의 여러 가지 얼굴』(공저), “유엔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대한 북한의 인식과 대응” 등이 있다.
펼치기
김태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숭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고려대학교 철학과 졸업, 켄터키 대학교(University of Kentucky) 정치학 박사 논저: 『인도-파키스탄 분쟁의 이해』, “미-중 경쟁 격화와 유럽의 선택”, “국내정체성 정치와 외교전략 딜레마: 인도 모디(Modi)정부의 힌두 민족주의 국내정책과 중국의 공세적 외교정책의 충돌”, “North Korea’s Nuclear and Missile Development and Crisis Stability in the Korean Peninsula: Lessons, Pitfalls, and Workable Strategy”, “미국의 인도-태평양전략과 미군의 군사전략 변화”
펼치기
정성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명지대학교 공공인재학부 정치외교학전공 교수이다. 서울대학교(서양사학 학사, 외교학 석사)와 미(美) 럿거스뉴저지주립대(정치학 박사)에서 공부했다. 통일연구원에서 근무했으며 한국국제정치학회 논문상을 수상한 바 있다. 한반도 관점에서 국제정치와 외교정책을 가르치고 연구하며 자신과 우리를 알아가는 일상을 살고 있다. 주요 업적을 『한국정치학회보』, International Studies Quarterly, Journal of Contemporary China, Journal of Peace Research 등에 출판했다. https://sites.google.com/site/scjung2015
펼치기
천자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국제관계학과 부교수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 연세대학교 정치학 박사 논저: “Varieties of International Reconciliation”, “Enforced Reconciliation Without Justice”, “Alliance and social division: The changing nature of the anti-US base movement and THAAD Deployment”, “Clashing Geostrategic Choices in East Asia, 2009-2015: Re-balancing, Wedge Strategy, and Hedging”
펼치기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은용수 한양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민병원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소병일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연구원 하홍규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전문연구원 용채영 세인트앤드류스대학교 국제관계학과 박사과정 민 희 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 SSK 연구단 연구교수 이중구 한국국방연구원 안보전략연구센터 선임연구원 김성경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이민정 서울대학교 외교학 석사
펼치기
정성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명지대학교 공공인재학부 정치외교학전공 교수이다. 서울대학교(서양사학 학사, 외교학 석사)와 미(美) 럿거스뉴저지주립대(정치학 박사)에서 공부했다. 통일연구원에서 근무했으며 한국국제정치학회 논문상을 수상한 바 있다. 한반도 관점에서 국제정치와 외교정책을 가르치고 연구하며 자신과 우리를 알아가는 일상을 살고 있다. 주요 업적을 『한국정치학회보』, International Studies Quarterly, Journal of Contemporary China, Journal of Peace Research 등에 출판했다. https://sites.google.com/site/scjung2015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