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기계공학 > 자동차공학
· ISBN : 9791191512694
· 쪽수 : 642쪽
· 출판일 : 2025-03-31
책 소개
목차
Ⅰ. 자율주행차 최신 이슈 및 소재·부품·시스템 관련 산업동향 및 기술전망
1. 자율주행차
1) 개요
(1) 개념
가. 정의
나. 필요성/시급성
(2) 구축 범위
가. 대표적 분류
나. 기술로드맵 전략분야 특정
2) 환경 분석
(1) 정책동향
가. 주요국 정책동향
① 미국
② 중국
③ EU
④ 일본
나. 국내 정책동향
(2) 산업여건 및 시장현황
가. 산업특징 및 구조
나. 국내 산업생태계
다. 시장규모 및 전망
① 세계 시장
② 국내 시장
라. 주요 업체동향
(3) 기술 및 표준화(규제) 동향
가. 기술개발 동향
나. 정부 R&D 투자동향
① 지원 현황 일반
② 중소기업 지원 현황
다. 표준화(규제) 동향
(4) 환경분석 종합
가. 관점별 환경분석 종합
나. 중소기업 대응전략
3) 품목 로드맵
(1) 품목 후보군 도출 및 선정
가. 품목 후보군 도출
나. 전략품목 선정
다. 전략품목 정의서
① 자율주행 알고리즘
② 차세대 자율주행 인지 센서
③ 자율 협력 주행 솔루션
④ 자율주행 데이터처리 솔루션
⑤ 자율주행 개발장비
⑥ 자율주행 보안·안전 시스템
⑦ 자율주행차 연계서비스
(2) 전략품목 로드맵 구축
2. 자율주행 알고리즘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기술개발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환경분석
(1) 시장현황 및 전망
가. 개요
나. 관련 시장규모 및 전망
① 세계 시장
② 국내 시장
(2) 기술개발 동향
가. 개요
나. 주요 기술개발 동향
① 해외 기업
② 국내 기업
③ 국내 연구개발 기관
3) 특허분석
(1) 특허동향 분석
가. 특허 증가율 분석
나. 기술주기 분석
다. 특허 영향력 분석
(2) 주요 기술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나. 기술현황 분석
다. 기술 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분석
(4) 분석종합
가. 분석결과 요약
나. 요소기술 후보군 도출
4) 기술개발 로드맵
(1) 요소기술 도출 및 핵심 요소기술 선정
가. 요소기술 도출
나. 핵심 요소기술 선정
다. 핵심 요소기술 정의서
① 자율주행 인지 기술
② 자율주행 판단 기술
③ 자율주행 컴퓨팅 기술
(2) 기술로드맵 구축
가. 기술개발 목표
나. 로드맵 기획
3. 차세대 자율주행 인지센서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기술개발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환경분석
(1) 시장현황 및 전망
가. 개요
나. 관련 시장규모 및 전망
① 세계 시장
② 국내 시장
(2) 기술개발 동향
가. 개요
나. 주요 기술개발 동향
① 해외 기업
② 국내 기업
③ 국내 연구개발 기관
3) 특허 분석
(1) 특허동향 분석
가. 특허 증가율 분석
나. 기술주기 분석
다. 특허 영향력 분석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나. 기술현황 분석
다. 기술 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분석
(4) 분석종합
가. 분석결과 요약
나. 요소기술 후보군 도출
4) 기술개발 로드맵
(1) 요소기술 도출 및 핵심 요소기술 선정
가. 요소기술 도출
나. 핵심 요소기술 선정
다. 핵심 요소기술 정의서
① 4D 이미징 레이더 기술
② 차세대 Solid-state 3D 라이다 기술
③ 주변 상황대응 카메라 기술
④ 3D 열영상 카메라 기술
(2) 기술로드맵 구축
가. 기술개발 목표
