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한의학 > 상한/금궤/온병
· ISBN : 9791194093084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5-11-15
책 소개
∙읽기 쉽고 임상에 즉시 활용할 수 있는 실용서
∙누구나 쉽게 익힐 수 있는 상한론 주석서 완성
∙한의학의 기초와 임상·이론의 가치를 재확립
∙육경·팔강의 원리를 바로 세워 상한론 본뜻을 회복
이법방약
이 책은 《상한론》 원서의 핵심인 ‘이법방약(理法方藥)’을 위주로 서술되어 있다. 각 조문의 앞머리에 병증명(病證名)을 부기한 것은 기억과 임상에 편리함을 주기 때문이다. 필요한 부분엔 ‘해설’과 ‘비교’를 배치해 각각의 핵심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하였다. 책의 원문에 중 경이 말하고자 하는 바와 행간의 함의(含意)를 드러내고자 애썼으며, 방약 조성의 방법과 규칙을 모두 서술하였다.
서술 순서
이 책의 서술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서에서는 《상한론》의 ‘결본’부분을 해석하고 자세한 해설을 붙였습니다. 앞머리엔 각 육경병의 개론을 소개합니다. 본편을 이해하기 위해 요구되는 기초적인 생리와 병리에 대해서 말합니다. 아울러 각 육경별 특징들을 드러내어 요지를 파악할 수 있게 했습니다. 본론에서는 원본 《론》의 순서와 상관없이 학습에 편리한 방편으로 조문들을 다시 배치하였습니다. 먼저 각 경의 제강을 소개하고 제강을 통해서 본편의 ‘임상증상’과 ‘특징적 증 후’ 그리고 ‘병기’를 학습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본론의 순서는 각 경의 경병과 장병과 부병을 먼저 서술하고 그 뒤를 괴병(壞病) 즉 변증(變證)들로 이어갑니다. 그다음엔 각 경의 금기를 말하였고 그 예후들도 논술했습니다. 제강과 각 조문을 공부하는 순서는 이 같은 방식이 최선이라고 봅니다. 아울러 《상한론》 공부에서 중요한 점은 전편을 숙독하는 것입니다. 전과 후가 통하고 결합되어야 그 종지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저자 인터뷰
1. 이 책을 저술하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앞서 발간된 《郝萬山 상한론강의》가 부끄럽지만 비교적 좋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다만 저 책에 수록된 내용이 너무 방대하여 분량이 많다 보니 《상한론》의 학습에서 꼭 필요한 ‘책 전체를 관통하기’가 힘들다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실용이 주요 목적인 의학서적의 시종을 일관되게 독서할 수 없다면 아무리 양서라고 하여도 무소용입니다. 그래서 독서에 수월하고 임상에서도 즉각 참고할 수 있는 간이한 책을 만들고자 하였고, 이 《이지상한론》이 그 결과물이라고 하겠습니다.
2. 신간의 간단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본서는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일목요연하게 구성하였습니다. 현존하는 《상한론》 원서는 명대 조개미 판본의 영향을 받아 육경병편의 순서는 갖추었으나, 그 내용과 조문의 배열에서는 학인(學人)들의 학습을 고려하지 못한 것으로 보입니다. 병증들이 곳곳에 산발되고 착종되어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공부를 시작하는 사람들이 즉각 포기하게 만드는 요인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원서의 조문 순서에 구애받지 않고 학습에 편리한 순서를 지키며 각 조문을 새롭게 배치했습니다. 아울러 각 육경병의 첫머리에 학습에 꼭 필요한 각 경의 생리와 병리를 정리하여 서술했습니다. 또한 기존의 탕증으로만 불리던 조문들의 명칭을 병기와 팔강의 이름으로 치환하여, 조문의 내용을 좀 더 직관적으로 알게 하였습니다. 그리고 상한론의 대강을 ‘이법방약’이라는 이름으로 후기에 부가하여 초학자들이 쉽게 입문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원서의 체계를 현대적으로 재편하였습니다.
3. 이 책만의 장점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제가 이 책을 쓴 목적과 부합합니다. 이 책의 제목이 《이지상한론》입니다. 이지를 한자로 쓰면 易知이고, 영어로 쓴다면 Easy입니다. 쉽게 안다는 의미이겠죠. 일반적으로 우리는 《주역》이 어렵다고들 인식합니다. 이것이 틀린 말은 아니지만 실제로 그 내용은 천지의 운행에 대비한 천기와 지기의 변화를 기록한 책입니다. 모든 사상과 학문은, 누구나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도록 쉽게 배우고 간단하게 익힐 수 있어야 장구하게 되고 보편적으로 될 수 있다고 봅니다.
