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산업공학
· ISBN : 9791192693248
· 쪽수 : 621쪽
· 출판일 : 2023-01-02
목차
3. 2023년 국내외 2차전지 산업 및 시장전망
1) 2022년 2차전지 산업 결산
(1) 2022년 2차전지 밸류체인 주가 성과 결산
(2) 2022년 2차전지 산업 결산
2) 2023년 연간 전기차 배터리 시장전망
(1) EV 배터리 수요 전망
(2) 2023년에 주목할 7대이슈
3) 2023년 한국 2차전지 투자전략
(1) 한국 2차전지 셀 제조 3사 투자전략
(2) 한국 2차전지 주요 소재 밸류체인 투자 포인트 요약
4. 국내외 배터리 리사이클링 시장분석
1) 전기차 시장 성장 x 탑재용량 증가의 콜라보
(1) 미국 : 2022년 전기차 판매량 110만대(+65% YoY) 전망
(2) 중국 : 2022년 전기차 판매량 520만대(+66% YoY) 전망
(3) 유럽: 2022년 전기차 판매량 297만대(+25% YoY) 전망
2) 셀 스크랩으로 1차성장 & 전기차 폐배터리로 2차성장
3) 글로벌 배터리 리사이클링 정책 도입
(1) EU : 신지속가능배터리 규제(SBR)의 재활용 의무화
(2) 미국: 기술개발 투자와 인프라 개발
(3) 국내 : 배터리 재활용 규제 및 인프라 구축 계획 단계
4) 적극적인 투자로 가장 앞선 중국 리사이클링 산업
(1) LFP 재사용: ESS와 배터리 교환소, 배터리 표준화
(2) NCM 재활용 : 해외의존도 감소와 소재 경쟁력 강화
5) 리사이클링 Process: 폐배터리부터 재활용 소재까지
(1) 전공정(Pretreatment Process) : 폐배터리 수거 및 진단
(2) 전공정(Pretreatment Process): 전처리 공정
(3) 후공정 : 건식공정(Pyrometallurgic Process)
(4) 후공정 : 습식공정(Hydrometallurgic Process)
6) 배터리 리사이클링과 ESG: 순환경제 구축이 핵심
7) 산업동향: 전방위적 배터리 재활용 밸류체인 구축
(1) 완성차 업체의 배터리 리사이클링
(2) 배터리 업체의 배터리 리사이클링
(3) 소재 업체의 배터리 리사이클링
8) 국내 기업분석
(1) 에코프로
가. 에코프로머티리얼즈 : 적정가치 2조원
나. 에코프로CNG: 배터리 Recycling. 경쟁력의 시작이자 끝
다. ESG 하이라이트
(2) 성일하이텍
5.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시장분석
1)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 개요
2) 권역별 시장 규모
3) 차종별 배터리 시장 규모
4) 코로나(Covid-19)의 영향
6. 배터리 공정 지각변동
1) 지금까지는 소재의 혁신
(1) 삼원계 배터리 원재료 가격 상승세는 부담 요인
(2) 가격 경쟁력 높은 LFP 배터리, 전기차 시장 내 점유율 빠르게 상승
(3) ‘배터리 가격’을 낮추는 것이 완성차와 배터리 셀 업체들의 특명
2) 이제는 ‘공정 혁신’
(1) Tesla ‘배터리데이’를 기억하자
(2) 건식 전극 공정이란?
