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직업상담공무원 수험생 중 법학과 논리가 약한 사람을 위한 가이드

직업상담공무원 수험생 중 법학과 논리가 약한 사람을 위한 가이드

공무원시험연구회 (지은이)
수학연구사
19,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550원 -10% 0원
970원
16,5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직업상담공무원 수험생 중 법학과 논리가 약한 사람을 위한 가이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직업상담공무원 수험생 중 법학과 논리가 약한 사람을 위한 가이드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7/9급 공무원 > 직군별 문제집 > 기타
· ISBN : 9791192288215
· 쪽수 : 114쪽
· 출판일 : 2022-04-29

책 소개

보통 일반행정에서 보는 행정법도 사람들이 약해서 곤혹을 치르는데 노동법같은 기술법은 리걸 마인드가 약한 사람들의 경우 더욱더 애를 먹는다. 그런 사람들 위해서 방법론적 제시를 하는데 이번 책에 중점을 두었다.

목차

머리말 1

I. 암기하지 않으면 합격은 힘들다 3
1. 특징적이면서도 확실한 이유 붙여 암기하기의 의미 4
2. 이유가 있으면서도 제시가 되지 않는 경우들이 너무도 많다 4
3. 상위의 자료를 찾아보는 것도 그런 이유다 4
4. ‘따지지 말고 그냥 외워’는 위험하다, 그리고 재미도 없다 5
5. 그렇겠지? 그렇지 않겠어? 하는 발상에서 깨달음이 나온다 5
6. 기존책의 설명에 대한 비판정신도 필요하다 5

II. 강의식 공부-연쇄성과 큰 틀에 열중하는 표현형 인간 7
1. 내식대로 규명하고, 명명하고, 간직하면서 진도 나가야 한다 8
2. 공부를 할수록 기본원리, 핵심원리는 간단하다는 것을 느낀다 10
3. 나중을 기약 말고 지금 지식구현이 가능한 사람이 된다 10
4. 내용과 나의 거리를 줄이는 게 공부 또는 강의식공부의 핵심 11
5. 논리력 스스로 설명에 막힘이 없고 이상함이 없게 하는 것 11
6. 합격바로미터와의 관계 11
7. 자기만의 그림들을 만들어내는 것은 의미가 크다 12
8. 전체논리 큰 논리의 중요 12
9. 책에 나오지 않는 사실이라는 것의 인식 13
10. 책을 안보고도 나오는 암송적 자기 스토리 지식이어야 한다 14

III. 강의식 공부-타이핑치기나 적어내기가 공부의 완성 15
1. 이런 게 필요한 과목은 내가 가공한 내 것이 최종대상 16
2. 이렇게 강의식공부로 안하면 완전 밑 빠진 독 물붓기 16
3. 강의식공부는 안전합격의 지름길이다 17

IV. 강의식공부-공부하는 것이 아니게 공부하기 19
1. 교과서에 대한 교조주의적 태도를 버려라 20
2. 책에 뭐가 적혀있는 지를 보지 말고 뭐가 있을지를 고민하자 20
3. 교과서 말고 자신만의 것을 만들어 냄에 대해서 뿌듯해해라 21