비록 저 《주역》이 난해하다고 하지만 그 기본원리가 되는 천지의 운행은 쉽고 간단합니다. 하늘은 쉽게 아침이 되고 밤이 되며 봄이 되고 가을이 되도록 합니다. 그러면 땅은 또한 간단하게 이를 받아들여 생장수장의 결과물을 만들어냅니다. 쉽게 해가 뜨고 달이 지고 간단하게 풀이 자라나고 열매가 맺습니다. 하늘과 땅의 행사가 어렵다면 지구가 얼마나 오래갈 수 있겠습니까?
외람되지만 저 천지의 행사가 쉽고 간단한 것처럼 우리 의학도 쉽고 간단하다면, 물론 초학자는 그럴 리가 없다고 말할 수도 있습니다만, 바랄 것이 없겠지요. 배워 익혀보면 알게 되지만 한의학의 근본이 간이합니다. 이 책을 쓰면서 늘 머릿속에는 쉽고 간단하게 배우고 익힐 수 있는 《상한론》의 주석서를 완성하고자 하는 생각이었습니다. 제 뜻과 같이 되었는지는 모르겠으나 이 책의 장점은 편리함과 간이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4. 한의사 선생님들과 한의대생들은 이 책을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까요?
이 점에 대해선 고민이 많습니다. 현대에 이르러 학교에서 《상한론》을 등한시하는 풍조가 이미 오래되었다고 듣고 있습니다. 당장 나가서 임상현장에서 잘 쓰이지도 않고 쓰기도 어렵다고들 하면서 각종의 기술들만 배운다고 들었습니다. 매우 가슴이 아픕니다. 우선은 학교에서 제대로 배우지 못한 것이 원인이라고 봅니다. 학생들이 무슨 잘못이 있겠습니까.
제 경험이기도 하지만, 현대식 교육을 받은 학생들이 갓 대학을 들어와서 음양오행만 머릿속에 기억하고 배우는 것은 정말 잘못된 교육입니다. 점차로 우리의학의 진수를 맛보지도 못하고 멀어져만 갈 뿐이겠죠. 우선 교수님들의 생각을 조정해야 합니다. 《상한론》은 약을 쓰기 위한 방서만은 아닙니다. 물론 방약을 씁니다. 하지만 저 고서에는 우리가 시행하는 생리의 기본, 병리 관찰의 기본, 모든 진단의 기본과 의학과 의약의 기본 이론 그리고 방약의 실천까지도 적혀 있습니다.
저는 평소에 우리가 학교에서 《내경》을 배우기 전에 먼저 《상한론》을 익혀야 한다고 말하기도 합니다. 그래야 《내경》도 살고 《상한론》도 살릴 수 있습니다. 지금은 저 둘을 모두 사장시키고 있는 형편이죠. 간명하고도 분명한 저 《상한론》을 학습하고 나면 당연히 《내경》도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 반대로는 힘들다고 봅니다. 본과생이 되어 《내경》을 1∼2년 공부하고 졸업할 무렵이 되어 《상한론》을 배우는 저런 형태는 우리의학에 종지부를 찍어가는 형태라고도 할 수 있겠습니다. 교수님들이나 학생들은 부디 이 《상한론》을 졸업학점을 이수하기 위한 방편이라고 생각하거나, 일부 인사들의 전유물이라는 사고를 버려야 합니다. 반드시 《상한론》으로 우리 의학의 기초를 닦아야 합니다. 그래야 의사도 살고 환자도 살릴 수 있어요. 옛사람들은 늘 《상한》과 《금궤》가 참된 의사를 만든다고 했습니다.
5. 이 책을 어떤 분에게 추천하시나요?
우리 의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은 이 책으로 올바른 한의학의 기초를 정립하면 좋겠습니다. 임상에 종사하는 한의사들은 이 책을 통해 환자에게 가장 적절한 망문문절의 진단을 시행할 수 있고 병에 적합한 방약을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교단의 선생님들은 음양과 표리한열허실 및 육경의 정확한 의의를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아울러 한의학 연구자들도 논리와 임상이 일관된 《상한론》의 가치에 대한 인식을 재정립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6. 추가적으로 하고 싶으신 말씀 있으시면 자유롭게 부탁드립니다.