(3) 배터리 가격을 낮출 수 있는 건식 전극 공정의 길이 열린다
(4) 건식 전극 공정을 완성하는 마지막 퍼즐, CNT(Carbon nanotube)
(5) 건식 공정 양산 적용시 배터리 시장의 지각 변동이 예상된다
3) 2차전지 업종 분석
(1) 향후 배터리 셀, 소재 업체들의 캐파 증설 상향 조정될 가능성에 주목
(2) 최선호주 - 삼성 SDI, 엘앤에프, 솔루스첨단소재, 나노신소재
(3) 전세계 2차전지 Value chain Peer group Valuation table
7. 차세대 바나듐 배터리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이슈
(2) 국내외 업체 기술 동향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3) 국내 연구기관 동향
가. 연구개발 기관
나. 연구기관 기술개발 동향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 핵심기술
(2) 국내 기업 기술개발 전략
(3) 국내 중기 기술개발 종합계획안
(4) 국내 기술개발 목표
8. 배터리 소재 광물시장(리튬, 니켈, 코발트) 시장분석
1) 에너지 전환 시대의 배터리 시장
2) 배터리 소재 광물시장 동향 및 전망
(1) 배터리 소재 광물 시장 개요
(2) 배터리 소재 3대 핵심 광물
가. 리튬
나. 니켈
다. 코발트
3) 결론 및 시사점
9. 2차전지 관련 주요 기술동향
1) 고성능 리튬 2차전지의 실리콘계 음극소재 기술
(1) 전기차 배터리용 고용량 음극 소재 필요성
가. 실리콘 음극 소재 적용을 통한 리튬이온전지의 고에너지밀도화
나. 실리콘 음극 소재 기본 특성 및 종류
다. 실리콘 산화물 및 실리콘-탄소 복합체 소재
라. 초기효율 향상을 위한 노력
마. 급속충전 향상을 위한 실리콘 소재 적용
바. 전고체전지 음극으로의 적용
(2) 실리콘계 음극 소재 기술개발 방향성
(3) 결론 및 시사점
2) 2차전지 음극재용 탄소나노소재 기술동향 및 전망
(1) 2차전지 음극재용 탄소나노소재 개요
가. 기술 개요
나. 시장 규모
(2) 국내외 2차전지 음극재용 탄소나노소재 기술 분석
가. 국내 기술 분석
나. 해외 기술 분석
(3) 결론
3) 인조흑연 소재산업의 동향과 기술개발 방향
(1) 인조흑연 개요
가. 인조흑연의 정의
나. 인조흑연의 제조 공정
다. 인조흑연의 종류 및 특성
(2) 해외 인조흑연 시장 및 산업 분석
가. 흑연 전극봉
나. 등방흑연
다. 2차전지용 음극활물질
(3) 국내 인조흑연 시장 및 산업 분석
가. 흑연 전극봉
나. 등방흑연
다. 2차전지용 음극활물질
(4) 정책적 제언
가. 인조흑연 제조 기술개발을 통한 시장경쟁력 확보
나. 정부 중심의 집중적으로 일관된 정책지원 필요
Ⅲ. 국내외 전고체 전지 시장 및 기술 분석
1. 국내외 전고체전지 산업 및 시장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1) 세계시장
(2)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이슈
2) 국내외 업체 기술 동향
(1) 해외 업체
(2) 국내 업체
3) 국내 연구기관 동향
(1) 연구개발 기관
(2) 연구기관 기술개발 동향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 핵심기술
2) 국내 기업 기술개발 전략
3) 국내 중기 기술개발 종합계획안
4) 국내 기술개발 목표
4. 국내외 특허 동향 분석
1) 특허출원 동향
(1) 연도별 동향
(2) 국가별 동향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1) 기술개발 동향 변화 분석
(2) 기술-산업 현황 분석
3) 국내외 주요 출원인 분석
(1) 해외 업체
(2) 국내 업체
4) 기술집중력 및 IP 경쟁력 분석
(1) 기술 집중력 분석
(2) IP 경쟁력 분석
5) 요소기술 도출
(1) 특허 기반 토픽 도출
(2) 클러스터링 기반 요소기술 도출
(3) 특허 분류체계 기반 요소기술 도출
(4) 최종 요소기술 도출
5. 전고체 전지 최신 연구 분석
1) 개요
(1) 전고체 전지의 특징과 고체 전해질에 따른 분류
(2) 전고체 전지 상용화의 걸림돌 : 계면(interfaces) 및 계면상(interphases)
(3) 전고체 전지 관련 정책 분석
2) 전고체 전지 최신 연구 분석
(1) 전고체 전지 소재와 기술 역사
(2) 산화물계 전고체 전지 최신 연구 분석
가. Garnet 기반 고체 전해질이 적용된 전고체 전지의 양극 전극 대비 음극 전극의 최적 용량 비(N/P ratio) 연구
나. Garnet의 3D 마이크로 패턴에 따른 리튬/고체 전해질 계면의 구조적 안정성 연구
다. 녹인 리튬(molten Li)의 인장 강도 조절을 통한 리튬/Garnet 계면 친화도 향상
(3) 황화물계 전고체 전지 최신 연구 분석
가. Si/C 복합 음극을 이용한 고에너지 밀도, 장수명 전고체 전지 연구
나. 전고체 전지에서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의 계면 화학 안정성 연구
다.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에 적합한 전도성/접착형 계면 소재 적용연구(Sheet형 전고체 전지)
(4) 고분자계 전고체 전지 최신 연구 분석
가. 선택적 젖음성을 가지는 Rigid-Flexible 커플링 고분자 전해질 기반 고전압 전고체 전지
나. 초박형 Double Hydroxide 나노 쉬트를 이용한 전고체 전지
다. 전고체 전지에서 Polymer-in-salt 전해질을 통한 성능 향상 및 리튬음극과 안정적 계면 형성
3) 전고체 전지 산업 및 시장 분석
4) 전고체 전지 발전 전망