V. 되짚어보기 공부법 23
1. 되짚어보기의 공부의 의미 24
2. 되짚어보기 공부의 좋은 점 24
3. 되짚어보기 공부의 비유: 눈감고 하는 웅변과 비슷 30
4. 되짚어보기 공부의 비유: 백 칠판에, 백 노트에 적듯이 30
5. 되짚어보는 공부와 다른 이론과의 관계 31
6. 되짚어보기 공부를 꼭 해야 하는 이유와 의미 36
7. 되짚어보기 공부의 정도가 짙어지면 내용의 수준도 올라간다 37
8. 되짚어보기 공부가 힘들다는 생각의 극복을 해야 한다 38
9. 되짚어보기 공부관점이라면 이런 사람이 합격에 근접한 사람이다 38
10. 되짚어보기 공부는 ‘모색적 공부’와 ‘점검적 공부’로 나눠진다 40
11. 짚어보기 공부단계에서 결국 강의식공부 단계까지 41
12. 되짚어보기 공부를 하게 되면 본 공부를 더하고 싶어진다 41
13. 되짚어보기 공부는 완벽한 문장을 활용해서 하는 것 41
14. 되짚어보기 공부를 할 때의 지식저장 형태 42
15. 머리에 길 또는 지도를 만들어서 공부하는 셈이다 44
16. 가급적 책에 없는 내용을 만들고 사고하기 44
17. 되짚어보는 공부 자체가 아주 좋은 공부다 44
18. 되짚어보는 공부는 주된 공부? 부차적 공부? 44
19. 되짚어 봐서 지식들이 뭉치게 하는 게 좋은 공부 45
20. 책을 덮고 ‘뭐였더라’ 하는 것은 가장 초보적 단계의 되짚기공부 46
21. ‘꼭 이렇게까지 해야 하는가’라고 반문하는 사람들에게 46
22. 내용이 되짚기가 되어서 나오지 않으면 이렇게 하라 47
23. 눈으로 책을 보는 비중이 줄어들수록 공부의 고수가 된다 47
24. 다소 과한 듯이 하는 게 더 확실하게 준비하는 셈이 된다 48
25. 대답자판기를 만들기 위해서도 꼭 이런 과정은 필요하다 50
26. 몸이 안 좋을 때도 공부진행이 가능한 방법이다 50
27. 문제풀이 하기 싫을 때는 눈을 감고 되짚어라 50
28. 새벽의 눈 뜨는 시간의 공포를 자산으로 재활용한다 51
29. 아주 수재의 아주 새하얀 책 51
30. 오케스트라 지휘자처럼도 공부가능하다 52
31. 어려운 과목을 만날수록 이런 것은 고민이 되고 효과도 크다 53
32. 이런 것들이 고민이 된다면 하단의 고민은 끝이 났기 때문 54
33. 일정시간을 주기적으로 내어서 되짚어보면 아주 좋다 54
34. 입과 뇌가 말하게 하라 54
35. 줄줄줄 나오는 즐거움을 온다 55
36. 지식이 입에 담겨야 뇌를 지배하고 입을 자극한다 55
37. 진짜 입에서 나오는 소리가 나오는 게 최종 최고의 단계 56
38. 책이라는 덩어리에 눌리지 않기 위해서 되짚기공부는 필수 56
39. 해당과목에 대한 지식들이 쭉쭉 나오는 상태 57
40. 휴대폰의 녹음기 기능도 잘 활용하자 58

VI. 되짚어보기-규명짓기 59
1. 규명짓기의 의미 60
2. 어떤 것이 규명이 필요한 것인가? 60
3. 자연과학에서의 가설과 검증 비슷한 접근 62
4. 직관력이 뛰어나다는 사람의 평가를 듣는 것처럼 62

VII. 되짚어보기-지식 전진 시기키 63
1. 까먹거나 휘발성이어서 다시 리차지해야 하는 대상은? 64
2. 이런 체계 사고가 딱 잡히면 메모를 마구 할 때도 거기에 입각된다 64
3. 책을 가급적 미리 합격권으로 만들어 두기 64
4. 자기 것으로 하려면 결국 책을 벗어나 뇌가 그렇게 돼야 한다 65
5. 고수는 차분하고 담담하지만 뇌 머리는 엄청 움직이는 거다 65
6. 유기적이지 않을수록 나는 유기적으로 접근한다 65
7. 책을 보다가 하기와 그냥 막 하기는 다를 수밖에 없다 66

VIII. 되짚어보기-세트화 67
1. 의미 68
2. 단순 읽기와 문제풀기는 그냥 하면 된다는 측면에서 다르다 68
3. 어떤 시작상황이 다양하게 생길까? 68
4. 가장 기본 질문 ‘뭘 했더라?’ ‘넓게 좁게?’에 자문자답 69
5. 비유적 표현: 남십자성 70
6. ‘테이블세팅’ ‘빠르게 음식 차리기’에도 비유가 된다 71
7. 가급적 클로즈드 이미지나 클로즈드 시스템으로 이해해야 좋다 71

IX. 되짚어보기-해당부분의 핵심코어형성 73
1. 의미 74
2. 되짚기공부는 공부를 하는 방법 중 가장 장악적인 방법 74
3. 공부핵심코어는 계속적 연마로 만들어지는 것 74
4. 공부핵심코어는 뇌에서 나오지만 뇌를 바꾸게도 한다 75
5. 공부핵심코어가 안 나올래도 안 나올 수가 없다 75
6. 공부핵심코어의 휘발성에 대해서 75
7. 강의내지는 설명하고자 하는 중심부분 75

