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김박사 현대 영문법 길들이기 1

김박사 현대 영문법 길들이기 1

(입문 + 부정사)

김성봉 (지은이)
수현출판사
1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김박사 현대 영문법 길들이기 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김박사 현대 영문법 길들이기 1 (입문 + 부정사)
· 분류 : 국내도서 > 외국어 > 영문법
· ISBN : 9791195420209
· 쪽수 : 310쪽
· 출판일 : 2015-01-02

목차

머리말 005
이 책의 특징 및 효율적 사용법 007
이 책에 사용된 부호 009


PART 1 들어가면서(INTRODUCTION)

CHAP 01 인간언어, 문법, 그리고 학습법 028

1.1 인간언어(Human Language) {-3.} 028
1. 보편소와 보편문법 {-2)} 034
1) 보편소(普遍素: Universal) 034
2) 보편문법(普遍文法: Universal Grammar) 034
2. 원리 vs. 매개변항 {-2)} 034
1) 원리(原理: Principle) 034
2) 매개변항(媒介變項: Parameter) 034
3. 언어능력과 언어수행 {-2)} 035
1) 언어능력(言語能力: Competence) 035
2) 언어수행(言語遂行: Performance) 035

1.2 문법(文法: Grammar) {-4.} 036
1. 인간언어는 삼각형으로 구성된다. 036
2. 문법의 정의 036
3. 문법의 5대 하위영역 {-5)} 037
1) 어형론(語形論)/ 형태론(形態論) 037
2) 음성학(音聲學)과 음운론(音韻論) 037
3) 통사론(統辭論)/ 구문론(構文論) 037
4) 의미론(意味論) 038
5) 화용론(話用論) 038
4. 어순(Word order): 현대영어는 자리싸움의 언어 039

1.3 이항대립방식 학습법 042
1.4 퍼지 문법과 규범 및 기술 문법 {-2.} 044
1. 퍼지 문법(Fuzzy Grammar) 044
[NB] 대격(對格: Accusative) 047
2. 규범문법과 기술문법 049


CHAP 02 문장과 성분 051

2.1 문장(Sentence) {-4.} 051
1. 일반적 정의 051
2. 한자에 기초한 정의 051
3. 어원분석에 기초한 정의 051
4. 통사론적 정의 052

[용어 정리] 052
1. 담화 2. 본문 3. 맥락/ 문맥 4. 명제

2.2 성분(Constituent) {-4.} 057

1. 정의 및 종류 057

[용어 정리] 059
1. 직접성분 2. 다시쓰기 규칙 3. 구 표지 4. 음소

2. 8품사(八品詞: 8 parts of speech) {-4)} 061
1) 2가지 종류의 뼈: 명사와 동사 063
2) 2가지 종류의 살: 형용사와 부사
cf: 부가어/ 수식어(adjunct) 064
3) 2가지 종류의 연결어/ 뼈마디:
전치사와 접속사 067
4) 기타: 대명사와 간투사 068
3. 기능(機能: function)에 따른 성분 구분 {-2)} 072
1) 주어(主語)와 술어(述語) {-(2)} 072
(1) 주어(subject) 073
[NB] ‘-은, -는’ 074
(2) 술어(predicate) cf: 서술?서술어 075
[NB] 추가 확인 사항 {-3.} 077

1. 의미역(意味役) 077
행위자(Agent)/ 경험자(Experiencer)/ 대상(Theme)/ 목표지(Goal)/
영수자(Recipient)/ 수혜자(Benefactive)/ 기원(Source)/ 장소(Location)/
도구(Instrument)/ 수동자 (Patient)/ 명제(命題: Proposition)
2. 하위범주화(Subcategorization) 084
3. 논항-의미역 구조 085

2) 보충어(목적어와 보어)와 부가어/ 수식어 {-(2)} 089
(1) 보충어(補充語: complement) {-②} 089
[NB] 보충어(complement) 089
① 목적어(object) {B.} 090
A. 목적어란? 090
B. 한국어와 영어에서의 목적어 표시방법의 차이 091
② 보어 {-B.} 093
A. 보어란? 093
B. 한국어와 영어에서의 보어 표시방법의 차이 094
(2) 부가어/ 수식어(adjunct) 096

4. 3가지 종류의 성분 단위와 핵계층이론 {-2)} 097
1) 3가지 종류의 성분 단위: 단어?구?절 097
[NB] 현대영문법에서의 절(節: Clause)의 정의 098
2) 핵계층이론(X-Bar Theory) {-(6)} 099
(1) 명사구(NP)를 구성하는 전형적인 성분들 101
(2) 동사구(VP)를 구성하는 전형적인 성분들 103
(3) 형용사구(AP)를 구성하는 전형적인 성분들 105
(4) 부사구(AdvP)를 구성하는 전형적인 성분들 106
(5) 전치사구(PP)를 구성하는 전형적인 성분들 107
(6) 최소주의에서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수형도 108