Ⅳ. 국내외 2차전지 핵심 소재ㆍ부품ㆍ장비 산업 및 시장 분석
1. 양극재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해외 시장
나. 국내 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이슈
(2) 국내외 업체 기술 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3) 국내 연구기관 분석
가. 연구개발 기관
나. 연구기관 기술개발 분석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 핵심기술
(2) 국내 기업 기술개발 전략
(3) 국내 중기 기술개발 종합계획안
(4) 국내 기술개발 목표
2. 음극재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해외 시장
나. 국내 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이슈
(2) 국내외 업체 기술 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3) 국내 연구기관 분석
가. 연구개발 기관
나. 연구기관 기술개발 분석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 핵심기술
(2) 국내 기업 기술개발 전략
(3) 국내 중기 기술개발 종합계획안
(4) 국내 기술개발 목표
3. 전해질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해외 시장
나. 국내 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이슈
(2) 국내외 업체 기술 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3) 국내 연구기관 분석
가. 연구개발 기관
나. 연구기관 기술개발 분석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 핵심기술
(2) 국내 기업 기술개발 전략
(3) 국내 중기 기술개발 종합계획안
(4) 국내 기술개발 목표
4. 분리막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해외 시장
나. 국내 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연구 동향
(2) 기술개발 이슈
(3) 국내외 업체 기술 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 기업 기술개발 전략
(2) 국내 핵심기술
(3) 국내 기술이전 관련 정보
5. 2차전지용 바인더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해외 시장
나. 국내 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연구 동향
(2) 기술개발 이슈
(3) 국내외 업체 기술 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 기업 기술개발 전략
(2) 국내 핵심기술
(3) 국내 기술이전 관련 정보
6. 2차전지용 파우치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해외 시장
나. 국내 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연구 동향
(2) 기술개발 이슈
(3) 국내외 업체 기술 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기업 기술개발 전략
(2) 국내 핵심기술
(3) 국내 기술이전 관련 정보
7. 초고용량 슈퍼커패시터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해외 시장
나. 국내 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이슈
(2) 국내외 업체 기술 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3) 국내 연구기관 분석
가. 연구개발 기관
나. 연구기관 기술개발 분석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 핵심기술
(2) 국내 기업 기술개발 전략
(3) 국내 중기 기술개발 종합계획안
(4) 국내 기술개발 목표
8. 폐배터리 재활용(Recycle)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이슈
(2) 국내외 업체 기술동향
가. 해외업체
나. 국내업체
(3) 국내 연구기관 동향
가. 연구개발 기관
나. 연구기관 기술개발 동향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 핵심기술
(2) 국내기업 기술개발 전략
(3) 국내 중기 기술개발 종합계획안
(4) 국내 기술개발 목표
9. 고온수명 안정화 전해액 첨가제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이슈
(2) 국내외 업체 기술동향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3) 국내 연구기관 동향
가. 연구개발 기관
나. 연구기관 기술개발 동향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 핵심기술
(2) 국내 기업 기술개발 전략
(3) 국내 중기 기술개발 종합계획안
(4) 국내 기술개발 목표
10. 전기차용 폐배터리 재사용(Reuse)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기술 개발 이슈
