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무역
· ISBN : 9791192981437
· 쪽수 : 535쪽
· 출판일 : 2023-08-31
목차
제1장 국제무역
1. 무역의 개념
1.1 무역의 일반적 개념
1.2 무역관계법상의 무역의 개념
2. 무역의 성격
2.1 개별경제적인 성격
2.2 국민경제적인 성격
2.3 세계경제적인 성격
3. 무역의 특징
3.1 상품 및 생산요소 이동의 곤란
3.2 무역에 대한 국가관리
3.3 무역에 의한 대금결제
3.4 무역의 위험성 수반
4. 국제무역환경
4.1 WIO
4 2 RIA
제2장 무역정책과 무역관리제도
1. 무역정책
1.1 무역정책의 의의
1.2 무역정책의 기조
1.3 무역정책의 수단
2. 무역관리제도
2.1 무역관리의 의의와 목적
2.2 무역관리법규
3. 무역관리 주체와 대상
3.1 무역관리 주무기관
3.2 국제무역관리기구
3.3 무역관리의 대상
3.4 무역관리형태
4. 기타 무역관리
4.1 공정무역의 조장과 산업피해 구제
4.2 외화획득용 원료 · 기자재에 대한 관리
4.3 산업설비수출과 전략물자수출입관리
5. 외국환관리제도
5.1 외국환관리의 목적과 법률체제
5.2 외국환수급
5.3 환율결정과 지정통화제도
6. 관세관리제도
6.1 관세의 의의와 기능
6.2 관세의 종류
6.3 주요 관세제도
7. 무역의 진흥과 제한
7.1 무역업무의 자동화 지원
7.2 전자무역 지원
제3장 해외시장조사
1. 해외시장조사의 개념
1.1 해외시장조사의 의의
1.2 해외시장조사의 방법
1.3 해외시장조사 내용
2. 해외시장조사의 순서
2.1 시장조사의 과제
2.2 시장조사의 순서
2.3 시장조사의 주의사항
3. 신용조사
3.1 신용조사의 필요성
3.2 신용조사 내용
3.3 신용조사 방법
제4장 무역계약
1. 무역계약의 성립과정
1.1 무역계약의 의의
1.2 무역계약의 특성
1.3 무역계약의 형태와 종류
2. 수출입 계약체결을 위한 기본요소
2.1 품질
2.2 수량조건
2.3 가격조건
2.4 선적조건
2.5 보험조건
2.6 포장조건
2.7 상품대금 결제조건
2.8 분쟁해결 방법
3. 무역계약의 내용
3.1 계약당사자와 계약확정
3.2 상품명세
3.3 상품대금 결제방법
3.4 포장, 하인 및 선적
3.5 보험 및 불가항력
3.6 검사
3.7 무역조건 및 권리침해
3.8 클레임해결과 준거법
4. 무역계약의 체결
4.1 해외시장조사와 거래처 선정
4.2 무역계약의 성립
4.3 오퍼(offer sheet) 발행과 종류
5. 무역관습과 통일화 운동
5.1 무역관습의 의의
5.2 무역관습의 생성과 통일화운동
5.3 무역관습의 기능
6. Incoterms
6.1 Incoterms의 의의
6.2 인코텀즈 2020 규칙의 역할 및 올바른 사용법
6.3 Incoterms 2020 규칙
제5장 수출 및 수입절차
1. 수출절차
1.1 바이어 선정 및 수출계약의 체결
1.2 수출신용장의 접수
1.3 수출승인이나 수출요건 확인(일부품목)
1.4 원자재 확보 및 무역금융의 이용(물품제도)
1.5 수출검사와 포장
1.6 행상운송 및 해상보험의 체결
1.7 수출통관
1.8 수출선적
1.9 수출대금의 회수
1.10 관세환급
1.11기타
2. 수입절차
2.1 수입계약의 체결
2.2 수입승인이나 수입요건확인
2.3 수입신용장의 개설
2.4 수입신용장 대금결제와 선적서류의 인수
2.5 수입통관과 물품인수
3. 수출입절차와 관련 승인 인정 및 확인
3.1 수출입승인
3.2 특정거래의 인정
3.3 수출입 실적의 인정
