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환경영향평가사 1 : 핵심정리

환경영향평가사 1 : 핵심정리

(핵심 이론 총정리)

신현국 (지은이)
리즈앤북
3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환경영향평가사 1 : 핵심정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환경영향평가사 1 : 핵심정리 (핵심 이론 총정리)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국가전문자격 > 환경영향평가사
· ISBN : 9791190741170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21-06-17

책 소개

1권은 환경정책, 국토환경계획, 환경영향평가제도, 환경영향평가 실무에 대한 개괄적 이론과 그 이론의 근거가 되어줄 공동훈령과 종합계획, 평가서 작성 등에 관한 규정 등을 부록으로 함께 묶었다.

목차

환경영향평가사 시험 준비 정보 안내 ................................. 6

Ⅰ. 최근 출제 경향 분석 및 답안 작성 요령
1. 최근 출제 경향 분석 .............................................. 14
2. 답안 작성 요령 ................................................... 17

Ⅱ. 환경정책
1. 출제 범위와 경향 ................................................. 26
2. 주요 정책
2-1. 환경정책 일반 .................................................. 28
2-2. 자연환경정책 ................................................... 42
2-3. 대기환경정책 ................................................... 65
2-4. 수질환경정책 ................................................... 70
2-5. 친환경 자원순환정책(폐기물) .................................... 75
2-6. 토양 환경, 지하공기질 등 ....................................... 79
2-7. 지구환경 분야 주요 정책 ........................................ 82

Ⅲ. 국토환경계획
1. 출제 범위와 경향 ................................................. 88
2. 주요 정책
(1) 국토공간계획 .................................................... 89
(2) 국토기본법 ...................................................... 90
(3) 국토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 93
(4) 도시·군 기본계획 ............................................... 95
(5) 도시·군 관리계획 ............................................... 97
(6) 용도지역 ........................................................ 98
(7) 용도지구 ........................................................ 99
(8) 용도구역 ........................................................ 100
(9) 지구단위계획 .................................................... 101
(10) 지구단위계획구역제도 ........................................... 102
(11) 개발 행위 허가 ................................................. 103
(12) 개발 밀도 관리 구역 ............................................ 104
(13) 기반 시설 부담 구역 ............................................ 105
(14) 입지 규제 최소 구역 ............................................ 106
(15) 국토계획평가제도 ............................................... 107
(16) 국토계획법에 의한 환경성 검토제도 .............................. 108
(17) 토지적성평가제도 ............................................... 110
(18) 도시재생사업 ................................................... 112
(19) 둘 이상의 용도지역, 용도지구, 용도구역에 걸치는 대지에 대한 적용 기준... 113
(20) 공항 주변 소음 대책 지역 ....................................... 114
(21) 해역이용협의제도 ............................................... 115
(22) 산지 전용 허가 ................................................. 116
(23) 토지 이용 규제 ................................................. 117
(24) 자연 입지적 토지이용 ........................................... 118
(25) 습지 보호지역 .................................................. 119
(26) 백두대간 보호지역 .............................................. 120
(27) 도시공원과 녹지 ................................................ 121
(28) 야생생물보호구역 ............................................... 122
(29) 자연공원 (구역) ................................................ 123
(30) 환경관리 해역 .................................................. 124
(31) 석면의 안전관리 ................................................ 125
(32) 재생에너지계획 입지제 .......................................... 127