(2) 국내외 업체 기술동향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3) 국내 연구기관 동향
가. 연구개발 기관
나. 연구기관 기술개발 동향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 핵심기술
(2) 국내 기업 기술개발 전략
(3) 국내 중기 기술개발 종합계획안
(4) 기술개발 목표
11. 2차전지 제조장비 및 측정장치 분야
1) 국내외 산업 및 시장 분석
(1) 산업 분석
(2) 시장 분석
가. 세계시장
나. 국내시장
2) 국내외 기술 분석
(1) 기술개발 이슈
(2) 국내외 업체 기술 동향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3) 국내 연구기관 동향
가. 연구개발 기관
나. 연구기관 기술개발 동향
3) 국내 기술개발 전략
(1) 국내 핵심기술
(2) 국내 기업 기술개발 전략
(3) 국내 중기 기술개발 종합계획안
(4) 국내 기술개발 목표
Ⅴ. 국내외 2차전지 관련 특허 분석
1. 폐배터리 재활용(Recycle) 분야
1) 특허 동향
(1) 특허출원 동향
가. 연도별 동향
나. 국가별 동향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 동향 변화 분석
나. 기술-산업 현황 분석
(3) 국내외 주요 출원인 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4) 기술집중력 및 IP 경쟁력 분석
가. 기술 집중력 분석
나. IP 경쟁력 분석
2) 요소기술 도출
(1) 특허 기반 토픽 도출
(2) 클러스터링 기반 요소기술 도출
(3) 특허 분류체계 기반 요소기술 도출
(4) 최종 요소기술 도출
2. 고온수명 안정화 전해액 첨가제 분야
1) 특허 동향
(1) 특허출원 동향
가. 연도별 동향
나. 국가별 동향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 동향 변화 분석
나. 기술-산업 현황 분석
(3) 국내외 주요 출원인 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4) 기술집중력 및 IP 경쟁력 분석
가. 기술 집중력 분석
나. IP 경쟁력 분석
2) 요소기술 도출
(1) 특허 기반 토픽 도출
(2) 클러스터링 기반 요소기술 도출
(3) 특허 분류체계 기반 요소기술 도출
(4) 최종 요소기술 도출
3. 2차전지 제조장비 및 측정장치 분야
1) 특허 동향
(1) 특허출원 동향
가. 연도별 동향
나. 국가별 동향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 동향 변화 분석
나. 기술-산업 현황 분석
(3) 국내외 주요 출원인 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4) 기술집중력 및 IP 경쟁력 분석
가. 기술 집중력 분석
나. IP 경쟁력 분석
2) 요소기술 도출
(1) 특허 기반 토픽 도출
(2) 클러스터링 기반 요소기술 도출
(3) 특허 분류체계 기반 요소기술 도출
(4) 최종 요소기술 도출
4. 전고체 전지 분야
1) 특허 동향
(1) 특허출원 동향
가. 연도별 동향
나. 국가별 동향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 동향 변화 분석
나. 기술-산업 현황 분석
(3) 국내외 주요 출원인 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4) 기술집중력 및 IP 경쟁력 분석
가. 기술 집중력 분석
나. IP 경쟁력 분석
2) 요소기술 도출
(1) 특허 기반 토픽 도출
(2) 클러스터링 기반 요소기술 도출
(3) 특허 분류체계 기반 요소기술 도출
(4) 최종 요소기술 도출
5. 차세대 바나듐 배터리 분야
1) 특허 동향
(1) 특허출원 동향
가. 연도별 동향
나. 국가별 동향
(2)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가. 기술개발 동향 변화 분석
나. 기술-산업 현황 분석
(3) 국내외 주요 출원인 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4) 기술집중력 및 IP 경쟁력 분석
가. 기술 집중력 분석
나. IP 경쟁력 분석
2) 요소기술 도출
(1) 특허 기반 토픽 도출
(2) 클러스터링 기반 요소기술 도출
(3) 특허 분류체계 기반 요소기술 도출
(4) 최종 요소기술 도출
6. 양극재 분야
1) 특허 동향
(1) 특허출원 동향
가. 연도별 동향
나. 국가별 동향
다. 기술 집중도 분석
(2) 국내외 주요 출원인 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3) 기술진입장벽분석
가. 기술 집중력 분석
나. 특허소송 현황분석
2) 요소기술 도출
(1) 특허 기반 토픽 도출
(2) 클러스터링 기반 요소기술 도출
(3) 특허 분류체계 기반 요소기술 도출
(4) 최종 요소기술 도출
7. 음극재 분야
1) 특허 동향
(1) 특허출원 동향
가. 연도별 동향
나. 국가별 동향
다. 기술 집중도 분석
(2) 국내외 주요 출원인 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3) 기술진입 장벽분석
가. 기술 집중력 분석
나. 특허소송 현황 분석
2) 요소기술 도출
(1) 특허 기반 토픽 도출
(2) 클러스터링 기반 요소기술 도출
(3) 특허 분류체계 기반 요소기술 도출
(4) 최종 요소기술 도출
8. 전해질 분야
1) 특허 동향
(1) 특허출원 동향
가. 연도별 동향
나. 국가별 동향
다. 기술 집중도 분석
(2) 국내외 주요 출원인 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3) 기술진입장벽분석
