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국가전문자격 > 공인노무사
· ISBN : 9791191764284
· 쪽수 : 270쪽
· 출판일 : 2022-04-15
책 소개
목차
[01] 노동법 법원으로서의 노동관행 3
[02] 노동법과 신의성실의 원칙 5
[03] 퇴직금 청구권 사전 포기 약정의 효력 8
[04] 유리조건 우선의 원칙 10
[05] 근기법상 근로자 12
[06] 노조법상 근로자 17
[07] 근기법상 사용자 21
[08] 강제근로의 금지․폭행의 금지․공민권 행사의 보장, 적용범위 24
[09] 중간착취의 금지 27
[10] 균등대우의 원칙 29
[11] 직장내 성희롱 금지의 원칙 33
[12] 근로기준법 실효성 확보 방안 35
[13] 근로계약과 근로관계 37
[14] 경업금지 의무 40
[15] 진실고지의무와 경력사칭 42
[16] 채용내정과 시용 44
[17] 근로조건명시의무, 위약예정의 금지 47
[18] 전차금 상계금지․강제저축금지 등 49
[19] 취업규칙의 불이익변경 50
[20] 취업규칙의 불이익변경 관련판례 정리 55
[21] 평균임금 58
[22] 통상임금 62
[23] 임금지급방법의 보호 65
[24] 임금의 비상시 지급․도급 및 건설업에 있어서의 특례 67
[25] 휴업수당․임금채권 우선변제 69
[26] 대기시간과 근로시간 72
[27] 신축근로시간제․연장근로 제한․휴게․휴일 74
[28] 연차유급휴가 79
[29] 가산임금․포괄임금제․근로시간 특례․적용제외 86
[30] 여성․소년의 특별보호 92
[31] 전보․전직처분의 권리남용 여부 판단기준 94
[32] 전적과 근로자의 동의 96
[33] 사용자 명령휴직 처분의 정당성 98
[34] 직위해제(대기발령)와 당연퇴직 100
[35] 징계의 정당성 103
[36] 사업변동과 근로관계 이전 109
[37] 근로관계의 종료 113
[38] 경영상 해고의 정당성 요건 124
[39] 노동위원회 판정 129
[40] 기간의 정함이 형식에 불과한 경우와 갱신기대권 132
[41] 노동조합의 설립 135
[42] 법외조합 138
[43] 노동조합의 운영과 활동 140
[44] 노조전임자와 근로시간면제자 제도 144
[45] 노동조합의 통제권 147
[46] 노동조합의 해산과 조직변경 149
[47] 단체교섭의 방법(성실교섭의무) 152
[48] 단체교섭의 주체 154
[49] 노동조합 대표자의 협약체결권과 인준투표제 159
[50] 단체교섭의 대상 162
[51] 교섭창구 단일화 절차 166
[52] 단체협약의 의의 및 성립 172
[53] 단체협약의 내용과 효력 175
[54] 단체협약의 해석 180
[55] 단체협약의 구속력 182
[56] 단체협약의 종료 184
[57] 쟁의행위 일반 187
[58] 준법투쟁과 쟁의행위 189
[59] 쟁의기간 중 대체근로 제한 191
[60] 쟁의행위의 정당성 194
[61] 정당한 쟁의행위와 면책 근거 201
[62] 정당성 없는 쟁의행위와 책임귀속 204
[63] 직장폐쇄의 정당성 207
[64] 쟁의행위와 무노동 무임금 원칙 210
[65] 노동쟁의 조정(調整) 214
[66] 부당노동행위 일반 219
[67] 불이익 취급의 부당노동행위 222
[68] 유니온 숍(비열계약) 225
[69] 단체교섭 거부․해태 228
[70] 지배․개입 231
[71] 부당노동행위에 대한 구제 236
[72] 공무원과 교원의 집단적 노사관계 일반 239
[73] 노사협의회의 근로조건 형성권 존부 등 241
[74] 노동위원회 구제명령과 민사소송 243
[75] 기간제 근로관계 244
[76] 단시간 근로관계 247
[77] 불법파견과 직접고용의무 248
[78] 도급사업에 있어서의 안전․보건조치 253
[79] 산재보험법 상 재해보상 254
[80] 과로사 257
[81] 직장 동료의 행위로 인한 업무상 재해 259
[82] 유족급여와 손해배상책임의 조정 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