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알기쉬운 의료기기 임상총론

알기쉬운 의료기기 임상총론

(개정판)

구교철 (지은이)
라임하우스
3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8,000원 -0% 0원
0원
38,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알기쉬운 의료기기 임상총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알기쉬운 의료기기 임상총론 (개정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의료 관련 과학 > 임상 공학
· ISBN : 9791194808046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25-07-15

목차

머리말 Ⅳ
간담췌외과 1
1. 임상과 소개 2
1-1. 간 해부학의 역사 2
1-2. 담도계의 해부학 3
1-3. 췌장의 해부학 3
1-4. 간담췌외과 환자에서의 간 기능 검사 4
2. 진단 방법 5
2-1. 단순 방사선학적 검사 5
2-2. 초음파 검사 5
2-3. 전산화 단층촬영 7
3. 간담췌 수술 14
3-1. 간 절제술 14
3-2. 담낭 결석 및 용종의 수술 14
3-3. 췌장 수술 15
방사선종양학과 17
1. 임상과 소개 18
2. 방사선치료의 발전 개요 20
3. 방사선치료 과정과 치료계획 22
4. 방사선치료의 기법 23
4-1. 2차원 방사선치료(two-dimensional radiotherapy, 2DRT) 23
4-2. ?3차원 입체조형치료(3-dimensional conformal radiotherapy, 3DCRT) 24
4-3. 세기조절방사선치료(Intensity modulated radiotherapy, IMRT) 25
4-4. ?통상적 분할치료(Conventional Fractionation)와
저분할 방사선치료(Hypofractionated Radiotherapy) 27
4-5. 정위방사선치료법(Stereotactic Radiation Therapy) 28
4-6. 영상유도방사선치료(Image-guided Radiotherapy) 30
4-7. 수술중 방사선치료(Intraoperative Radiotherapy) 31
4-8. 근접 방사선치료(Brachytherapy) 33
5. 방사선치료 장치 34
5-1. 선형가속기와 주요 구조물 34
5-2. 선형가속기의 종류 35
5-3. 방사성 핵종을 이용하는 기계 38
5-4. ?양성자치료 및 중입자치료(Proton Therapy and Heavy Charged Particle Therapy) 40
비뇨의학과 45
1. 비뇨의학과 소개 46
2. 비뇨생식기의 해부학 및 생리학적 이해 47
2-1. 신장 (kidney) 47
2-2. 요관(ureter) 48
2-3. 방광(bladder) 49
2-4. 전립선(prostate) 51
3. 대표적인 의료기기 52
3-1. 방광요도 내시경 (Cystourethroscope) 52
3-2. 다빈치 로봇시스템(DaVinci Robotic system) 53
3-3. 결석 쇄석기(lithotriptor) 55
3-4. 연성 요관경(Flexible ureteroscope) 56
3-5. 경성 신우경(Nephroscope) 57
4. 대표적인 비뇨기질환 59
4-1. 전립선비대증(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PH) 59
4-2. 전립선암(Prostate cancer) 61
4-3. 신장암(Renal cell carcinoma) 63
4-4. 요로결석(Urolithiasis) 66
산부인과 71
1. 산부인과 소개 72
1-1. 개념 및 정의 72
1-2. 역사 73
1-3. 주요 분야 73
2. 대표적인 질환 76
2-1. 자궁근종(Uterine fibroid or leiomyoma) 76
2-2. 자궁선근증(Adenomyosis) 78
2-3. 자궁경부 상피내종양과 자궁경부암(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CIN