외부에서 전해지는 소식을 듣다 보면 현대에 우리 의학이 경제적 이윤 추구의 도구로 전락하고 있지는 않은지 의문스럽습니다. 한의학의 일부분만 이용하면서 말이죠. 경제적으로는 그렇다고 하더라도 자신이 배운 의술을 자기의 신체나 가족의 질환에 바로 적용하지 못한다면 의사로서의 부끄러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상한론》에 대한 오해도 많은 것 같습니다. 2천 년 전의 학문이 지금에 무슨 소용인가라는 허망한 말들도 듣습니다. 그렇다면 《내경》은 왜 배우고 《난경》은 무슨 쓰임이 있으며 《동의보감》은 무슨 까닭으로 외우는가요. 《상한잡병론》 곧 《상한론》을 한마디로 말하자면 후세 모든 의서가 출현하게 된 조종입니다. 근본 없는 지엽이 있을 수 있을까요? 근본과 근원을 장악하고 이해하고 있다면 지엽과 과실을 얻는 것은 어렵지 않습니다.
《상한론》의 내용은 오로지 임상의학의 근본적인 이론과 규율 및 방제와 방약의 사용법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개별적인 내용으로는 음양과 한열 및 표리와 허실로 기강을 삼고 이를 육경으로 주관합니다. 매우 간단합니다. 저 팔강과 육경을 조합하면 되는 것이에요. 다만 옛 문자가 조금 난해하고 교수법이 부족할 뿐입니다. 영리한 현대의 학인들이 진심으로 학습한다면 금방 익힐 수 있습니다.
한 가지 염려스러운 것은 저 《상한론》의 이론과 규율에 대해 자기식으로 해석하거나 소위 편리하다는 방법으로 변화시켜서 논리를 새로 만드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근본을 따라서 자연스럽게 배워 익히면 될 뿐인 것을 새로운 이론을 접목함으로 인해 부담을 가중시키는 겁니다. 한편으로는 그런 종파가 일가를 이루어 학인을 현혹하기도 하고 그런 관념에 스스로 매몰되어 있기도 합니다.
특히 《상한론》의 공부를 시작하는 초학인들은 정도를 벗어난 길에서 헤매지 않으시길 당부드립니다. 《상한론》은 이법방약을 배우는 것이며 오로지 육경과 팔강을 익힐 뿐입니다. 그러므로 다만 이 책이 바른 학습과 임상에 대해 미력하나마 부조하였으면 하는 바람이 있습니다.
목차
서문 _5
제1장 태양병편 _13
1. 태양병 개론 _14
태양병 원인 _14
태양병 병위病位 _14
태양생리 _14
태양양기陽氣 _15
태양병 분류 _16
총결 _16
2. 태양병편 분석 _17
태양병 제강提綱 _17
태양중풍中風 제강 _17
태양상한傷寒 제강 _18
태양중풍증과 태양상한증의 비교 _19
온병溫病 제강, 풍온병風溫病 _20
태양중풍, 태양상한, 온병, 풍온의 비교 _22
태양병 병정病程일수 _22
태양병 자연병정 _23
태양병이 낫는 시간 _24
양명병이 낫는 시간 _24
소양병이 낫는 시간 _25
태음병이 낫는 시간 _25
소음병이 낫는 시간 _25
궐음병이 낫는 시간 _26
풍가風家 중풍병정 _26
태양병 전경傳經 여부 _26
태양병 부전경不傳經 _27
태양중풍증, 계지탕증 _27
태양중풍증 위강영약衛强營弱 _30
태양병 두통, 발열, 한출, 오풍 _31
태양표증겸경도리허증表證兼輕度裏虛證 _31
태양표증발한후表證發汗後 정기수상표사미해正氣
受傷表邪未解 _32
정기수상 태양표사미해表邪未解 _32
태양병 기기상충자其氣上衝者 _32
표증겸리실表證兼裏實 선해표先解表 _33
리증표증판별裏證表證判別 _34
비외사소치非外邪所致 영위실화營衛失和 _35
영위 _36
병중약경病重藥輕, 침약병용법鍼藥幷用法 _37
계지본위해기桂枝本爲解肌 _38
계지탕금기증 _39