X. 되짚어보기-객관식 접근 77
1. 의미 78
2. 어쩌면 하지 않아도 되는 공부에 대한 생각 78
3. 주관식처럼 책을 복기하는 순서로 술술 가지 않는다 78
4. 개관식에서의 핵심 요소 세 가지 질문 79
5. 오히려 객관식 되짚기공부에서 입체성과 복합성을 고민한다 80
6. 적어낼 수 있다면 객관식 공부의 최고조 81

XI. 되짚어보기-오케스트라 지휘자처럼 공부하기 83
1. 오케스트라 지휘자처럼 공부하기의 의미 84
2. 뇌의 폭발력과 잠재력을 극대화 활용하는 것이다 84
3. 머리에 입력을 넣어두는 게 찐 이해이고 찐 실력이다 85
4. 몸을 다쳐도 전화위복적으로 공부가 가능하다 85
5. 뭐든지 떠들어도 아주 조금만 관계있어도 그것은 공부가 된다 85
6. 서당 개 삼년의 원리 86
7. 온 세상이 나의 공부를 도와주는 느낌을 받는다 87
8. 지휘자가 음악이 생활이듯이 학습자는 공부를 생활로 한다 87
9. 지휘자 마인드는 책임감과도 관련이 된다 87
10. 책 읽기가 소홀히 되지 않을까 하는 걱정을 떨쳐라 88
11. 출제자의 입장이 되어보라는 심리와 유사한 측면이 있다 88

XII. 모의고사-꼭! 그리고 많이 봐야한다 89
1. 모의고사를 꼭 또는 많이 봐야 한다 90
2. 모의고사를 꼭 봐야 하는 이유 90
3. 모의고사지는 휴대가능이기에 어디서든 볼 수 있다 93
4. 모의고사를 꼭 시간을 재서만 보는 것은 아니다 94
5. 막판에 정신적으로 흔들릴 때도 시간 유용하게 쓰는 공부가 된다 94
6. 모의고사를 다소 변칙적으로 봐도 된다 95
7. 모의고사는 단순 공부에 리듬과 액센트, 자극을 준다 96
8. 모의고사가 책을 이끌고 책이 모의고사를 이끈다 96
9. 모의고사를 본 것은 반드시 맞춰보고 개선시켜야 한다 96
10. 모의고사의 해설에서 참신한 해법이 나오기도 한다 97
11. 모의고사 형태는 조잡해도 가장 시험에 최적화된 학습도구 97
12. 시간을 재서 제대로 보고나면 힘은 들어도 뿌듯함이 대단하다 97
13. 시험에서 문제가 다양한 모습으로 나오는 것을 보여준다 98
14. 아까운 시간에 책을 달아놓고 보기 안타까운 사람들에게 맞다 98
15. 스스로 모의고사를 찾는다는 것은 공부가 제대로 된다는 의미 98
16. 지금의 공부가 맞는가하는 식의 갈등이 적어지게 된다 99
17. 지식을 꼭 정규적으로만 체득해야한다는 것은 없다 99
18. 풀 때에 잡생각의 정도로 자신의 실력향상이 가늠된다 99
19. 깨끗한 종이에 적혀진 모의고사를 푸는 맛이 상당하다 99
20. 다른 시험을 모의고사로 활용하라 100

XIII. 모의고사-봉투 모의고사를 주요 소재로 하라 101
1. 봉투 모의고사를 공부의 주된 소재 또는 테마로 하라 102
2. 봉투 모의고사의 의의 102
3. 그 해를 대비한 따끈따끈한 모의고사는 더욱더 의미가 크다 105
4. 답지 해설지만 읽어도 의미 있는 공부가 된다 105
5. 봉투 모의고사에 집중하면서 다른 교재의 가치 판단 105
6. 봉투 모의고사를 묶어서 하나의 교재처럼 가지고도 다닌다 106
7. 막판에는 봉투 모의고사와 타이머를 합치는 공부 시도 106
8. 막판 공부가 막히면 봉투 모의고사의 지문을 부분만 봐도 된다 106
9. 들고 다닐 수 있어 액티브 다이내믹한 공부가 가능하다 107
10. 시각적 자극이나 현실감 때문에 모의고사는 중요하다 108
11. 시간 내서 안 풀어도 문제의 질이 좋기에 의존도가 크다 108
12. 문제의식을 갖고 보기와 제대로 정리해서 보기의 양동작전 108
13. 신문이나 잡지처럼 휴대가 가능하다는 점도 큰 장점 109
14. 이런 성과들이 스스로에게 나타난다면 아주 성공적 109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