3.4 전자적 무체물의 수출입 확인
3.5 용역의 수출입 확인
4. 결제 및 거래형태별 수출입 절차
4.1 수위탁가공무역방식에 의한 수출입
4.2 수위탁판매방식에 의한 수출입
4.3 임대차방식에 의한 수출입
4.4 외국인수수입에 의한 수출입
4.5 외국인도수출
4.6 중계무역방식에 의한 수출입
4.7 연계무역방식에 의한 수출입
4.8 BWT방식에 의한 수입
4.9 남북교역물품 반출입
제6장 무역대금결제
1. 현금지급과 외상거래
1.1 수출입대금 지급방법
1.2 DP 또는 D/A 거래
1.3 추심거래의 특성
2. 신용장거래
2.1 신용장의 연혁과 의의
2.2 신용장의 기능과 장단점
2.3 신용장거래의 특성
3. 신용장거래의 당사자
3.1 기본당사자
3.2 기타 당사자
3.3 신용장 거래과정
4. 신용장의 종류
4.1 상업신용장과 Clean 신용장
4.2 취소불능신용장과 취소가능신용장
4.3 확인신용장과 미확인신용장
4.4 매입신용장과 지급신용장
4.5 상환청구기능신용장과 상환청구불능신용장
4.6 보통신용장과 특정신용장
4.7 화환신용장과 무화환신용장
4.8 일람출급신용장과 기한부신용장
4.9 양도가능신용장과 양도불능신용장
4.10 기탁신용장
4.11 구상무역신용장
4.12 Tomas 신용장
4.13 회전신용장
4.14 전대신용장
4.15 내국신용장
4.16 보증신용장
4.17 현금신용장
5. 신용장의 발행과 변경
5.1 신용장 발행
5.2 신용장의 기재내용
5.3 신용장 조건변경
6. 외화획득용 원료조달
6.1 원료의 범위와 조달방법
6.2 외화획득용 원료의 수입
6.3 소요량증명서
7. 무역금융
7.1 무역금융의 의의와 형태
7.2 무여금융의 특징
7.3 무역금융의 체계와 종류
8. UCP와 eUCP
8.1 신용장통일규칙(UCP)
8.2 전자신용장통일규칙(eUCP)
제7장 무역서류
1. 무역서류
1.1 무역서류의 의의
1.2 기본서류와 부대서류
1.3 외국환어음
2. 보험서류
2.1 보험서류의 의의
2.2 보험증권
2.3 보험증명서
24 보험승낙서(insurance cover note)
3. 송장
3.1 송장의 의의
3.2 송장의 종류
3.3 송장작성의 주의사항
4. 기타의 무역서류
4.1 중량(용적)증명서
4.2 원산지증명서
4.3 검사증명서
4.4 포장명세서
4.5 위생중명서
4.6 품질증명서
4.7 수입화물선취보증장
4.8 파손화물보상장
제8장 국제운송
1. 국제운송의 역사와 의의
1.1 국제운송의 역사
1.2 국제운송의 의의
1.3 해상운송의 특징
2. 해상운송의 형태와 운송계약
2.1 선박의 운항형태
2.2 해상운송계약의 형태
2.3 정기선운송과 해운동맹
2.4 Waiver 발급
3. 컨테이너 운송
3.1 컨테이너 운송의 의의
3.2 컨테이너의 종류
3.3 컨테이너 운송의 장단점
3.4 컨테이너 터미널의 시설
3.5 내륙컨테이너기지(ICD)
4. 복합운송
4.1 복합운송의 의의
4.2 복합운송증권
4.3 복합운송인과 운송책임
5. 해상운송형태와 선하증권
5.1 해상운송형태와 선적절차
5.2 선하증권의 의의와 성질
5.3 선하증권의 종류
6. 항공운송
6.1 항공운송의 특징
6.2 국제항공운송계약과 절차
6.3 항공화물운송장
7. 국제물류
7.1 국제물류의 개념
7.2 물류의 목적과 중요성
7.3 물류의 역할과 기능
제9장 해상보험
1. 국제운송의 위험과 보험
1.1 국제운송의 위험과 보험
1.2 해상보험의 특징
1.3 해상보험의 종류와 법규
2. 해상보험계약의 당사자
2.1 보험자
2.2 보험계약지
2.3 피보험자
2.4 보험대리인(점)
2.5 보험중개인