계지가갈근탕증 _40
신감숙천新感宿喘 _42
신감신천新感新喘 _42
계지가부자탕증 _43
계지거작약탕증 _44
계지거작약가부자탕증 _44
계지가작약생강각일냥인삼삼냥신가탕증 _45
태양상한증, 마황탕증 _46
태양양명합병증 _49
양명경표증陽明經表證 요약 _50
마황탕 금기증 _50
상한겸증兼證, 갈근탕증 _54
태양양명합병증, 갈근탕증 _55
갈근가반하탕증 _56
대청룡탕증 _56
번조증 비교 _59
소청룡탕증 _59
해천 비교 _62
대청룡탕증과 소청룡탕증의 비교 _62
표울경증表鬱輕證 해설 _63
계지마황각반탕증, 소한방小汗方 _63
계지이마황일탕증 _65
계지이월비일탕증 _66
4. 태양병 부증腑證 _68
태양축수증太陽蓄水證, 오령산증 _68
위허수정증胃虛水停證, 중초축수증中焦蓄水證, 복
령감초탕증 _70
태양축수증 해설 _72
태양축혈증 _73
도인승기탕증 _74
표리동병表裏同病의 치료순서 _75
태양병축혈증太陽病蓄血證, 저당탕증 _76
5. 태양병 변증變證 _78
표리동병 치료선후治療先後 _78
표리동치同治 _79
허번증虛煩證 해설 _79
허번증, 치자시탕증 _80
치자탕 사용금기 _83
사열옹폐증邪熱壅肺證, 마황행인감초석고탕증 _83
마황탕, 대청룡탕, 마행감석탕, 백호탕 비교 _85
위열미만진기양상증胃熱彌滿津氣兩傷證, 백호가인
삼탕증 _85
협열하리증挾熱下利證, 갈근황금황련탕증 _87
심양허증, 계지감초탕증 _88
계지감초용골모려탕증 _89
계지거작약가촉칠모려용골구역탕증 _90
심양피상한기상충증心陽被傷寒氣上衝證, 계지가계
탕증 _92
비양허증脾陽虛證, 복령계지감초대조탕증 _93
심비양허증心脾陽虛證, 복령계지백출감초탕증 _94
비허수정증脾虛水停證, 영작출감탕증 _96
영계제苓桂劑 해설 _97
비허脾虛, 허중협실증虛中挾實證, 후박생강반하감
초인삼탕증 _98
비허증脾虛證(기혈양허심장실양증氣血兩虛心臟失
養證), 소건중탕증 _100
비허脾虛 협열하리증挾熱下利證,계지인삼탕증 _101
신양허증腎陽虛證(양허조번증陽虛躁煩證), 건강부자
탕증 _102
음양양허조번증陰陽兩虛躁煩證, 복령사역탕증 _103
신양허증腎陽虛證, 진무탕증 _104
영계제류苓桂劑類 해설 _106
음양양허증, 감초건강탕증, 작약감초탕증 _106
한후음양양허, 작약감초부자탕증 _109
음양양허증陰陽兩虛證, 자감초탕증 _109
결흉증結胸證 해설 _111
결흉변증結胸辨證 _111
결흉증편고偏高, 대함흉환증 _113
결흉증편중偏中, 대함흉탕증 _114
결흉증편하偏下, 대함흉탕증 _118
소결흉증小結胸證, 소함흉탕증 _118
한실결흉寒實結胸, 소백산증 _119
심하비心下痞 해설 _120
열비증熱痞證, 대황황련사심탕증 _121
열비겸양허증熱痞兼陽虛證, 부자사심탕증 _122
담기비증痰氣痞證, 반하사심탕증 _123
수기비증水氣痞證, 생강사심탕증 _126
위허객열상요비증胃虛客熱上搖痞證, 감초사심탕증
_127
위허담조비증胃虛痰阻痞證, 선복대자탕증 _129
치리사법治利四法 _130
유사심하비類似心下痞 사증四證 _131
상열하한증上熱下寒證, 황련탕증 _131
현음증懸飮證, 십조탕증 _132
과체산증 _134
5. 태양병 소결 _136
2장 양명병편 _139
1. 양명병陽明病 맥증병치脈證幷治 개론 _140
양명병의 성립 원인 _140
양명병의 병위病位 _140
양명병의 특징 _140
양명의 생리 _140
양명의 양기 _141
양명의 증후 분류 _141
양명병의 전경과 예후 _142
2. 양명병편 분석 _143
양명병 제강 _143
양명병 병인병기 _143
양명경표증表證, 초감외사 _145
양명병 외증外證 _146
양명병 맥상 _146
양명열증陽明熱證 해설 _147
