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의 진로선택
· ISBN : 9791192595061
· 쪽수 : 152쪽
· 출판일 : 2022-11-2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6
1 왜 정치학일까?
우리 삶 속의 정치를 연구하는 학문·14 | 정치학의 네 분야·18 | 정당성 있고 권위를 가진 권력 행사·22
궁금 정치학 국가의 폭력은 합법적일까?·26
2 정치학의 역사와 정치학자들
동양에서의 정치·30 | 서양에서의 정치·33 | 우리나라 정치의 역사·36 | 홉스, 로크, 루소의 사회계약설·39 | 칸트의 트라이앵글·47 | 베버의《직업으로서의 정치》·49 | 미헬스의 과두제의 철칙·51
궁금 정치학 권력분립은 왜 필요할까?·53
3 정치학에서 관심 갖는 주제들
권력 : 타인에 대한 영향력·60 | 정의 : 옳은 정치의 기준·64 | 자유 : 책임이 따르는 권리·67 | 평등 : 민주주의의 중심 관념·69 | 참정권 : 민주주의의 꽃·73
궁금 정치학 전제주의와 민주주의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77
4 정치인의 올바른 태도
자기중심적인 정치인·82 | 정치가와 정치꾼·87 | 독일 최초의 여성 총리, 메르켈 ·90 | 미국 최초의 유색인종 대통령, 오바마·93 | 브라질 최초의 노동자 대통령, 룰라·95
궁금 정치학 민주주의에서 왜 선거가 중요할까?·98
5 정치학의 미래와 고민
젠더와 정치학·102 | 복지와 정치학·107 | 환경과 정치학·112
궁금 정치학 왜 직접민주주의 국가보다 대의민주주의 국가가 많은 걸까?·119
6 정치학을 공부하려는 청소년들에게
정치학에서는 어떤 것을 배울까?·124 | 정치학을 공부하면 좋은 이유·129 | 정치학 전공자들의 진로와 취업·131
궁금 정치학 민주주의는 왜 경제발전에 유익할까? ·147
도움이 되는 자료들·150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정치학은 이처럼 우리 삶에 깊이 자리 잡은 정치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정치학을 사전적으로 규정하자면, ‘사회조직이나 국가의 권력을 획득하고, 행사·통치하는 행위 그리고 그 행위의 범위와 방법을 규정하는 제도 및 체제, 자원과 가치의 획득과 배분을 둘러싼 권력행사 및 투쟁, 갈등조정 및 타협 등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정치는 한자로 政治이다. 고대 중국의 유교 경전인 《상서尙書》에서 처음 나온 말이다. 政정은 ‘바르게 하다’라는 正정과 ‘회초리 치다’라는 攵복이 합쳐졌다. 자기 자신을 쳐서 바르게 하여 스스로 부조리를 다스리고 극복한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