and Cervical cancer) 79
2-4. 자궁내막증식증(Endometrial hyperplasia) 82
2-5. 자궁내막암(Endometrial cancer) 83
2-6. 난소의 양성종양(Ovarian benign tumor) 85
2-7. 난소암(Ovarian cancer) 86
3. 대표적인 의료기기(활용, 시술 사례 등) 88
3-1. 초음파(Ultrasonography) 88
3-2. 비수축검사(Non-stress test, NST) 93
3-3. 복강경(Laparoscopy) 96
3-4. 자궁경(Hysteroscopy) 100
성형외과 103
1. 성형외과 소개 104
2. 대표적인 질환 104
2-1. 구순열 및 구개열 104
2-2. 두개골조기유합증 106
2-3. 악안면수술 108
2-4. 외이의 기형 109
2-5. 안면부 외상 및 골절 113
2-6. 두경부 재건 116
2-7. 안면신경마비 재건 116
2-8. 유방수술 118
3. 대표적인 의료기기(활용, 시술 사례등) 119
3-1. 골신연장치 119
3-2. 인공삽입물 120
3-3. 3D 프린팅을 활용한 환자맞춤형 보형물 및 수술용 가이드 122
소화기내과 125
1. 임상과 소개 126
2. 소화기 내시경 전반에 관한 이해 126
2-1. 진단내시경검사(diagnostic endoscopy) 126
3. 소화관 종양의 내시경적 절제 129
3-1. 대장 용종 129
3-2. 대장 측방발육형 종양 133
4. 조기위암 및 위선종의 내시경적 치료(ESD) 134
4-1. 조기위암 및 위선종의 ESD 절개도(ESD knife) 135
4-2. 조기위암 및 위선종의 ESD에 사용되는 기타 기기 138
5. 상부위장관 출혈의 내시경적 지혈술 140
5-1. 응고 요법(Coagulation therapy) 140
5-2. 아르곤 플라즈마 응고 요법(Argon plasma Coagulation, APC) 141
5-3. 내시경 클립 142
6. ?췌담도 분야 (pancreatico-biliary) 내시경 역행성 담췌관조영술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 Pancreatography, ERCP) 143
6-1. ERCP 도관(catheter) 144
6-2. ERCP 유도선(Guide wire) 144
6-3. 절개도(sphincterotomy) 144
6-4. 생검 겸자 및 세포진용 솔(biopsy forceps and cytology brush) 146
6-5. 담석 제거용 바스켓(Basket for stone removal) 146
6-6. 담석 제거용 풍선(Balloon for stone removal) 148
6-7. 담도 확장용 풍선(Balloon for dilation of bile duct) 149
6-8. 플라스틱 배액관(Plastic stent) 149
6-9. 금속 배액관(Metal stent) 150
신경외과 153
1. 신경외과 소개 154
2. 뇌종양(Brain Tumors) 154
2-1. 정의 154
2-2. 발생원인 154
2-3. 뇌종양의 증상 및 징후 155
2-4. 영상학적 소견 155
2-5. 영상학적 평가 155
2-6. 뇌종양의 치료(Management of Brain Tumors) 159
2-7. 방사선 치료(Radiation therapy) 159
2-8. 화학요법 160
2-9. 표적치료 160
3. 뇌혈관 질환(Cerebrovascular Diseases) 161
3-1. 해부학 161
3-2. 분류, 빈도 및 위험인자 162
3-3. 허혈성 뇌혈관 질환(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s) 162
3-4. 출혈성 뇌혈관 질환 167
3-5. 뇌지주막하출혈 169
4. 척추 및 척수 질환 172
4-1. 양성 척추 질환(Benign Spine Disorders) 172
4-2 척수 및 척추 종양 184
4-3. 척수손상 188
심장내과 193
1. 임상과 소개 194
2. 정상 순환계의 구조와 기능 195
3. 임상 질환 198
4. 고혈압 199
4-1. 정의 199
4-2. 원인 199
4-3. 진단/검사 199