양명열증, 열재상초熱在上焦, 사열유요흉격증邪熱
留搖胸膈證, 치자시탕증 _147
양명열증, 열재중초熱在中焦, 백호탕증 _149
백호가인삼탕증의 특징 증상 _151
양명열증, 위열미만진기양상증胃熱彌滿津氣兩傷證,
백호가인삼탕증 _151
양명열증, 열재하초熱在下焦, 진상수열결합증津傷
水熱結合證, 저령탕증 _153
저령탕 삼증상 _155
양명열증 치료삼법 _155
양명실증陽明實證, 조위승기탕증 _155
양명실증陽明實證, 소승기탕증 _157
양명실증, 대승기탕증 _159
양명급하증陽明急下證 _163
양명실증, 비약증脾約證, 마자인환방증 _165
진휴변결증津虧便結證 _166
양명실증의 분류 _168
양명축혈증陽明蓄血證 _168
태양축혈과 양명축혈의 비교 _169
하법금기下法禁忌 _169
양명습열발황陽明濕熱發黃 해설 _171
양명습열발황증陽明濕熱發黃證, 인진호탕증 _173
양명습열발황증, 치자백피탕증 _174
양명습열발황증, 마황연초적소두탕증 _175
3. 양명병 소결 _176
3장 소양병편 _179
1. 소양병 개론 _180
소양병의 발생부위 _180
소양병의 성인 _180
소양경의 생리 _180
담의 생리 _180
삼초 _181
소양의 양기 _182
소양병 특징 _182
소양병증 _183
소양병의 치법과 치료금기 _184
2. 소양병편 분석 _185
소양병 제강 _185
소양병증과 치료금기 _185
소양경부수사少陽經腑收邪 추기불리증樞機不利證,
소시호탕증 _187
삼양동병, 소시호탕증 _192
소양불화겸리허증少陽不和兼裏虛證, 소시호탕증 _193
소시호탕 적응증의 종류 _194
소양불화겸태양표증少陽不和兼太陽表證,소시호탕증
_194
소양불화겸양명울열증少陽不和兼陽明鬱熱證, 소시
호탕증 _195
소양불화겸양명부대변少陽不和兼陽明不大便, 소시
호탕증 _196
소시호탕의 작용 _197
양미결陽微結, 소시호탕증 _197
10
소양겸태음표증少陽兼太陰表證, 시호계지탕증 _199
소양담부열실증少陽膽腑熱實證, 대시호탕증 _201
대시호탕 적응증 _202
시호가망초탕증 _203
중경의 조방造方 _205
소양불화겸태음비허증少陽不和兼太陰脾虛證, 시호
계지건강탕증 _205
소양겸표리삼초구병증少陽兼表裏三焦俱病證, 시호
가용골모려탕증 _207
열입혈실증熱入血室證 해설 _208
3. 소양병 소결 _211
4장 태음병편 _213
1. 태음병 개론 _214
태음병 발생부위 _214
태음병 성인成因 _214
태음의 생리 _214
비의 음기 _215
태음병의 특징과 분류 _215
태음병 예후 _216
2. 태음병편 분석 _217
태음병 제강 _217
태음장허한증太陰臟虛寒證 _218
태음경맥기혈불화증太陰經脈氣血不和證, 계지가작
약탕증, 계지가대황탕증 _219
소건중탕,계지가작약탕,계지가대황탕비교 _221
태음중풍증太陰中風證 _221
태음병자유증太陰病自愈證 _223
태음외박양명증太陰外迫陽明證 _224
태음외박양명 해설 _224
3. 태음병 소결 _225
5장 소음병편 _227
1. 소음병 개론 _228
소음병 발생부위 _228
소음병 성인成因 _228
소음의 생리 _228
심장과 신장 _229
소음병 증후의 특징과 분류 _230
2. 소음병편 분석 _232
소음병 제강 _232
소음한화증少陰寒化證, 소음진양쇠약증少陰眞陽衰
弱證 _233
소음한성상양증少陰寒盛傷陽證 _234
한성상양寒盛傷陽과 양쇠음성陽衰陰盛의 비교 _235
소음한화寒化증(양쇠음성陽衰陰盛증, 음성격양陰
盛格陽증, 음성대양陰盛戴陽증) 해설 _235
소음한화증, 소음양쇠음성증少陰陽衰陰盛證, 사역
탕증 _237
음성격양증陰盛格陽證, 통맥사역탕증 _238
음성대양증陰盛戴陽證, 백통탕증, 백통가저담즙
탕증 _240