PART 2 동사 관련

CHAP 03 동사 개관 111
3.1 정형동사와 비정형동사 111
3.2 본동사와 조동사 115

CHAP 04 비정형동사 119
4.1 비정형동사의 개관 119
4.2 비정형동사의 기원 {-2.} 124

1. 원형부정사와 to-부정사의 기원 {-2)} 124
1) 원형부정사: to 없는 부정사 124
2) to-부정사 127
2. -ing 분사(동명사 포함)와 -ed 분사의 기원 {-2)} 131
1) -ing 어형을 가진 단어들의 기원 135
(1) 완전한 명사로 사용되는 -ing 어형을 가지는 부류 {-②} 135
① 명사파생성 명사: 명사+-ing {-B.} 135
A. 구체적 불가산 집합명사 135
B. 추상적 불가산 명사 135
② 동사파생성 명사: 동사+-ing {-C.} 136
A. 추상적 가산명사 136
B. 구체적 가산명사 136
C. 의무적 복수명사 136

(2) 비정형동사로 사용되는 -ing 어형을 가지는 부류 137
2) 과거분사(Past Participle: PP) 혹은 -ed 분사 143
[NB] 추가 확인 사항 {-2.} 144
1. -ed 어미를 가지는 경우 {-2)} 144
1) 동사원형 뒤에 -ed 부착: 과거와 과거분사 {-(2)} 144
(1) 과거 144
(2) 과거분사(완료분사와 수동분사) {-②} 145
① 완료분사 145
② 수동분사 145
2) 명사 뒤에 -ed 부착 145
2. 비대격동사(unaccusative verb) 145
4.3 비정형동사의 공통점 148
4.4 3가지 종류의 비정형동사 {-3.} 151
1. (to-)부정사 {-5)} 151
1) 품사적 구분 {-(3)} 152
(1) 명사적 용법 {-⑤} 152
① 주어 cf: 가?진주어 용법 152
② 보어 154
③ 목적어 cf: 가?진목적어 용법 155
④ 동격 157
⑤ 형용사 보충 158
[NB] 추가 확인 사항 {-7.} 158
1. ‘원함’의 의미 동사 - 부정사절에 선택적 for를 허용 158
2. ‘예외’ 전치사의 보충어 역할 to-부정사 절 158
3. 명사절 역할 원형부정사절 {-3)} 159
1) 유사분열문에서의 원형부정사절 159
2) 원형부정사절- 5형식 지각동사와 협의의 사역동사 160
3) 예외 전치사의 보충어 역할 원형부정사절 160

4. 유사분열문 160
5. 무주어 부정사절을 직접목적어로 취하는 동사 {-2)} 162
1) 비정형절 보충어로 to-inf만을 취하는 동사 162
V affect/ afford/ ask/ beg/ choose/ claim/ contrive/ deign/ demand/ desire/ expect/ endeavo(u)r/ fail/ hope/ learn/ manage/ offer/ pretend/ profess/ promise/ refuse/ request/ swear/ threaten/ undertake/ venture/ vow/ wish cf: trouble

2) 비정형절 보충어로 to-inf와 -ing를 동시에 취하는 동사 {-(2)} 184
V attempt/ bear/ endure/ begin/ commence/ start/ begrudge/ continue/ cease/ decline/ deserve/ need/ require/ want/ disdain/ scorn/ dread/ forget/ remember/ regret/ hate cf: loathe, dislike/ like/ love/ prefer/ intend/ mean/ help/ neglect/ omit/ plan/ propose
(1) 동사 + to-부정사절: 목적어 역할 to-부정사절 vs. 사슬 구문 204
V stop/ try
(2) 제1유형 전치사-동사 구문이 부정사절 목적어를 가지는 경우 208
V bother/ ache/ agree/ aim/ arrange/ aspire/ assent/ consent/ burn/ burst/ care/ clamo(u)r/ condescend/ confess/ decide/ delight/ die/ hesitate/ itch/ long/ prepare/ resolve/ seek/ serve/ strive/ yearn

