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고을 goeul vol.7 : 대전 
· 분류 : 국내도서 > 여행 > 국내 여행가이드 > 충청도여행 가이드북
· ISBN : 9791190109277
· 쪽수 : 310쪽
· 출판일 : 2025-06-18
· 분류 : 국내도서 > 여행 > 국내 여행가이드 > 충청도여행 가이드북
· ISBN : 9791190109277
· 쪽수 : 310쪽
· 출판일 : 2025-06-18
책 소개
<고을 goeul>은 저마다 뚜렷한 사회·문화적 특성과 매력을 지닌 우리나라 지역의 식문화를 여행하는 단행본 시리즈이다. ‘음식(food)을 통해 지역(local)을 여행한다(trip)’는 콘셉트로, 국내 한 지역을 방문해 역사와 전통, 음식, 제철 식자재 등을 경험하고 풀어낸다.
이웃의 부엌을 여행합니다.
Walk along our neighbor’s kitchen
<고을 goeul>은 저마다 뚜렷한 사회·문화적 특성과 매력을 지닌 우리나라 지역의 식문화를 여행하는 단행본 시리즈입니다. ‘음식(food)을 통해 지역(local)을 여행한다(trip)’는 콘셉트로, 국내 한 지역을 방문해 역사와 전통, 음식, 제철 식자재 등을 경험하고 풀어냅니다.
오랜 전통을 이어 현재까지 식문화를 일구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지역의 삶의 모습과 가치를 생생하고 깊이 있게 소개합니다. <고을>을 통해 이웃의 부엌을 여행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을 보낼 수 있기를 바랍니다.
고을 007
‘대전 DAEJEON’
<고을>의 일곱 번째 국내 지역은 ‘대전’입니다.
대전은 조선 초기까지 ‘넓은 밭’ 또는 ‘큰 밭’을 의미하는 ‘한밭’이라 불렸습니다. 이것을 한자어로 바꾸며 지금의 대전이 되었는데, 이름의 뜻이 지닌 드넓은 모양새처럼 대전은 예로부터 많은 물자와 사람이 모인 지역입니다. 대한민국의 거의 정중앙이자, 남북을 잇는 경부선과 동서를 연결하는 호남선이 교차하는 지점으로 오래전부터 교통의 요충지 역할을 해왔기 때문입니다.
조선 말기까지만 해도 작은 농촌 마을에 불과했던 대전은 1905년 경부선 철도가 개통되며 대전역이 들어섰고, 1914년 호남선 철도까지 완공되며 두 주요 간선 철도의 분기점이라는 독보적 위치를 차지했습니다. 이런 지리적 특성은 대전의 식문화 형성에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한국전쟁 이후 항구를 통해 들어온 대량의 구호물자인 밀가루를 지역의 주요 식자재로 활용하며 다양한 면 요리와 밀가루 음식이 발달한 것이 그 예입니다.
갑천, 유등천, 대전천이 도심을 유유히 가로지르고, 산이 도시 전체를 병풍처럼 감싸며 형성된 분지 형태는 대전이 지닌 자연적 매력입니다. 서쪽으로는 계룡산국립공원이 인접해 있고 도심에는 보문산, 식장산, 구봉산이 자리해 사계절 다채로운 풍경이 펼쳐지죠. 한국에서 세 번째로 큰 규모를 자랑하는 대청호와 양질의 온천수로 100년 넘는 세월 동안 지역의 랜드마크가 된 유성온천 역시 주변 지역민의 발길을 모은 요인으로 꼽힙니다.
KAIST와 대덕연구단지를 중심으로 오랜 시간을 거쳐 형성된 과학기술 인프라와 이를 기반으로 1993년에 개최해 세계에 대한민국의 위상을 알린 대전 엑스포, 많은 이들이 희로애락을 공유하는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는 대전이 지닌 에너지와 총기를 보여줍니다.
지리적 특성과 천혜의 자연환경으로 사랑받아온 대전은 최근 몇 년 사이 향토 기업 성심당을 필두로 개성 있는 지역 베이커리가 생겨나며 새로운 색을 더해가고 있습니다. 비옥하고 너른 평야 지대였던 한밭의 옛 기운이 더욱 드넓은 포용력으로 다양한 이들의 발길을 모으는 곳, <고을>을 통해 오늘날의 대전을 만나보시길 바랍니다.
Walk along our neighbor’s kitchen
<고을 goeul>은 저마다 뚜렷한 사회·문화적 특성과 매력을 지닌 우리나라 지역의 식문화를 여행하는 단행본 시리즈입니다. ‘음식(food)을 통해 지역(local)을 여행한다(trip)’는 콘셉트로, 국내 한 지역을 방문해 역사와 전통, 음식, 제철 식자재 등을 경험하고 풀어냅니다.