나. 로드맵 기획
4. 자율 협력주행 솔루션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기술 개발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환경분석
(1) 시장현황 및 전망
가. 개요
나. 관련 시장규모 및 전망
① 세계 시장
② 국내 시장
(2) 기술개발 동향
가. 개요
나. 주요 기술개발 동향
① 해외 기업
② 국내 기업
③ 국내 연구개발 기관
3) 특허 분석
(1) 특허동향 분석
가. 특허 증가율 분석
나. 기술주기 분석
다. 특허 영향력 분석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나. 기술현황 분석
다. 기술 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분석
(4) 분석종합
가. 분석결과 요약
나. 요소기술 후보군 도출
4) 기술개발 로드맵
(1) 요소기술 도출 및 핵심 요소기술 선정
가. 요소기술 도출
나. 핵심 요소기술 선정
다. 핵심 요소기술 정의서
① 인프라 기반 검지기술
② 인프라 기반 가이던스 기술
③ 실내(터널포함) 내 측위정밀도 개선 기술
(2) 기술로드맵 구축
가. 기술개발 목표
나. 로드맵 기획
5. 자율주행 데이터 처리 솔루션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기술 개발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환경 분석
(1) 시장현황 및 전망
가. 개요
나. 관련 시장규모 및 전망
① 세계 시장
② 국내 시장
(2) 기술개발 동향
가. 개요
나. 주요 기술개발 동향
① 해외 기업
② 국내 기업
③ 국내 연구개발 기관
3) 특허분석
(1) 특허동향 분석
가. 특허 증가율 분석
나. 기술주기 분석
다. 특허 영향력 분석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나. 기술현황 분석
다. 기술 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분석
(4) 분석종합
가. 분석결과 요약
나. 요소기술 후보군 도출
4) 기술개발 로드맵
(1) 요소기술 도출 및 핵심 요소기술 선정
가. 요소기술 도출
나. 핵심 요소기술 선정
다. 핵심 요소기술 정의서
① 실시간 자율주행데이터의 최적화 및 경량화
② 응답시간 개선을 위한 엣지 컴퓨팅 기술
③ 데이터 통합 및 표준화를 통한 데이터 관리 기술
(2) 기술로드맵 구축
가. 기술개발 목표
나. 로드맵 기획
6. 자율주행 개발장비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기술개발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환경분석
(1) 시장현황 및 전망
가. 개요
나. 관련 시장규모 및 전망
① 세계 시장
② 국내 시장
(2) 기술개발 동향
가. 개요
나. 주요 기술개발 동향
① 해외 기업
② 국내 기업
③ 국내 연구개발 기관
3) 특허분석
(1) 특허동향 분석
가. 특허 증가율 분석
나. 기술주기 분석
다. 특허 영향력 분석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나. 기술현황 분석
다. 기술 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 분석
(4) 분석종합
가. 분석결과 요약
나. 요소기술 후보군 도출
4) 기술개발 로드맵
(1) 요소기술 도출 및 핵심 요소기술 선정
가. 요소기술 도출
나. 핵심 요소기술 선정
다. 핵심 요소기술 정의서
① HW/SW 개발장비
② 기능 평가장비
③ 시뮬레이션 장비
(2) 기술로드맵 구축
가. 기술개발 목표
나. 로드맵 기획
