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웹디자인/홈페이지 > 웹기획
· ISBN : 9791192227832
· 쪽수 : 298쪽
· 출판일 : 2022-09-1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서비스 기획자를 둘러싼 7가지 궁금점
Part 1 서비스 기획자는 어떤 일을 하나요?
1장 서비스 기획자의 조건
2장 서비스 기획 vs 비즈니스 기획
3장 서비스 기획 vs 마케팅 기획
4장 기획자가 알아야 하는 최소한의 개발지식
Part 2 서비스 기획자가 되고 싶다면
1장 서비스 기획자의 직무 이해하기
2장 서비스 기획자가 일하는 방법 - 워터폴과 애자일
3장 기획자에게 필요한 데이터 분석법
4장 서비스의 실체를 알기 위한 앱 분석 방법
Part 3 협업에서 인정받는 기획자가 되는 법
1장 고객의 생각을 읽는 방법 - UX 리서치
2장 서비스의 윤곽을 잡기 위한 스토리보드 작성법
3장 협업 잘하는 기획자의 노하우
Part 4 일잘러 소리 듣는 서비스 기획자들의 비결
1장 좋은 서비스를 판단하는 3가지 조건
2장 사이드 프로젝트 시작 전 알아두면 좋은 4가지 노하우
3장 앱 출시 없는 반쪽짜리 사이드 프로젝트 경험기
4장 기획자들이 현업에서 배운 10가지 교훈
Part 5 이직을 꿈꾸는 서비스 기획자들을 위한 조언
1장 언제 이직을 계획해야 하나요?
2장 이력을 빛나게 하는 경험 정리법
3장 이직을 위한 문서 작성하기
4장 기업 탐색과 면접
부록 / 기획자의 북마크
저자소개
책속에서
서비스 기획 관련 강의는 추천하나요? 네, 추천합니다. 사전에 먼저 서비스 기획과 관련된 도서 정독, 무료 강의 또는 유료 소강의(교육기간이 8주 미만이거나 강의료 20만원 내외)를 수강하며 기획자로의 진로가 본인에게 맞는지 ‘호기심을 확신으로 바꾸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 작업이 선행되었다는 가정 아래 내일배움카드 사용이 가능한 취업연계형(수강기간 3개월 내외) 강의도 시간 여유가 된다면 추천하고 싶습니다.
PO와 PM의 경계를 무 자르듯 구분할 수는 없지만, PO는 개발자와 디자이너가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일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들로부터 접수된 개발 요구사항들을 사업방향에 맞게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반면 PM은 고객과 직접 만나고, 데이터를 분석하며, 스토리보드 등 개발자와 디자이너와의 커뮤니케이션에 필요한 문서를 관리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첫 만남 5초 안에 사람의 인상이 결정된다는 말은 서비스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온보딩은 새로운 유저에게 우리의 서비스를 이용해야 할 이유를 제공해 회원가입을 넘어 꾸준히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로 만드는 과정을 의미한다. 대개 사람들은 3~7일 이내에 자신이 다운받은 앱을 계속 사용할지 결정한다고 하는데, 사용자가 서비스를 만나는 순간부터 회원가입을 하고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이용할지 결정하는 첫 관문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