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인물
· ISBN : 9791193996102
· 쪽수 : 464쪽
· 출판일 : 2024-09-01
책 소개
목차
첫걸음, 내디디며ㆍ5
01 _ 소백산(小白山), 남(南)쪽ㆍ13
02 _ 내매교회ㆍ24
03 _ 영남 목사 문화재 제1호ㆍ28
영남 목사 문화재 제1호ㆍ29
04 _ 만산이 쓴 백남ㆍ40
백남(白南) 강병주(姜炳周)(1882. 3. 9 1955. 5. 30)ㆍ42
가계(家系)ㆍ42; 성장(成長)ㆍ43; 학업(學業)ㆍ44
목사(牧師) 백남ㆍ45; 교육자(敎育者) 백남ㆍ47; 한글과 백남ㆍ49
농사 개량과 백남ㆍ54; 백남의 인품(人品)ㆍ56
백남의 사상(思想)ㆍ59; 족보ㆍ63
05 _ 내매교회 100년사ㆍ67
내매교회 설립ㆍ78
내매교회 출신 목회자(牧會者)와 장로(長老)ㆍ87
목회 사역(牧會使役)의 길ㆍ90
한글 사랑과 함께 펼친 한글 보급 운동ㆍ91
농사법 개량 연구와 보급ㆍ93
한 인간으로서의 백남(白南) 강병주(姜炳周)ㆍ95
교역자로서 마지막 삶을 살아온 백남(白南) 강병주(姜炳周) 목사ㆍ97
06 _ 백남의 목회 101
1. 강병주 목사와 내매교회ㆍ103
2. 영주교회(현 영주제일교회) 목회(1915-1922)ㆍ125
3. 풍기교회(현 성내교회) 목회(1923~1932)ㆍ135
3. 경안노회 독립운동 비사 개요ㆍ147
4. 총회 종교 교육부 교사 양성 과정 목회(1933~1941)ㆍ151
5. 경동제일교회 목회(1941~1945)ㆍ173
07 _ 백남의 설교, 글ㆍ187
08 _ 백남에 대한 논문과 글ㆍ235
내매교회와 강병주 목사 이야기ㆍ239
강병주 목사의 농촌 선교 운동ㆍ262
영주 지역 기독교 전래 및 강병주 목사의 기독교 수용과 민족 운동ㆍ285
코로나19 재난 속에서 새롭게 다가오는 강병주·강신명ㆍ352
09 _ 잠시, 멈추어 숨을 고르다 386
1955년, 1965년ㆍ389
한글 목사 강병주 406
할아버지와 손자의 만남ㆍ409
백남과 이극로ㆍ420
小竹의 白南 기억ㆍ442
10 _ 탈고 이후에ㆍ449
11 _ 때의 복음ㆍ455
두 번째 행적을 찾아서ㆍ464
저자소개
책속에서
머리말
“첫걸음, 내디디며”
이 책은, 나의 할아버지, 백남 강병주 목사님의 목회 일생을 찾아, 기록한 책이다.
시작은 아버지, 만산 강신정 목사님의 목회 일생을 기록하려고 했다.
1997년 11월 16일, 만산(晩山) 강신정 목사님이 세상 떠나셨다.
아버지께서는, 목회를 시작할 때부터 세상 떠나시기 전까지의 모든 설교, 강의, 수요성서강해, 새벽기도회 말씀, 거제도 포로수용소에서의 목회 활동, 각종 모임 설교 등을 노트, 원고지, 수첩, 메모지, 그리고 16절 갱지에 남기셨다. 전체를 정리하기에는 수년이 걸릴 너무나 많은 흔적(痕迹)이다.
남긴 자료를 정리하다가 ‘만산이 쓴 백남’ 원고를 발견했다.
계획이 바뀌었다. 할아버지께서 먼저라고 판단했다. 그렇지만 내 나이 76세가 되도록 첫걸음을 내디디지 못했다. 백남(白南)과 만산(晩山)은 나에게는 태산(泰山)이었다. 할아버지의 길을 찾다가 몇 번이나 산(山)속에서 길을 잃고는 하산하기를 반복하게 되었다.
도저히 제대로 그려낼 수 없는, 나의 능력이 닿지 않는 일이었다는 것을 고백할 수밖에 없었다. 들어선 산속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고, 시간은 흘렀다.
“더 물러날 수 없다”라는 내면의 소리에 묵은 밀린 숙제를 풀듯 책상머리에 앉아, 이삿짐 속에 품고 다녔던 아버지의 자료 묶음 뭉치를, 다시 풀기 시작했다.
마치 옛 유물들을 발굴하듯 남기신 글들을 풀어가다가, 새로운 세계에 들어가게 되었다.
할아버지, 백남 강병주 목사님의 세계이다.