Ⅳ. 환경영향평가제도 및 실무
1. 출제 범위와 경향 ................................................. 130
2. 주요 정책
(1) 환경영향평가제도의 도입 ......................................... 131
(2) 전략 환경영향평가제도의 도입 .................................... 133
(3)소규모 환경영향평가제도 .......................................... 140
(4) 환경영향평가법 .................................................. 143
(5) 환경영향평가의 분야별 세부평가항목 .............................. 145
(6) 환경영향평가협의회(법 제8조) .................................... 147
(7) 전략 환경영향평가 대상계획(법 제9조) ............................ 148
(8) 전략 환경영향평가 대상계획의 실시 여부 결정 ..................... 149
(9) 전략환경영향평가의 평가항목, 범위 결정 .......................... 150
(10) 약식 전략환경영향평가 .......................................... 151
(11) 전략환경영향평가서 초안(草案) 및 주민의견수렴 .................. 153
(12) 전략환경영향평가서의 검토, 반려, 재협의, 변경 협의 ............. 155
(13) 환경영향평가(EIA)의 대상 ....................................... 159
(14) 환경영향평가 평가준비서의 작성 및 평가항목, 범위 결정 .......... 160
(15) 환경영향평가서 초안(草案) 작성 및 주민의견수렴 ................. 161
(16) 환경영향평가서(EIS, Env. Impact Statement)의 협의, 재협의, 변경 협의 ... 164
(17) 사전고사의 금지 ................................................ 167
(18) 협의 내용의 이행을 위한 관리책임자 지정 ........................ 168
(19) 사후환경영향조사 ............................................... 169
(20) 과징금 ......................................................... 173
(21) 재평가 ......................................................... 174
(22) 시·도 조례에 의한 환경영향평가 ................................ 175
(23) 소규모 환경영향평가 대상사업 ................................... 176
(24) 소규모 환경영향평가서의 작성 ................................... 177
(25) 소규모 환경영향평가 변경협의(법 제46조의 2) ..................... 178
(26) 환경영향평가 등에 대한 특례 ..................................... 179
(27) 환경영향평가의 대행 ............................................. 181
(28) 환경영향평가서 등의 보전기간 .................................... 182
(29) 환경영향평가업의 등록 ........................................... 183
(30) 환경영향평가업자 ................................................ 187
(31) 환경영향평가사 .................................................. 189
(32) 환경영향평가 기술자 교육, 훈련(시행령 69조의 3).................. 191
(33) 유역환경청장 또는 지방환경청장 관할 환경영향평가 등의 대상사업... 192
(34) 과태료의 부과기준 ............................................... 193
(35) 환경영향평가서 등의 거짓,부실 작성 판단 기준(시행규칙 제23조).... 194
(36) 환경영향평가업에 대한 행정처분의 기준 ........................... 195
(37) 환경영향평가사 행정처분의 기준(시행규칙 제38조).................. 196
(38) 지역개황조사 .................................................... 197
(39) 복합 평가 ....................................................... 198
(40) 보전 대상 기초자료의 범위 및 기준 ............................... 199
(41) 자연생태환경분야의 환경현황 조사방법 및 작성 양식 ............... 200
(42) 자연생태환경조사(가이드라인)..................................... 201
(43) 중점평가사업 .................................................... 208
(44) 환경영향갈등조정협의회 .......................................... 209
(45) 환경입지컨설팅제도 .............................................. 210
(46) 협의내용 이행조사 대상사업 ...................................... 211
(47) 협의내용의결정 .................................................. 213
(48) 환경영향평가서 등의 검토 ........................................ 215
(49) 공탁제 .......................................................... 217

부록
1. 국토계획 및 환경보전계획의 통합관리에 관한 공동훈령 ............... 220
2. 제5차 국토종합계획(2020~2040) ..................................... 225
3. 제5차 국가환경종합계획(2020~2040).................................. 231
4. 환경영향평가서 등 작성 등에 관한 규정(환경부 고시)................. 234
5. 환경영향평가서 작성 등에 관한 규정 별표 및 서식 ................... 251
6. 환경연합평가서 등에 관한 협의업무 처리 규정(환경부 고시) .......... 331

저자소개

신현국 (지은이)    정보 더보기
- 영남대, KAIST 대학원 졸업 - 환경공학박사 (수질, AIT, Asian Inst. of Tech.) - 환경기술사 (수질, 폐기물) - 환경영향평가사 (14회) - 前 문경시장 (민선 4기, 5기) - 前 환경부 대변인 겸 공보관 - 前 대구지방환경청장, 경인지방환경청장 - 前 국립안동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빙 교수 - KAIST, 이화여대, 서울시립대, 숭실대, 경북대, 계명대에서 환경 분야 출강 - 학술서 『환경과학총론』, 『환경학개론』, 환경에세이 『시민을 위한 환경이야기』, 『환경동네 이야기』 등 다수의 저서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