4-4. 치료 200
5. 허혈성 심장질환 및 동맥경화성 혈관 질환 201
5-1. 정의 201
5-2. 원인 201
5-3. 증상 202
5-4. 진단/검사 202
5-5. 치료 203
6. 부정맥 205
6-1. 정의 205
6-2. 원인 206
6-3. 증상 206
6-4. 진단/검사 206
6-5. 치료 208
7. 심근 질환 210
7-1. 정의 210
7-2. 원인 210
7-3. 증상 210
7-4. 진단 211
7-5. 치료 212
8. 심장 판막질환 212
8-1. 정의 212
8-2. 원인 213
8-3. 증상 213
8-4. 진단/검사 214
8-5. 치료 214
9. 심부전 215
9-1. 정의 215
9-2. 원인 215
9-3. 증상 215
9-4. 진단/검사 216
9-5. 치료 216
10. 심장 종양 218
10-1. 정의 218
10-2. 증상 218
10-3. 진단/검사 218
10-4. 치료 219
11. 결론 219
안과 221
1. 안과 소개 222
2. 해부학적, 생리학적 이해 222
3. 대표적인 질환 224
3-1. 건성안/안구건조증(Dry eye disease) 224
3-2. 결막염(Conjunctivitis, 눈병) 225
3-3. 각막염(Keratitis) 226
3-4. 근시, 원시, 난시 227
3-5. 백내장(Cataract) 229
3-6. 망막전막(황반주름, Epiretinal membrane) 230
3-7. 연령관련 황반변성(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231
3-8. 당뇨망막병증 및 황반부종(Diabetic retinopathy and macular edema) 232
3-9. 망막열공 및 망막박리(Retinal tear & detachment) 234
3-10. 포도막염(Uveitis) 235
3-11. 녹내장(Glaucoma) 236
3-12. 사시(Strabismus) 238
4. 대표적인 의료기기 239
4-1. 진단용 의료기기 239
4-2. 치료용 의료기기 247
영상의학과 251
1. 영상의학과란 252
1-1. 대한민국 영상의학과의 소개 252
1-2. 각 검사의 기본 원리 253
1-3. 인공지능과 영상의학의 미래 263
이비인후과 267
1. 임상과 소개 244
2. 해부·생리학적 이해 244
2-1. 귀 244
2-2. 코 246
2-3. 구강 및 인후두 248
2-4. 경부 및 타액선 250
3. 귀와 관련된 질환 252
3-1. 만성 중이염, 진주종성 중이염 252
3-2. 난청과 이명 252
3-3. 어지럼증 253
4. 코와 관련된 질환 253
4-1. 급·만성 비부비동염 253
4-2. 수면질환 253
4-3. 안면 외상 및 코성형 254
5. 인후두 및 두경부외과 질환 254
5-1. 갑상선 질환 254
5-2. 타액선 질환 255
5-3. 구강 및 인·후두 종양 255
5-4. 음성언어장애 255
5-5. 두경부 로봇 수술 256
6. 이비인후과에서 사용하는 대표적인 의료기기 256
6-1. 내시경 및 현미경 256
6-2. 로봇수술장비 257
6-3. 수술장비 258
6-4. 청각 및 전정기능검사 259
6-5. 보청기 및 청각재활장비 261
6-6. 수면무호흡 치료장비 261
6-7. 음향 비강 통기도 검사 262
재활의학과 289
1. 임상과 소개 290
1-1. 재활의학의 개념 290
1-2. 재활의학의 대상 290
1-3. 재활의학의 분야 291
1-4. 재활치료와 의료기기 292
2. 재활치료 및 의료기기의 활용 분야 293
2-1. 뇌신경 재활 293
2-2. 척수손상 환자의 재활 297
2-3. 소아재활 298
2-4. 근골격계 통증재활 및 물리치료학 299
2-5. 의지 및 보조기 303
2-6. 전기진단학 304
정형외과 307
1. 정형외과 소개 308
2. 정형외과에서의 진단적 측면에서의 의료기기 309
2-1. 단순 방사선 검사(simple radiography, x-ray) 309
2-2. 전산화 단층 촬영술(Computed Tomography, CT) 310
2-3.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e, MRI) 311
