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91167070609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22-05-19
책 소개
목차
서문 삼각관계로 바라보는 국제정치
제1장 삼각관계 국제정치의 이론화 모색
I 들어가는 글
II 국제정치이론의 분석수준
III 국제관계연구와 삼자수준
IV 삼각관계의 유형, 부상, 그리고 변환
V 나가는 글
제2장 삼각관계 체계이론으로 본 근대 한·중·일 관계의 전개(1871-1907)
I 서론
II 성립(1871-1876): 근대 동아시아 삼각관계의 내재적 모순
III 전개(1882-1894): 체계 동학(動學)의 본격적 작동
IV 전환(1895-1907): 이중적 삼각관계로의 진화
V 결론
제3장 인도-파키스탄 숙적관계(rivalry)와 파키스탄-미국의 불안정한 동맹—1971년 3차 인도-파키스탄 전쟁과 3국관계의 교훈
I 서론
II 인도-파키스탄 숙적관계의 생성, 변화, 발전
III 3차 인도-파키스탄 전쟁(방글라데시 전쟁)
IV 3차 인도-파키스탄 전쟁과 파키스탄-미국 동맹
V 결론
제4장 중국-베트남-소련 삼각관계의 형성과 와해—두 전선의 전쟁, 1978-1979
I 서론
II 중국과 캄보디아의 동맹, 베트남의 역습
III 중국과 베트남 관계의 밀착과 파열, 소련의 개입
IV 결론
제5장 냉전의 종식과 핵보유국의 태동—중·러가 북한의 핵프로그램에 미친 영향(1980- 1994)
I 문제제기: 북한은 어떻게 핵보유국이 될 수 있었나?
II 사회주의 동맹의 압박과 북한의 NPT 가입(1980-85)
III 진영의 붕괴와 한반도비핵화선언(1986-91)
IV 1차 북핵위기와 전통적 사회주의 연대의 해소(1992-94)
V 결론
제6장 인도·태평양 지역 미국 주도 삼자 안보협력과 삼각관계
I 서론
II ‘소다자주의’: 이론적 접근
III 인도·태평양 지역 미국 주도 삼자 안보협력
IV 미국 주도 삼자 안보협력의 삼각관계
V 결론
제7장 역사적 기억과 한·미·일 삼각관계의 변화
I 서론
II ‘유사동맹(quasi alliance)’ 모델 그 이후
III 한일 역사 갈등의 현재화
IV 한-미, 미-일 동맹의 ‘병렬적 협력’ 모델
V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