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학습법
· ISBN : 9791190616409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21-07-14
책 소개
목차
1장 공부가 재밌어지는 짜릿한 순간
01 나는 평생 공부하기로 했다
기출문제의 중요성 | 공부하면서 한 뼘씩 성장하다 | 공부로 단단한 사람이 되다 | 치유를 위한 길고 긴 여정 | 공황장애가 완치되다 | 공부 또 공부
2장 나는 지혜롭게 공부하기로 했다
02 아침에 원하는 시간에 일어나는 방법
최적의 컨디션으로 집중할 시간을 확보한다 | 알람시계와 알람 앱은 효율적인 기상 도구 | 빛을 수면 패턴 조정으로 이용한다 | 후각이 발달했다면 발향 제품을 추천한다
03 플래너를 이용한 완벽한 공부 계획 세우기
계획 수정의 용이성 |수기식 플래너의 장점 | 자작 플래너 | 다이어리에 어떻게 계획을 짤 것인가
04 공부 의욕을 높이고 유지하는 방법
질투심이 강력한 의욕 부스터가 될 수 있다 | 자극받을 수 있는 환경을 설계한다 | 체력이 좋아야 의지도 강해진다 |유튜브와 앱을 적극 활용한다 | 스스로 삶을 통제하고 있다는 느낌을 계속 유지한다
05 암기력을 강화하는 도구들
반복의 강력한 힘 | 메모리 카드를 사용한다 | 나에게 맞는 오감 파악하기 | 사회·역사 공부할 때의 암기법
06 나의 최적의 공부 장소는 어디일까?
체질에 맞는 공부 장소는 따로 있다 | 서울대생의 공부 장소 | 공부를 방해하는 요소가 많은 경우
3장 공부 의욕을 불러일으키는 환경
07 학습 스터디를 가장 효율적으로 하는 방법
어떤 스터디에 들어가는 것이 좋은가 | 어떻게 스터디를 운영할 것인가 | 스터디에서 무엇을 공부할 것인가 | 시간 관리형 스터디 | 최고의 스터디 그룹이란?
08 최고의 공부 시간 관리 도구들
서울대생의 시간 관리 | 속독과 속청으로 학습한다 | 속독에 도움이 되는 도구 | 속청에 도움이 되는 도구
09 나에게 맞는 참고서를 고르는 팁
기출문제를 풀고 해설서를 본다 | 나에게 맞는 최적의 교재를 찾는 법
10 효율적인 수험 정보는 어디서 얻을까?
수험 정보보다 중요한 것 | 각종 자격증과 시험 정보는 학교 커뮤니티에서 | 수능 정보를 얻으려면
11 최고의 강사를 고르는 방법
검증된 강사 중에 이상형의 강사를 찾는다 | 서울대생이 강사를 고르는 기준
4장 노트 정리와 마인드 관리
12 노트 정리의 도구들
잘 정리된 노트는 최고의 참고서 | 필기도구들 | 추천 노트 유형 | 서울대생들의 노트 정리 꿀팁 | 앱을 활용하는 노트법
13 마인드 관리 도구들
감사일기를 쓴다 | 서울대생들의 마인드 관리 | 서울대에 합격하는 가정 십계명
5장 최적의 공부 컨디션을 유지하는 법
14 공부 컨디션은 수면 중 체온 관리에 달려 있다
수면 중에 서늘한 체온을 유지하는 방법 | 수면에 안 좋은 블루라이트
15 수험 체력을 기르는 운동
내가신장 | 참장공 | 웅보 | 108배 | 호흡 수련 | 상위권 대학에 여학생이 많아진 이유
16 누트로픽이란 무엇인가?
학습과 기억력 향상에 좋은 제품의 안전성 문제 | 두뇌 활성에 도움이 되는 건강기능식품
17 공부하는 동안 무엇을 먹을까?
식이 리듬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 야식은 식사 주기 리듬을 깬다 | 서울대생들이 먹는 건강보조식품 | 뇌가 진짜 좋아하는 엿 | 간편식처럼 먹을 수 있는 처방
18 공부하는 동안 무엇을 마실까?
물은 미지근하게 마신다 | 천연 주스를 대체할 만한 음료는 없다 | 공부할 때 가장 많이 마시는 음료 | 오미자차의 놀라운 효능
6장 나만의 개성 있는 공부 도구들
19 개성을 살리는 공부 도구들
네모닉 | 산소캔 | 자세교정기 | 브레인 트레이너
7장 알아두면 유용한 공부 기술
20 시험에 합격하는 노하우
페르소나 공부법 | 화학의 분자식을 기억하는 법 | 순수하게 공부한 시간을 쾌락으로 보상하라 | 정말로 모르는 문제가 나왔을 때 | 독해력을 키우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서울대생들을 대상으로 공부 계획을 세우는 방법에 관해서 설문조사를 했다. 그 결과를 분석하면서 가장 흥미로웠던 점은 ‘계획 수정 가능성’이었다. 그들이 애용하는 공부 도구들 역시 ‘즉각적인 계획 수정의 용이성’이 얼마나 자신의 공부 스타일에 맞느냐가 결정적인 선택의 요인이었다. 흔히 공부를 잘하는 학생들을 보면서 ‘저 학생은 계획을 세우면 목표를 향해 변함없이 꾸준히 돌진하여 이루어낼 거야.’라는 생각을 많이 할 것이다. 하지만 서울대생들의 공부 계획을 들여다보면 변경의 연속이다.
서울대생들의 특징 중 하나는 공부할 때 경쟁의식이 높다는 점이다. 성격이 온순하고 배려를 잘하는 학생들도 공부할 때만큼은 경쟁의식이 매우 강했다. 서울대생 상당수가 추천한 열품타 앱은 이런 경쟁심을 자극하도록 어필한 것이 학생들에게 인기를 얻는데 주효했다.
결국 도구를 이용한다는 것은 나를 객관화하여 판단하는 메타 인지의 보조 도구를 갖추는 것이다. 나의 계획은 생각보다 허술하고, 나의 의지는 생각보다 약하고, 나의 능력은 생각보다 낮다. 이것이 도구를 사용하는 인간 욕구의 기본적인 바탕이다. 나 스스로 메타 인지 도구를 이용하여 그 프레임에서 벗어나는 순간 평균 이상의 능력을 가진 사람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