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현업 기획자 마이즈가 알려주는 게임 시나리오 스쿨

현업 기획자 마이즈가 알려주는 게임 시나리오 스쿨

(스토리를 넘어 플레이를 설계하는 법)

김현석 (지은이)
초록비책공방
2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3,400원 -10% 0원
1,300원
22,100원 >
23,4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2,340원
21,0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8,500원 -10% 920원 15,730원 >

책 이미지

현업 기획자 마이즈가 알려주는 게임 시나리오 스쿨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현업 기획자 마이즈가 알려주는 게임 시나리오 스쿨 (스토리를 넘어 플레이를 설계하는 법)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프로그래밍 개발/방법론 > 게임 프로그래밍
· ISBN : 9791193296837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5-03-20

책 소개

기존의 시나리오 작법서와 완전히 다른 관점에서 게임 시나리오 기획을 다룬다. ‘이야기를 쓴다’는 사고방식에서 벗어나 ‘스토리를 게임 속에서 구현하는 방법’을 고민하도록 시나리오 기획의 원칙과 실무 노하우를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목차

프롤로그
게임 장르 용어 정리

1부. 게임 시나리오 기초 다지기

게임 시나리오에 대하여
- 게임 시나리오란?
- 내러티브vs스토리vs시나리오
- 게임으로 표현할 수 있는가
- 게임 시나리오 쓰기가 어려운 이유
- 요즘 스마트폰 게임 시나리오의 지향점
- TRPG와 게임 시나리오
- 시나리오 기반 게임vs게임 기반 시나리오
- 이 책에서 다루는 게임 시나리오 기획
[게임 사례] 던전 앤 드래곤즈

게임 시나리오 기획자에 대하여
- 게임 시나리오 기획자가 하는 일
- 게임 시나리오 기획자의 소양, 다양한 소재 이해하기
- 보여주기에 대한 부담
- 시나리오 기획자의 필수 능력, 커뮤니케이션
- 기획 의도 다루기
[게임 사례] 더 라스트 오브 어스

2부. 게임 시나리오 표현하기

보이는 글쓰기
- 읽히는 글vs보이는 글
- 보이는 글을 쓰는 방법
- UI에서 보이는 글 작성하기
- 가독성
[게임 사례] 다크 소울

게임 시나리오 작법
- 중심을 어디에 둘 것인가
- 시나리오 방향성과 의도를 숨겨라
- 문장보다는 문단에 집중하기
- 텍스트 분량은 어느 정도가 적당할까
- 게임이기에 가능한 시나리오 형태
- 심리를 자극하는 게임 시나리오 작법
- 시나리오에 보상 더하기
- 디트로이트 비컴 휴먼

게임 시나리오 쓰는 데 도움이 되는 팁 5
- 창작 욕심 내려놓고 던져라
- 삼천포로 빠지지 않기
- 고쳐쓰기보다 많이 쓰기
- 문장 길이와 리듬
- 코어가 되는 말과 덧붙이는 말
[게임 사례] 투 더 문

3부. 게임 시나리오 전달하기

퀘스트 기획하기
- 목적을 구체화하고 나누기
- 퀘스트 테이블의 작성하기
- 인덱스와 스트링 테이블
- 퀘스트 테이블 구조화하기
- 서브 퀘스트 구분하기
- 연속 퀘스트를 기획하는 목적
- 퀘스트 완급 조절하기
- 퀘스트 스크립트 작성하기
- 클리셰에 대해서

게임 시나리오에 AI 활용하기
- AI를 활용한 퀘스트 작성하기
- AI로 게임 시나리오를 기획할 수 있을까
[게임 사례] 위쳐 3

세계관과 지역 설정하기
- 세계관 만들기의 기준
- 세계관 만들기–공간적 배경
- 세계관 만들기-개념적 배경
- 세계관 만들기–생물적 배경
- 세계관 만들기–문화적 배경
- 세계관 만들기–시간적 배경
- 세계관 만들기–기타 설정
- 설정은 서술형보다 목록형으로
- 세계관 소개 문구 작성하기
- 지역 설정과 레벨 디자인하기
[게임 사례] 호라이즌 제로 던

캐릭터 만들기
- 플레이어 캐릭터 기획하기
- 수집형 RPG 캐릭터
- 헤어와 복장으로 캐릭터 외형 설정하기
- 캐릭터의 외형은 역할을 나타낸다
- 캐릭터의 외형에 기획 의도를 담는다
- 외형 기획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콘텐츠 경험
- 캐릭터 성격 표현하기
- 평면적인 캐릭터 만들기
- 캐릭터의 원형과 다양한 캐릭터 구성하기
- 빅 파이브로 캐릭터 확장하기
- 캐릭터 조형, 커스터마이징이 있는 게임들
- 스킬 만들기
- NPC 만들기
- 모션과 표정 정리하기
[게임 사례] 페르소나 5 더 로열

몬스터 설정하기
- 1단계: 몬스터 분류하기
- 2단계: 리소스 설정하기
- 3단계: 리소스 설정하기
- 4단계: 리소스 설정하기
- 5단계: 리소스 설정하기
- 어그로 설정하기
- AI를 통한 몬스터 성격 나타내기
[게임 사례] 몬스터 헌터 월드