할아버지께서 어떻게 하나님을 믿게 되었는지, 목회자로 100여 년 전에는 어떻게 목회하셨는지, 그 행적(行蹟)들을 볼 수 있었는데, 그 시대가 요구하던 ‘때의 복음(福音)’에 응답한 목회였음을 알았다.
이 행적(行蹟)들은 나의 40여 년의 목회를 이끌게 한 뿌리였다는 것을 깨달았다.
사도 바울이 갈라디아서 6장 17절에서 “내가 내 몸에 예수의 흔적(痕迹)을 지니고 있노라” 하였던, 그 흔적(痕迹)이다.
『행적(行蹟)을 찾아서』로 책의 제목을 정하고 성령께서 인도하시는 걸음을 따르기로 했다. 할아버지, 만드신 발자국의 흔적(痕迹)을 더듬어 이어보려고 했다. 지난(至難)한 작업(作業)이지만, 첫걸음을 내디디고 여기까지 도달할 수 있었다.
한국 교회에서 ‘목사 3대’라 하면 부러워하던 때가 있었다. 나는 한국신학대학(현 한신대학교)에 편입했을 때, 친구들이 부러워하던 신앙의 대물림이었다. 동문 중에는 신앙생활의 개척자가 많았다. 신학도 가족의 반대라는 시련을 뚫고 시작한 경우가 적지 않았다. 나는 신앙생활을 태중(胎中)에서부터 한 셈이고, 나는 태어나면서 교회 생활은 당연한 믿음의 자리로 여겼다. 이 소중한 믿음의 유산이 귀한 것인지 몰랐다. 교회 울타리를 벗어나 보질 않았기에, 감사를 몰랐다. 그런데 신학을 공부하고, 목회를 시작하면서 비로소 조부, 백부, 선친께서 한국 교회에서 소중한 분들이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믿음을 유산으로 받은 것이 얼마나 큰 은혜인 것을 깨달았다.
그런데 백부, 소죽(小竹) 강신명(姜信明) 목사에 대한 글과 책은 많지만, 할아버지에 관한 책은 없었다. 할아버지에 대하여 이곳저곳 자료를 뒤지다 보니, 한 권의 책을 낼만큼의 원고들이 쌓였다.
이 과정에서 귀한 분을 만나게 되었다. 내매교회 담임목사인 윤재현 목사이다. 교회사를 전공한 윤재현 목사는 내매교회를 담임하게 되면서, 내매교회가 강(姜) 씨 집성촌에 세워진 교회로 순교자와 많은 목회자를 배출한 한국 교회사에서 소중한 교회인 것을 알게 되었고, 그 중심에 백남 강병주 목사가 자리하고 있음을 연구하여 밝히기 시작하였다. 2020년 11월 9일, ‘제11회 영주역사인물 학술대회’를 개최하여, 백남 강병주 목사와 소죽 강신명 목사를 주제로 한 임희국 교수(장로회신학대학교)와 손산문 교수(영남신학교)의 학술논문을 발표하였다. 이분들의 논문을 통해 백남의 행적을 밝히 알게 되었다. 귀한 논문을 조부의 행적을 찾아가는 책에 실을 수 있도록 허락을 받아, 감사한 마음을 밝힌다.
이 책, 『행적을 찾아서』는 자료집이라 할 수 있다. 흩어져 있던 자료를 모아 출판하려다 보니, 중복된 내용이 많다. 그래도 자료가 기록되었던 시대를 엿볼 수 있겠다는 판단으로 그냥 가감 없이 실었다.
할아버지 백남(白南) 강병주(姜炳周) 목사의 『행적을 찾아서』를 탈고한 후에는, 선친 만산(晩山) 강신정(姜信晶) 목사의 『행적을 찾아서』를 출판하려 한다. 여기에는 오래전에 원고를 부탁하여 보내준 선친을 추모하는 목사님들의 글들이 실리게 된다. 편저자의 게으름 때문에 옥고를 주신 분 중에는 별세하신 분도 있다. 이장식 목사, 여규식 목사, 박근원 박사, 김이곤 박사는 이 책을 만나지 못하게 되었다. 죄송스러운 마음이다.
할아버지, 할머니께서는 3남 3녀를 낳으셨다. 신명(信明), 신정(信晶), 신의(信義), 신상(信祥), 신희(信羲), 신성(信晟)이다. 큰아버지 막내아들 석공(錫珙)과 아버지의 막내아들 편저자 석찬(錫璨)이 목사의 대(代)를 이었고, 나의 둘째 형 석영(錫瑛)의 아들 민구(敏求)와, 나의 아들 승구(承求)가 목사로 4대째 목회를 이어가게 된 은혜도 있다.
2024년 3월 4일
홍은동에서 죽우(竹友) 강석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