6. 유주어 to-부정사절을 보충으로 취하는 단일타동사 229
cf: 제1유형 전치사-동사: 동사 + for
V call/ crave/ wait
7. 사슬 동사 구문(Catenative verb constructions) {-2)} 237
1) 두 가지 유형의 사슬 동사 구문 {-(2)} 237
(1) 제1유형 사슬 동사 구문: ‘사슬 동사 + to-부정사’ 구문 237
(2) 제2유형 사슬 동사 구문: ‘사슬 동사 + 분사’ 구문 239
2) 기타 {-(4)} 239
(1) 준-조동사 구문 vs. 비정형 보충절 동반 본동사 구문 240
(2) 주어-주어 인상구문 240
(3) 관용어법적 사슬 구문 240
(4) 사슬 구문과 유사한 두 동사의 등위접속 구문 {-②} 241
① ‘어휘동사 + 부사의 목적용법 to-inf(~하기 위하여)’ 구문 {-B.}
A. try/ wait to-inf (try, wait가 동사원형일 때 ? and + 동사)
B. go/ come/ hurry (up)/ run/ stop/ stay to-inf(? and + 동사)

② 어휘동사 + 현재분사= 어휘동사 and 동사 242
(2) 형용사적 용법 {-②} 242
① 한정(限定) 용법 {-B.} 242
A. 관계대명사절로 전환되는 경우 {-B)} 243
A) 피수식 명사가 의미상의 주어 역할 243
[NB] (대)명사 to-부정사 {-2.} 245
1. 능동부정사(active inf.) vs. 수동부정사(passive inf.) {-3)} 245
1) 의무(obligation)와 관련된 경우 {-(4)} 245
(1) ‘의무’를 나타내는 경우 일반적으로 둘 다 허용 246
(2) 의무적 행위를 할 특정의 사람에 초점: 능동 부정사 선호 246
(3) 의무적 행위 자체에 초점: 수동 부정사 사용 247
(4) be 다음에 의무적 행위를 표현하고자 할 경우: 수동 부정사 사용
2) 목적(purpose)과 관련된 경우 247
3) There's nothing to do vs. There's nothing to be done 248
2. ‘명사 to-부정사’ vs. ‘동사 to-부정사’ 248
B) 정형동사의 주어가 의미상의 주어 역할{-(B)} 251
(A) 피수식 명사가 부정사절 내 타동사의 목적어 251
(B) 피수식 명사가 부정사절 내 전치사의 목적어 252
B. 관계부사절로 전환되는 후치수식 254
cf: 동격의 that-절로 전환되는 경우
② 서술용법: S+V+SC(S≠SC) {-E.} 254
A. 예정/ 작정/ 계획(= be scheduled to-inf.) 255
B. 의도(= intend/ mean to-inf.) 256
C. 의무(= should/ be required to-inf.) 257
D. 가능(= can) 258
E. 운명(= be destined/ doomed/ fated to-inf) 258
(3) 부사적 용법 {-⑤} 258
① 목적 259
② 정도 및 결과 260
③ 원인, 이유, 판단의 근거 262
④ (가상법/ 직설법) 조건과 양보 264
⑤ 이접어(離接語)(disjunct)로 사용되는 부정사절 264
[NB] 추가 확인 사항 {-2.} 265
1. 통제(統制: control)와 인상(引上: raising) {-2)} 265
1) 통제 {-(3)} 265
(1) 통제의 정의 266
(2) PRO(big PRO) and pro(small pro) 266
(3) 통제구문의 종류 {-②} 267
① 주어 통제(subject control) {-C.} 267
A. ‘주어i be 형용사 [PROi to-부정사]’ 구문 267
B. ‘주어i 동사 [PROi to-부정사]’ 구문 268
C. ‘주어i 동사 (목적어) [PROi to-부정사]’ 구문: promise 구문 268
② 목적어 통제(object control) {-D.} 269
A. ‘주어 동사 목적어i [PROi to-부정사]’ 구문 269
B. ‘주어 동사 [(for) 목적어i [PROi to-부정사]]/
주어i 동사 [PROi to-부정사]’ 구문 271
C. ‘주어 동사 [for 목적어i [PROi to-부정사]]/
주어i 동사 [PROi to-부정사]’ 구문 272
D. ‘주어 동사 목적어i [PROi to-부정사]/
주어i 동사 [PROi to-부정사]’ 구문 274
2) 인상(引上: raising) {-(3)} 274
(1) 주어-주어 인상(subject-to-subject raising) {-②} 275
① 보충어 역할 부정사절 주어를 모절의 주어로 인상 275
② ‘주어 + 계사 + 사람 성질?성향 비판 형용사 + to-부정사’ 구문 277
(2) 목적어-주어 인상(object-to-subject raising) {-②} 278
① tough-이동 구문 278
② 기타 {-C.} 279
A. ready 유형: 제6유형 형용사 279
B. 과잉비교(too ∼ to-부정사) 구문 279
C. 충분비교(enough ∼ to-부정사) 구문 280
(3) 예외격표시(Exceptional Case Marking: ECM) 구문:
주어-목적어 인상(subject-to-object raising) 구문 280