스토리 구성하기
- 이야기의 구성
- 게임의 스토리 전개 방식 4가지
- 게임에서 영웅의 여정은 유효한가
- 게임의 소명, 게이머의 소명, 주인공의 소명
- 왕도 파악하기
- 게임 타임라인은 무엇을 중심으로 하는가
- 환경을 통한 스토리 전달
[게임 사례] 니어 오토마타

스크립트와 다이얼로그
- 스토리보드
- 대화 장면 다이얼로그
- 비주얼 노벨 게임의 학습 효용
- UI 스크립트, 서버와 클라이언트
- 슈타인즈 게이트

연출하기
- 이펙트 기획하기
- 사운드 기획하기
- 카메라 연출 기획하기
- 텍스트를 활용한 연출
[게임 사례] 플레그테일

특수 시나리오
- IP 게임의 시나리오
- 이벤트를 위한 시나리오 작성하기
- 튜토리얼 시나리오 작성하기

미래를 위한 조언
- 시나리오 기획자가 되기 위해 준비해야 할 것들
- 포트폴리오 작성을 위한 조언

에필로그

저자소개

김현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진성 게이머이자 진성 게임 개발자. 다양한 경험이 게임 기획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경험주의자이다. 재미있는 게임을 만들기 위해 게임, 만화, 애니, 소설 등 여러 콘텐츠를 폭넓게 경험하고 이를 SNS로 공유하고 있다. 어린 시절 창밖으로 놀이터를 바라보며 뛰어놀 수 없는 아이들을 위해 대신 놀아줄 상상 속의 친구를 원했다. 처음으로 오락실에 가던 날, 그 상상이 이미 현실에 있음을 알게 되었고 그 날 이후 게임 개발을 꿈꾸게 되었다. 1990년대 게임 매장에서 일한 것을 시작으로 2002년부터 게임 개발에 뛰어들어 현재까지 게임 디렉터로 재직하며 게임을 개발하고 있다. 지난 20년간 넥슨, 액토즈 등 게임 회사들을 두루 거쳐 랜드매스, 헤쎈 등 20종 이상의 프로젝트에 참여했고, 피처폰을 시작으로 PC, 콘솔, AR, VR, 스마트폰, 보드게임 등 다수의 플랫폼에서 여러 장르를 개발한 경험으로 이 책을 썼다. NDC, IGC, KGC 등의 게임 세미나에서 강연자로 참여했으며 후진 양성을 위해 대학에서 게임 기획을 가르치고 있다. 계속해서 변하는 게임에서 끝까지 지켜야 하는 핵심 가치는 ‘재미’라고 생각한다. 온라인 공간에서 '마이즈'라는 닉네임으로 활동한다. 지은 책으로 《현업 기획자 마이즈가 알려주는 게임 기획 스쿨》, 《게임개발자 되는 법》 등이 있다. 블로그 https://in.naver.com/madmaiz
펼치기

책속에서

이 책에서 다루는 것은 게임 시나리오를 어떻게 논리화하고 구성하며 표현할지에 대한 내용들입니다. 게임 시나리오 기획자는 글만 쓰는 직군이 아닙니다. 시나리오를 다양하게 표현하고 전달하는 일을 합니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시나리오를 어떻게 게임화하는지에 대해 집중합니다. 가벼운 그래픽 요소와 프로그램 요소, 구조화 내용이 포함됩니다. 글만 쓰던 사람이라도 어렵지 않게 쓰려고 노력했습니다.
- 프롤로그 중에서


여러분은 게임을 하면서 모든 시나리오를 읽고 넘어가나요? 그렇다고 한다면 그 시나리오에 관해 주변 친구들과 이야기를 나눌 수 있나요? 여러분의 친구도 시나리오를 이해하고 있을까요?
만약 여러분이 게임을 할 때 시나리오를 모두 읽고 넘어간다면 그것은 아마 여러분이 시나리오에 관심 있는 특별한 사람이기 때문일 것입니다. 대다수의 게이머는 시나리오 연출이 나온다 싶으면 바로 ‘Skip’ 버튼을 눌러 다음 게임으로 진입해 버립니다. 이것이 현실입니다. 그렇다고 여기에서 좌절할 필요는 없습니다. 이는 당연한 현상이고 이에 맞춰 게임은 만들어져야 합니다. 그래서 게임 시나리오는 어떻게 써야 하냐고요? (…)


게임 시나리오는 영화와 같은 시나리오와 아주 기본적인 부분에서부터 어긋납니다. 위 내용을 게임으로 바꿀 때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 ‘인물’을 제외하는 것입니다. 영화, 소설, 만화 등은 인물의 행동을 중심으로 전개되지만 게임은 그것이 불가능하죠. 인물은 게임을 플레이하는 게이머 자신이기 때문입니다. 직접 조작하고 자유롭게 움직이므로 위에 쓴 것처럼 “검을 휘둘렀으나 오히러 검이 부러졌다. 몸체가 쇠처럼 단단한 것 같다.”는 식의 스토리 전달은 불가능합니다. 게이머인 ‘나’는 검을 휘두르지 않고 도망칠 수도 있고 처음부터 마법을 사용하거나 그물 같은 도구로 개를 덮을 수도 있으니까요. 그럼 시나리오에서 인물이 빠진다면 위 내용은 어떻게 전개해야 할까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99385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