가. 기술 집중력 분석
나. 특허소송 현황 분석
2) 요소기술 도출
(1) 특허 기반 토픽 도출
(2) 클러스터링 기반 요소기술 도출
(3) 특허 분류체계 기반 요소기술 도출
(4) 최종 요소기술 도출
9. 초고용량 슈퍼커패시터 분야
1) 특허 동향
(1) 특허출원 동향
가. 연도별 동향
나. 국가별 동향
다. 기술 집중도 분석
(2) 국내외 주요 출원인 분석
가. 해외 업체
나. 국내 업체
(3) 기술진입장벽분석
가. 기술 집중력 분석
나. 특허소송 현황분석
2) 요소기술 도출
(1) 특허 기반 토픽 도출
(2) 클러스터링 기반 요소기술 도출
(3) 특허 분류체계 기반 요소기술 도출
(4) 최종 요소기술 도출
10. 2차전지용 바인더 분야
1) 해외 업체 특허 동향
(1) 출원 동향
(2) 심층 분석
2) 국내 업체 특허 동향
(1) 출원 동향
(2) 심층 분석
3) 특허 기반 기술이슈 도출
11. 2차전지용 파우치 분야
1) 해외 업체 특허 동향
(1) 출원 동향
(2) 심층 분석
2) 국내 업체 특허 동향
(1) 출원 동향
(2) 심층 분석
3) 특허 기반 기술이슈 도출
저자소개
책속에서
TechNavio에 따르면 세계 2차전지 시장은 2019년 806억 8,000만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11.1%로 증가하여, 2024년에는 1,363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차전지 시장은 리튬이온전지, 커패시터, 납축전지, Ni-Cd 전지, Ni-MH전지 등으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이중 리튬이온2차전지와 납축전지를 중심으로 고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 전기차 전지 내에서 리튬이온전지 시장은 2019년 198억 200만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18.8%로 증가하여, 2025년에는 556억 4,0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세계 전고체전지 시장은 2019년 4천 6백만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34.2%로 증가하여, 2025년에는 2억 6,99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전고체 배터리 시장은 향후 기술개발에 따라 2025~2030년 단계적 개화, 2030년 이후 본격적인 확대국면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 바나듐 레독스 플로우 배터리 시장은 2019년 1억 6,020만 달러 규모에서 연평균 20.9% 성장하여 2025년 5억 160만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SNE Research에 따르면 자동차용 배터리 시장 전체의 규모는 2020년 기준 약 330억 달러로 추산되며, 연평균 성장률은 36.7%로 평균적인 배터리 시장이나 유사 품목을 다루는 산업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자동차용 배터리 시장의 전체 비중은 약 19.1%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선진국에서 시행하는 탄소중립 정책에 힘입어 전체 시장에 차지하는 비중이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단순히 동력을 생산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데 그치지 않고 자율주행 등의 스마트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 또한 필요하여 보다 고용량, 고출력의 배터리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한편 자동차 배터리 전체 수요에서 승용차에 포함되는 배터리 수요는 90% 이상(약 300억 달러 규모)으로 분석되었으며, 연평균 성장률도 36.6%로 성장세는 견고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현재 배터리 기술을 토대로 운용 가능한 주행거리와 충전속도로는 운행시 상대적으로 적은 전력을 필요로 하는 소형 승용차에서 소비자 수용성을 만족할 수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버스의 경우 현재 시장규모는 약 18억 달러이며, 연평균 성장률은 29.1%로 추정된다. 주로 공공 목적의 대중교통용 버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미국과 아시아 국가를 비롯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추진하는 탄소중립 정책에 맞추어 화석 연료 버스를 전기 버스로 우선 대체하려는 목적 때문이다. 소형 트럭이나 승합차 등의 시장 규모는 약 12.5억 달러이며, 연평균 성장률은 44.6%로 분석된다. 물류 운송을 위한 소형 상용차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데, 정부의 보조와 전력망 확충 정책, 낮은 운용비용에 힘입어 중단거리 물류용 상용차 수요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며, 볼보 및 삼성전자와 같이 해당 수요에 대응하는 협력체도 생겨나고 있다. 대형 트럭에 대한 수요는 비중이 0.1% 미만으로 매우 낮은 상태이다.