소음한화증 해설 _241
소음양허수범증陽虛水泛證, 진무탕증 _242
양허수범증 해설 _243
오령산증, 영계출감탕증, 진무탕증 비교 _244
소음양허신통증少陰陽虛身痛證, 부자탕증 _245
진무탕과 부자탕의 비교 _246
신체통 방제 _246
한역극토증寒逆劇吐證, 오수유탕증 _247
하리활탈증下利滑脫證, 도화탕증 _248
소음음허화왕증少陰陰虛火旺證, 심신불교증心腎不
交證, 황련아교탕증 _250
황련아교탕증과 치자시탕증의 비교 _252
음허화왕陰虛火旺 수열결합증水熱結合證, 저령탕증
해설 _252
11
음허수열결합증陰虛水熱結合證, 저령탕증 _253
수기병水氣病 비교 _254
태소양감증太少兩感證, 마황세신부자탕증 _254
태소양감증太少兩感證, 마황부자감초탕증 _255
소음양울증少陰陽鬱證, 사역산증 _257
열이방광증熱移膀胱證 _259
허열상요인통증虛熱上搖咽痛證, 저부탕증 _259
소음객열인통증少陰客熱咽痛證,길경탕증,감초탕증
_260
소음담열인통증少陰痰熱咽痛證, 고주탕증 _261
소음객한인통증少陰客寒咽痛證, 반하탕증 _261
3. 소음병 소결 _263
6장 궐음병편 _265
1. 궐음병 개론 _266
궐음병 발생부위 _266
궐음병 성인成因과 분류 _266
한사울알궐음상화寒邪鬱遏厥陰相火 _266
궐리구얼厥利嘔噦 _268
궐음병 치료 _268
2. 궐음병편 분석 _270
궐음병 제강 _270
담도회충증膽道蛔蟲證 해설 _271
궐음병 제강 해설 _271
장궐증臟厥證 _272
회궐증蛔厥證, 오매환증 _272
한열착잡하리증寒熱錯雜下利證, 건강황금황련인
삼탕증 _274
한열병용寒熱幷用, 공보겸시攻補兼施법 _276
궐열진퇴증厥熱進退證 _276
궐음양부태과厥陰陽復太過 해설 _278
궐증厥證의 종류 _278
열궐熱厥, 백호탕증 _281
한궐寒厥, 사역탕증 _281
혈허경한증血虛經寒證, 당귀사역탕증 _282
경장양한증經臟兩寒證, 당귀사역가오수유생강탕증
_283
수저흉양치궐水阻胸陽致厥, 복령감초탕증 _283
궐증의 원인 _284
습열하리증濕熱下利證, 백두옹탕증 _285
실열하리증實熱下利證, 소승기탕증 _286
양명조열이 진액을 손상하는 세 가지 경로 _287
허한하리증虛寒下利證 _287
하리 개설 _288
허한구토증虛寒嘔吐症, 오수유탕증 _288
토연말 해설 _288
한구寒嘔, 사역탕증 _289
열구熱嘔, 소시호탕증 _290
얼증噦證 _290
3. 궐음병 소결 _292
한증 _292
소음전래궐음병少陰傳來厥陰病 _292
한성상양寒盛傷陽 _292
궐열진퇴증厥熱進退證 _293
양기국소회복태과 _293
궐음병편 부입 궐리구얼증厥利嘔噦證 _293
궐음병 총결 _294
7장 곽란병편 _295
곽란병霍亂病 개론 _296
곽란의 병증특성 _296
곽란의 치료, 오령산, 이중환 _297
리화표미해裏和表未解 치법 _299
양쇠토리陽衰吐利, 온리구한지리법溫裏驅寒止利法
_299
결본潔本 해설 _300
8장 음양이차후노복병편 _301
1. 음양이병陰陽易病 _302
음양이병陰陽易病 개론 _302
소곤산증 _302
2. 차후노복병差後勞復病 _303
노복勞復 해설 _303
식복食復 해설 _303
차후병差後病 해설 _304
차후노복증差後勞復證, 지실치자시탕증 _304
차후발열差後發熱 치료 _305
차후요이하유수기증差後腰以下有水氣證, 모려택사산증 _305
차후태음허한증差後太陰虛寒證 _306
차후여열미진差後餘熱未盡, 형기양상증形氣兩傷證, 죽엽석고탕증 _307
차후음식조양差後飮食調養 _308
저자 후기: 《상한론》의 이법방약理法方藥 _309
방제색인 _327
저자소개
책속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