2. to-부정사절에 의한 형용사 보충 {-7)} 280
1) 제1유형(Type 1): ‘foolish’ 유형 281
2) 제2유형(Type 2): ‘quick’ 유형 282
3) 제3유형(Type 3): ‘sorry’ 유형 283
4) 제4유형(Type 4): ‘able’ 유형 283
5) 제5유형(Type 5): ‘tough’ 유형 284
6) 제6유형(Type 6): ‘ready’ 유형 286
7) 제7유형(Type 7): ‘necessary’ 유형 289


2) to-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 {-(2)} 289
(1) 주어를 명시하지 않는 경우 {-②} 290
① 정형동사의 주어와 일치 시: 의무적 PRO 290
② 일반인 혹은 비확정 명사가 의미상의 주어일 경우: 자의적 PRO 290

(2) 주어를 명시하는 경우 (③?②?① 순서로 확인) {-③} 290
① for ~ to-부정사 {-I.} 291
A. 문장의 주어 자리에 사용 291
B. 부사용법 to-부정사절의 의미상의 주어 역할 292
C. 중요함이나 급박함을 나타내는 형용사 다음에 사용 292
D. 가능성, 난이(難易), 가치 판단을 나타내는 형용사 다음에 사용 293
E. 빈도를 나타내는 형용사 다음에 사용 293
F. 미래에 대한 개인의 마음을 나타내는 형용사 다음에 사용 294

G. 과잉비교(too ∼ for ∼ to-부정사)와 충분비교(enough ∼ for ∼ to-부정사) 구문 294
H. 특정 명사 다음에 사용 295
I. 특정 동사 다음에 사용 296
[NB] 추가 확인 사항 {-2.} 297
1. ‘걸리다, 소요되다’ 의미를 지닌 take의 6가지 구조 {-6)} 298
1) ‘가주어 it + take (+ person) + time ... + to-부정사’ 298
2) ‘가주어 it + take + time ... (for ∼) + to-부정사’ 298
3) It + take (+ person) + time + before/ until-절 298
4) activity(행위) + take (+ person) + time 299
5) person(사람) + take + time + to-부정사 299
6) object of activity(행위의 목적어) + take (+ person) + to-부정사 299
2. for ~ to-부정사 구문에 사용되는 허사 there와 it 300
② of ~ to-부정사 300
③ 목적격 {-B.} 301
A. ‘(대)명사 + to-부정사’ 구문 {-C)} 301
A) 인상동사: ‘생각?선언하다’ 계열 동사 301
B) 목적어 통제 동사 {-(B)} 302
(A) 이중타동사: 간접 지시 302
(B) 복합타동사: 광의의 사역동사 302
C) ‘원하다, 좋아하다’ 계열 동사 302
B. ‘(대)명사 + 원형부정사’ 구문 302
3) 부정사의 시간?상 {-(2)} 303
(1) 단순형: ‘(to) + 동사원형’ {-②} 303
① 정형동사의 시간과 일치하는 경우 303
② 비정형동사의 사건시간이 정형동사의 참조시간 보다 늦은 경우 303

(2) 복합형: 정형동사의 경우와 동일한 정의 적용304
① 진행상: ‘(to) + be + -ing’304
② 완료상: ‘(to) + have + pp’304
[NB] 추가 확인 사항: 과거 사실에 대한 반대 진술 {-3.} 305
1. 과거형 서법조동사 + have pp: 가상적 과거완료 306
2. 기대?소망 계열 동사를 활용하는 경우 306
3. was/ were to have pp 306

4) 부정사의 태(態: voice) {-(2)} 307
(1) 능동태 부정사: ‘(to +) 동사원형’307

(2) 수동태 부정사: ‘(to +) be pp’ 307

5) 분리부정사(Split infinitive) 308

저자소개

김성봉 (지은이)    정보 더보기
30년을 오로지 영어 강의.연구.집필에 투자해 온 사람입니다.. 교육 현장에서 수많은 학생들과 직접적인 접촉을 통하여, 한국 학생들의 영어 학습방법의 문제점과 그 들의 어려움을 절실히 느끼면서 영어를 필요로 하는 수많은 사람들을 위한 저서를 발간해오고 있습니다. 영어학 전공으로 문학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25년 넘는 기간 동안 토플, 토익, 텝스, 시사영어 등의 실용영어를 학원과 부산대학의 영어영문학과 및 언어학과에서 강의를 해왔습니다. 현 김성봉어학원 원장 현 한국영어학회 이사 현 한국언어과학회 이사 현 새한영어영문학회 평생회원 전 부산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강사 전 부산대학교 언어정보학과 강사 전 동의대학교 강사 전 동아대학교 강사 전 한보철강통역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