7. 자율주행 보안·안전 시스템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기술 개발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환경 분석
(1) 시장현황 및 전망
가. 개요
나. 관련 시장 규모 및 전망
① 세계 시장
② 국내 시장
(2) 기술개발 동향
가. 개요
나. 주요 기술개발 동향
① 해외 기업
② 국내 기업
③ 국내 연구개발 기관
3) 특허분석
(1) 특허동향 분석
가. 특허 증가율 분석
나. 기술주기 분석
다. 특허 영향력 분석
(2) 주요 기술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나. 기술현황 분석
다. 기술 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분석
(4) 분석종합
가. 분석결과 요약
나. 요소기술 후보군 도출
4) 기술개발 로드맵
(1) 요소기술 도출 및 핵심 요소기술 선정
가. 요소기술 도출
나. 핵심 요소기술 선정
다. 핵심 요소기술 정의서
① Fail Operation 기술
② 고위험 사고인지, 위험 상황 예측 기술
③ 자율차 부품의 고장 예지 기술
④ 자율차 보안 취약점 위협 분석 기술
(2) 기술로드맵 구축
가. 기술개발 목표
나. 로드맵 기획
8. 자율주행차 연계서비스
1) 개요
(1) 정의 및 필요성
가. 정의
나. 기술 개발 필요성
(2) 범위 및 분류
가. 가치사슬
나. 용도별 분류
2) 환경분석
(1) 시장현황 및 전망
가. 개요
나. 관련 시장규모 및 전망
① 세계 시장
② 국내 시장
(2) 기술개발 동향
가. 개요
나. 주요 기술개발 동향
① 해외 기업
② 국내 기업
③ 국내 연구개발 기관
3) 특허분석
(1) 특허동향 분석
가. 특허 증가율 분석
나. 기술주기 분석
다. 특허 영향력 분석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동향 변화분석
나. 기술현황 분석
다. 기술 집중력 분석
(3) 주요 출원인 분석
가. 주요 출원인 동향
나. 주요 출원인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분석
(4) 분석방법
가. 분석결과 요약
나. 요소기술 후보군 도출
4) 기술개발 로드맵
가. 요소기술 도출
나. 핵심 요소기술 선정
다. 핵심 요소기술 정의서
① 자율주행 서비스 기술
② 자율주행 운영 서비스 기술
③ 자율주행 간접 서비스 기술
(2) 기술로드맵 구축
가. 기술개발 목표
나. 로드맵 기획
9.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
1) 개요
2) SDV 전환에서 소프트웨어의 역할
(1) SDV(Software-Defined Vehicle)의 정의
(2) SDV의 주요 특성
(3) SDV의 발전 단계
(4) SDV에서 소프트웨어의 역할
(5) SDV 전환과 소프트웨어 관점에서 해결과제
3) 국내/외 기업의 SDV 전략과 동향
(1) 글로벌 기업의 SDV 생태계 전략
가. 전통적인 자동차 기업의 SDV 생태계 전략
나. 신규 ICT기업의 SDV 생태계 전략
(2) 국내 기업의 SDV 생태계 전략
가. 현대자동차의 SDV 생태계 전략과 내부 조직/계열사의 역할
4) 국내 SDV 생태계 현황
(1) 국내 SDV 생태계 현황
가. 국내 SDV 생태계 분류
나. 국내 자동차 소프트웨어 기업 현황
(2) 국내 미래형자동차 소프트웨어 인력 현황
가. SDV에서 요구되는 소프트웨어 인력의 특성
나. 국내 자동차 소프트웨어 인력 현황
(3) 국내 SDV 생태계의 강·약점
5) 결론 및 시사점
(1) 자동차 기업과 소프트웨어 기업의 협력체계 구축
(2) 폐쇄적 생태계에서 개방형 생태계로 전환
(3) SDV 산업의 소프트웨어 인력 양성 방안
Ⅱ. 미래형자동차 정부정책 및 핵심전략
1. 친환경차 · 이차전지 경쟁력 강화방안
1) 추진 배경
2) 친환경차?이차전지 산업 현황
(1) 친환경차
(2) 이차전지
3) 추진 방향