3. 해상보험계약
3.1 해상보험계약의 법적 성질
3.2 고지의무와 담보
3.3 피보험이익
4. 해상위험
4.1 해상위험의 의의
4.2 해상위험의 종류
4.3 담보위험과 면책위험
5. 해상손해
5.1 해상손해의 종류
5.2 물적손해
5.3 비용손해
5.4 위부와 대위
6. 해상적하보험의 담보조건
6.1 적하보험약관
6.2 협회적하약관의 구성
6.3 협회보험약관의 특이사항
7. 수출보험제도
7.1 수출보험제도의 의의
7.2 수출보험의 기능
7.3 수출보험의 종류
제10장 수출입통관
1. 통관의 개요
1.1 통관의 의의와 기능
1.2 수출입 통관금지품
1.3 지적재산권의 보호
2. 수출통관
2.1 수출통관의 의의
2.2 수출통관의 대상
2.3 수출통관심사
2.4 수출퉁관의 절차
3. 수입통관절차
3.1 수입통관절차의 개요
3.2 수입과세확정
3.3 수입물품의 검사 · 감정
3.4 간이수입신고절차
4. 반송통관
4.1 반송의 대상물품
4.2 반송기간의 제한
4.3 반송신고 수리 및 취하
5. 특수통관
5.1 우편물 통관
5.2 선용품 또는 기내물품의 통관
5.3 상호주의 또는 조약에 따른 통관절차
제11장 관세와 관세환급
1. 관세의 개념
1.1 관세의 의의와 성격
1.2 관세의 종류
1.3 관세법의 해석과 적용
2. 차별관세
2.1 덤핑방지관세
2.2 상계관세와 보복관세
2.3 일반특혜관세제도
3. 관세의 부과와 징수
3.1 관세의 징수와 과세요건
3.2 납세의무자
3.3 과세물건
4. 과세표준과 관세율
4.1 과세표준의 의의
4.2 과세가격의 결정방법
4.3 관제율
5. 관세환급
5.1 관세환급의 의의
5.2 관세환급요건
5.3 정액환급과 개별환급
제12장 무역클레임
1. 무역클레임
1.1 무역클레임의 의의
1.2 무역클레임의 청구내용
2. 무역클레임의 종류
2.1 클레임의 발생원에 따른 분류
2.2 클레임의 성격에 따른 분류
3. 무역클레임 해결
3.1 매매당사자 간의 해결
3.2 제3자를 통한 해결
3.3 ADR
4. 클레임의 제기
4.1 클레임의 제기절차
4.2 클레임 제기 시의 구비서류
4.3 무역클레임을 제기 받은 경우 유의사항
4.4 중재절차 과정도
제13장 무역자동화와 인터넷무역
1. ED의 개요
1.1 EDT의 의의와 효과
1.2 EDI 표준
1.3 EDI 네트워크
2. 무역자동화
2.1 무역자동화의 의의
2.2 수출입 단계별 무역자동화
3. 인터넷 EDI
3.1 인터넷 BDI의 정의
3.2 인터넷 BDI의 도입동기
4. 인터넷무역의 이해
41 인터넷무역의 정의
4.2 인터넷무역의 거래수단
4.3 인터넷무역의 전망 및 유망품목
4.4 인터넷무역의 수출절차
4.5 인터넷무역 지원기관
제14장 ESG
1. ESG의 개념
2. ESG의 등장과 확산
3. ESG의 중요성
3.1 소비자의 변화와 ESG 요구 중대
3.2 투자자의 ESG 요구 중대
3.3 ESG의 정부 규제 강화
3.4 신용평가에 ESG 반영
4. ESG 평가 및 공시지표 안내
4.1 글로벌 ESG 평가
4.2 국내 ESG 평가
4.3 글로벌 ESG 이니셔티브(Initiative)
5. K-ESG
5.1 K-ESG 추진 배경
5.2 K-ESG 구성 방향
5.3 K-ESG 가이드라인 개발 프로세스
5.4 KBSG 가이드라인 기본 진단항목 체계
5.5 중견 · 중소기업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K-ESG가이드라인 활용
한글색인
영문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