2-4. 초음파 촬영술(Ultrasonography) 311
2-5. 핵의학 검사 311
2-6. 진단적 관절경 검사 312
3. 정형외과의 부위별 해부학과 대표적 질환 313
4. 정형외과에서의 치료적 측면에서의 의료기기 319
4-1. 정형외과에서의 생체 재료의 사용 319
4-2. 골절(fracture) 수술 320
4-3. 인공관절 치환술(arthroplasty) 323
4-4. 관절경적 수술 328
4-5. 3차원 프린팅기술의 활용 332
4-6. 로봇 시스템의 적용 334
4-7. 조직공학과 재생의학의 적용 336
치과 339
1. 치과 소개 340
1-1. 구강내과 340
1-2. 구강병리과 340
1-3. 구강악안면외과 341
1-4. 소아치과 341
1-5. 영상치의학과 342
1-6. 치과마취과 342
1-7. 치과교정과 343
1-8. 치과보존과 343
1-9. 치과보철과 343
1-10. 치주과 344
1-11. 통합치의학과 344
2. 치아와 치식에 대한 이해 345
2-1. 치아의 구조 345
2-2. 치아의 이름 345
2-3. 치식(tooth numbering system)에 대한 이해 346
3. 치과 재료 347
3-1. 치과 재료의 특성 347
3-2 치과 재료 특성에 따른 분류
(참고문헌;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가이드라인) 348
4. 치과 의료기기 348
4-1. 치과 유닛체어 349
4-2. 핸드피스 350
4-3. 초음파 스케일러 350
4-4. 치과용 방사선 촬영 장비 351
4-5. 인상 채득, 구강 스캐너 353
4-6. 치과 수술용 기구 353
5. 주요 질환 및 치료에 대한 이해 355
5-1. 치아우식증의 치료 355
5-2. 근관 치료(신경치료) 358
5-3. 보철치료 362
5-4. 치주치료 364
5-5. 부정교합과 치아교정 치료 365
5-6. 치과 임플란트 368
5-7. 악안면 기형 수술(양악 수술) 371
5-8. 턱관절 장애의 진단 및 치료 373
피부과 375
1. 피부과 소개 376
1-1. 피부과 소개 376
2. 대표적인 질환 376
2-1. 염증성 질환(Inflammatory disease) 376
2-2. 신생물 질환(Neoplastic disease) 377
2-3. 그 외의 질환들 378
3. 해부학, 생리학적 이해 379
4. 대표적인 의료기기(활용, 시술 사례 등) 381
4-1. 더모스코피(Dermoscopy) 381
4-2. 냉동수술(Cryosurgery) & 냉동치료(Cryotherapy) 384
4-3. 레이저(Laser) 388
4-4. LED 광치료 394
마취통증의학과 399
1. 마취통증의학과 소개 400
2. 대표적인 마취 방법 400
2-1. 전신마취 400
2-2. 감시하마취관리(Monitored Anesthetic Care: MAC) 401
2-3. 부위마취 401
2-4. 국소마취 401
2-5. 마취의 전반적인 과정 402
3. 대표적인 의료기기 402
3-1. 마취기(Anesthesia Machine) 402
3-2. 기계적 환기장치(Mechanical Ventilator) 405
3-3. 환자 감시 장치(Patient Monitors) 406
3-4. 심혈관계 모니터링(Cardiovascular Monitoring) 409
3-5. 기도 관리(Airway Management) 410
3-6. ?신경계 감시(Intraoperative Monitoring of
the Central and Peripheral Nervous Systems) 413
3-7. 초음파기기(Ultrasound Machine) 418
3-8. 시린지 주입 펌프(Syringe Infusion Pump) 421
3-9. 급속 수액 주입기(Rapid Infusion Pump, Fluid Management System, FMS) 421
3-10. 공기 가온기(Forced Air Warming System) 422
3-11. 자가통증조절법(Patient-Controlled Analgesia, PCA) 423
4. 결론 423

저자소개

구교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