(1) 친환경차 캐즘 대응강화
가. 전기차
① 전기차 보급 확대(‘25년 1.5조원)
② 충전인프라 확충
③ 전기차 화재 안전관리 대책(‘24.9월 발표)의 속도감 있는 이행
나. 수소모빌리티
① 수소버스?충전소 안전성 강화
② 차고지?교통거점 중심으로 수소충전소 확충
③ 광역?전세버스 중심으로 수소버스 시장수요 확대
다. 첨단 기술력 강화
① 초격차 기술 확보
② 시장경쟁력 제고
라. 이차전지 생태계 강화
① 배터리 투자 촉진을 위한 지원 확대
② 핵심 소부장 공급망 다변화 강화
③ EU 배터리법 등 해외규제 대응 기반 마련
마. 대외 불확실성 대응
① 민?관 합동 아웃리치 강화
② 수출시장 다변화 및 부품기업 수출 촉진
③ 국내?외 투자가 계획대로 이행되도록 투자.규제 애로해소 지원
4) 향후 추진계획
Ⅲ. 국가별 미래형자동차 산업동향 및 시장현황
[1] 미국
1. 트럼프 2기 정부의 전기차 정책 변화에 따른 업계 영향 전망
1) 개요
2) 주요 내용
3) 현지반응
2. 트럼프 2기 전기차 및 배터리 분야의 대중국 정책 변화 가능성 및 시사점
1) 개요
2) 미국의 대중국 정책변화 가능성
(1) 대중국 관세 인상
(2) IRA 정책 변화(중국 관련)
3) 결론 및 시사점
[2] 중국
1. 중국 정부의 전기차 산업 지원과 주요국 대응
1) 개요
2) 중국 정부의 전기차 산업 지원 현황
3) 주요국의 대응조치
4) 결론 및 시사점
2. 중국 전기차 및 배터리 산업의 혁신현황
1) 개요
2) 중국 전기차·배터리 산업 및 혁신 현황
(1) 중국 전기차 산업 현황
(2) 중국 전기차·배터리 산업의 혁신 현황
가. 제품혁신
나. 공정 혁신
다. 시장·고객 경험 혁신
(3) 중국 전기차 부문의 혁신 요소
(4) 중국 정부의 지원 정책
3) 결론 및 시사점
3. 중국 전기차 혁신전략 및 시사점
1) 중국 전기차 산업동향
(1) 중국 전기차 산업개요
(2) 중국의 전기차 산업육성 정책
(3) 중국의 전기차 산업동향
가. 중국의 전기차 내수판매 동향
나. 중국의 전기차 수출동향
2) 중국 전기차 산업의 성장 배경과 기업 성공 전략
(1) 중국 전기차 산업의 성장배경
가. 정부 구매 보조금
나. 충전 인프라
다. 안정적 배터리 생산? 공급망 시스템
(2) 중국 전기차 기업의 성공전략
가. 생산공정 혁신 및 밸류체인 수직 통합을 통한 높은 원가경쟁력 확보
나. 적극적인 해외시장 공략
다. 과감한 R&D 투자를 통한 기술 경쟁력 강화
라. 스타트업 IT기업?완성차업체 간 합종연칠(合從連衡)
3) 결론 및 시사점
4. 화웨이와 샤오미의 전기차 도전
1) 화웨이, 완성차 기업과 지능화 솔루션 협력
2) 샤오미, 밸류체인 협업 전략으로 전기차 혁신에 도전
3) 중국 빅테크 전기차가 가지는 장점
4) 해결 필요 과제
5) 화웨이와 샤오미가 만들 지각 변동
[3] 유럽
1. EU의 2025년 전기차 시장 전망과 지원제도
1) EU 전기차 시장현황
2) 2025년 EU 전기차 시장 전망
3) EU의 전기차 지원제도
(1) 세제 혜택
가. 구매 시 세제 혜택
나. 보유 시 세제 혜택
(2) 보조금 정책
(3) 충전 인프라 지원
4) EU 국가별 전기차 지원제도 종합
2. 유럽 전기차 충전 인프라 현황 (ACEA)
1) 유럽 전기차 충전 인프라 현황(ACEA)
(1) 개요
(2) 현황
(3) 전망 및 시사점
3. 최근 EU의 중국산 전기차 대상 상계관세 부과 관련 동향
1) 개요
2) 향후 절차
3) 중국 반응
4) 역내 반응
5) 업계반응
4. EU 집행위원회,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상계관세 부과 결정
1) EU 집행위원회,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상계관세 부과 결정
(1) 주요 내용
(2) 절차 및 향후 일정
(3) 중국산 전기차 보조금 조사의 배경
[4] 일본
1. 일본 자동차 산업의 모빌리티 DX 전략
1) 개요