세계 리튬이온전지 양극 소재의 경우 2018년 약 65.3억 달러에서 2024년 약 118.7억 달러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양극재 시장은 전방산업과 밀접한 연관이 있어 전기자동차 및 에너지저장 시스템(ESS) 시장에 비례하는 시장 규모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 및 환경오염에 대처하기 위한 환경규제 강화로 내연기관 자동차 대체를 위한 전기차 보급 확산과 에너지 시스템 확대가 진행중에 있다.
세계 리튬이온전지 음극재의 경우, 2018년 약 26.3억 달러에서 2024년 약 53.4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음극재 시장은 2016년 이후 자동차용 리튬전지 시장을 견인하며, 계속 성장하고 있음. 자동차용 리튬전지 시장에서는 현재까지 보조금 정책으로 계속 성장한 중국 시장에서 2019년부터 환경규제가 시행되고 있으며, 유럽에서는 승용차의 CO2 배출량 규제로 인하여 지속적인 확대가 예측되고 있다. 세계 리튬이온전지의 음극 소재는 한중일 3국이 주도하고 있으며 2018년 기준 중국이 74%, 일본이 20%, 한국이 6% 순으로 확인되고 있다.
전해질 세계 시장은 2018년 약 10.6억 달러에서 2024년 약 45억달러로 연평균 27.3%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해질 시장은 가파른 성장을 통해 EV/ESS용 중대형 리튬2차전지용 액체전해액 시장이 모바일IT용 소형 리튬2차전지용 전해질 시장을 압도하여 성장하고 있다. 2차전지 전해액 첨가제 세계시장규모는 2018년 1억 달러에서 2024년 4억 달러까지 연평균 25.7% 성장할 것으로 추정된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 보고에 따르면 2차전지 전해액의 시장수요는 2019년부터 오는 2025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이 42%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019년 전세계 리튬이온 2차전지용 전해액의 수요는 총 13만 5000톤 수준이었다. 2025년 수요는 약 109만 3000톤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소형전지용 전해액과 중대형 전지용 전해액의 비율은 2019년 약 34:66에서 2025년 6:94 수준으로 바뀔 것으로 예측된다.
세계 2차전지 분리막 시장은 2018년 약 1,910 백만 달러에서 2023년 약 5,332 백만 달러로 연평균 21.4%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2차전지 시장은 2018년 137GWh에서 2020년 311GWh, 2025년 1,120GWh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Cordless 기기 확산/성능 개선, xEV 출시 가속화, ESS 보급 정책 수혜 등을 전망하기 때문이다. 최근 2차전지 시장은 소형 IT용 Application 시장에서 ESS, EV 시장으로 시장을 확대해 나가고 있으며 2차전지 분리막 시장 역시 이에 맞추어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전체 자동차 시장 가운데 1% 수준에 불과한 xEV 비중이 2025년 약 11%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측된다.
본 보고서는 전기자동차 시장은 물론 2차전지 및 관련 소재시장까지 폭넓게 다루었다. 또한 국가별로 2차전지 및 2차전지 소재 시장분석과 현지진출 전략을 자세히 써놓았으니 해외시장 진출에 관심 있으신 기업과 관련 당사자의 전략수립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