오랜 전통을 이어 현재까지 식문화를 일구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 지역의 삶의 모습과 가치를 생생하고 깊이 있게 소개합니다. <고을>을 통해 이웃의 부엌을 여행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을 보낼 수 있기를 바랍니다.
고을 007
‘대전 DAEJEON’
<고을>의 일곱 번째 국내 지역은 ‘대전’입니다.
대전은 조선 초기까지 ‘넓은 밭’ 또는 ‘큰 밭’을 의미하는 ‘한밭’이라 불렸습니다. 이것을 한자어로 바꾸며 지금의 대전이 되었는데, 이름의 뜻이 지닌 드넓은 모양새처럼 대전은 예로부터 많은 물자와 사람이 모인 지역입니다. 대한민국의 거의 정중앙이자, 남북을 잇는 경부선과 동서를 연결하는 호남선이 교차하는 지점으로 오래전부터 교통의 요충지 역할을 해왔기 때문입니다.
조선 말기까지만 해도 작은 농촌 마을에 불과했던 대전은 1905년 경부선 철도가 개통되며 대전역이 들어섰고, 1914년 호남선 철도까지 완공되며 두 주요 간선 철도의 분기점이라는 독보적 위치를 차지했습니다. 이런 지리적 특성은 대전의 식문화 형성에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한국전쟁 이후 항구를 통해 들어온 대량의 구호물자인 밀가루를 지역의 주요 식자재로 활용하며 다양한 면 요리와 밀가루 음식이 발달한 것이 그 예입니다.
갑천, 유등천, 대전천이 도심을 유유히 가로지르고, 산이 도시 전체를 병풍처럼 감싸며 형성된 분지 형태는 대전이 지닌 자연적 매력입니다. 서쪽으로는 계룡산국립공원이 인접해 있고 도심에는 보문산, 식장산, 구봉산이 자리해 사계절 다채로운 풍경이 펼쳐지죠. 한국에서 세 번째로 큰 규모를 자랑하는 대청호와 양질의 온천수로 100년 넘는 세월 동안 지역의 랜드마크가 된 유성온천 역시 주변 지역민의 발길을 모은 요인으로 꼽힙니다.
KAIST와 대덕연구단지를 중심으로 오랜 시간을 거쳐 형성된 과학기술 인프라와 이를 기반으로 1993년에 개최해 세계에 대한민국의 위상을 알린 대전 엑스포, 많은 이들이 희로애락을 공유하는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는 대전이 지닌 에너지와 총기를 보여줍니다.
지리적 특성과 천혜의 자연환경으로 사랑받아온 대전은 최근 몇 년 사이 향토 기업 성심당을 필두로 개성 있는 지역 베이커리가 생겨나며 새로운 색을 더해가고 있습니다. 비옥하고 너른 평야 지대였던 한밭의 옛 기운이 더욱 드넓은 포용력으로 다양한 이들의 발길을 모으는 곳, <고을>을 통해 오늘날의 대전을 만나보시길 바랍니다.
목차
PROLOGUE
서문
INTRO
The Crossroads of Warmth
LOCAL SCENE
도시 대전
TRAVEL ESSAY
돌아가 안길 수 있는 도시
TRADITIONAL
성심당
페리카나
LOCAL SHOP
시간과 정성을 차곡차곡 쌓아온 대전의 옛 맛 22
MARKET
대전의 장
TRENDY SHOP
개성과 매력으로 감각을 깨우는 대전의 새로운 맛 21
DAEJEON’S PICK
사장님 추천 맛집
SPECIAL
빵지 순례, 대전 베이커리 8
FOCUS
새로운 에너지의 중심,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
BOOK IN BOOK
대전에서 피어난 로컬 브랜드 제품
VIEW
새살을 틔우는 동네, 소제동
LOOK
미래의 물결 속에서 그날은, 대전 엑스포
CULTURE
Adios 유성온천, 온천이 남긴 온기
ARTIST
소목장 김영창
CITY TRIP
타슈 타고 라이딩
STAY
대전에서 만나는 이국적 풍경의 스테이
RECOMMENDATION
고을이 추천하는 대전 여행 기념품
REPORT
송인모 포도 농부
대전의 사계절 식자재
기록물 속 대전의 세시풍속 음식
INDEX
대전에서 만난 사람들
MAP
고을 대전 지도
저자소개
책속에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