2) 모빌리티 DX 경쟁의 기본 전략
(1) 전략 목표
(2) 영역별 대응방향
3) 분야별 세부 시책과 ’35년 로드맵
(1) SDV 분야 세부 시책
(2) 모빌리티 서비스 분야 세부 시책
(3) 데이터 활용 분야 세부 시책
(4) 공통 분야 세부 시책
(5) 「모빌리티 DX 전략」 로드맵
4) 결론 및 시사점
2. 일본 모빌리티 업계 EV 공급망 재편전략
1) EV 시장동향
(1) 세계 EV 시장동향
가. EV 시장
나. 축전지 시장
다. 반도체 시장
(2) 일본 EV 시장동향
가. 일본 전동차 시장
나. 축전지 시장
다. 반도체 시장
2) 일본 정부의 EV 공급망 정책
(1) 일본 국내 EV 산업정책
가. 일본 전동차 생산 목표
나. 중요물자 공급망 강화책
다. 생산력 향상 지원책
(2) 해외 EV 공급망 네트워크 구축
가. 북미
나. 중남미
다. 유럽
라. 아프리카
마. 동남아대양주
바. 서남아
사. 중동
3) 일본 모빌리티 업계의 EV 공급망 개편
(1) 도요타
가. EV 목표
나. 판매 동향
다. 대응 전략
라. 일본 국내 시장 공급망
마. 해외 시장 공급망
(2) 혼다
가. EV 목표
나. 판매 동향
다. 대응 전략
라. 일본 국내 시장 공급망
마. 해외 시장 공급망
(3) 닛산
가. EV 목표
나. 판매 동향
다. 대응 전략
라. 일본 국내 시장 공급망
마. 해외 시장 공급망
4) 일본 EV 시장 전망 및 진출 전략
(1) SWOT 분석
(2) 일본 현지 관계자가 본 시장 전망
가. 전망1: 현재 EV 성장과 별개로 기존 사업 또한 지속될 것
나. 전망2: 미래에는 EV 관련 사업이 확대될 것
(3) 우리기업의 진출전략
5) 기업별 거점 정보
가. 도요타
나. 혼다
다. 닛산
[5] 캐나다 전기차(EV) 배터리 공급망 동향 및 시사점
1) 캐나다 전기차(EV) 산업
(1) 전기차 시장현황 및 전망
가. 전기차 시장 현황
나. 전기차 시장전망
(2) 전기차 산업 지원정책
가. [전기차 제조 지원] ‘메이드인 캐나다 전락’
나. [전기차 보급 지원] ‘친환경차 판매 목표제’
다. (배터리 공급망 지원) ‘국가 핵심 광물 전략’
2) 캐나다 전기차 배터리 산업
(1) 비전 및 추진전략
가. 비전
나. 추진전략
① (업스트림) 세계 최고 환경친화적 배터리 생태계 조성
② (미드스트림) 배터리 핵심소재?셀 생산의 북미 허브 도약
③ (다운스트림) EV 공급망 지원 인프라 확충
(2) 캐나다 전기차 배터리 산업 강점
가. 풍부한 광물자원
나. 완성된 자동차 제조 생태계 보유
다. 청정 전력 공급 인프라 확보
라. 글로벌 전기차 시장진출을 위한 지리적 이점
마. 강력한 정부 지원
3) 캐나다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 분석
(1)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 로드맵
가. 공급망 현황 ‘글로벌 배터리 공급망 1위’
나. 2030 배터리 공급망 강화 로드맵
(2)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 분석
가. 공급망 개요
나. 공급망 구조(4대 핵심 광물 중심)
① 리튬
② 니켈
③ 코발트
④ 흑연
(3) 주요 프로젝트 현황
가. 양극재 생산
나. 음극재 생산
다. 배터리 제조
(4) 배터리 공급망 관련규제
가. 2030 탄소 배출 감축 계획
나. 탄소 가격제
다. 캐나다 연료 규제(Canada Fuel Regulation, CFR)
라. 친환경차 판매 규정
4) 우리기업 진출 시사점
(1) [加] 미드스트림 투자 집중 ? [韓] 배터리 공급망 강화 기회
(2) [加] 서부 유전염수 개발 ? [韓] 리튬 공급망 리스크 완화 기여
(3) [加] 전기화 전력망 투자 확대 ? [韓] 전력 기자재 진출 돌파구
(4) [韓] 강력한 수직적 협력 구조 “대중소 동반성장 기회 다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