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만화 > 만화그리기와 읽기 > 만화비평/만화이론
· ISBN : 9791195788231
· 쪽수 : 236쪽
· 출판일 : 2018-04-20
책 소개
목차
저자 소개
들어가는 글
차례
1장 <ㄱ>
강경옥 | 강모림 | 강미정 | 강은영 | 강현준 고유리 | 권교정 | 권현수 | 김강원 | 김기혜 | 김나경 | 김대원 | 김동화 | 김미림 | 김미영 | 김민희 | 김숙 | 김숙희 | 김언형 | 김연주 | 김영희 | 김우현 | 김윤이 | 김은정 | 김은희 김지윤 | 김지은 | 김진 | 김혜련 | 김혜린
별책부록Ⅰ 공장만화
2장 <ㄴ-ㅅ>
나예리 | 노경해 | 노명희 | 노유경 | 노이정 도짱 | 문계주 | 문흥미 | 민애니 | 박경은 | 박무직 | 박상선 | 박소희 | 박은아 | 박연 | 박희정 | 백상은 | 서문다미 | 서윤영 | 서은진 | 서현주 | 석동연 | 송채성 | 신시하 | 신일숙 | 신지상·지오 | 심수정 | 심혜진
별책부록Ⅱ 순정만화 잡지
3장 <ㅇ>
양여진 | 어숙일 | 엄희자 | 여호경 | 오경아 | 우양숙 | 원수연 | 유시진 | 유진하 | 윤린 | 윤미경 | 윤지운 | 이강주 | 이경미 | 이경신 | 이명신 | 이미라 | 이빈 | 이상은 | 이선희 | 이소영 | 이시영 | 이애림 | 이영희 | 이유정 | 이은영 | 이은혜 | 이정애 | 이진경 | 이향우 | 이현숙 | 이혜순 | 이희정 | 임주연
별책부록Ⅲ 청소년보호법
4장 <ㅈ-ㅎ>
정혜나 | 조강연 | 조주희 | 지완 | 지혜안 | 차성진 | 채민 | 채안나 | 천계영 | 최경아 | 최인선 | 하성현 | 하시현 | 한미석 | 한승원 | 한승희 | 한혜연 | 함형숙 | 홍유진 | 황미나 | 황선나
주석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인간의 심리를 묘사하는 데 탁월한 재능을 지닌 작가. 박무직이 그 깊이에 충격을 받아 만화계에 입문했다고 고백했을 정도다. 《스타가 되고 싶어?》 같은 학원물이든, 《노말 시티》 같은 SF든, 특유의 감성으로 덤덤하니 섬세하게 이야기를 끌어간다. 관습에서 벗어난 캐릭터, 담백한 대사, 일상의 한 점에서 시작된 사고와 감정을 삶, 죽음, 존재, 신 등 근원적 질문으로까지 확장하는 능력이 정말 무시무시해서, 다소 취향을 타는 그림체까지 완벽하게 커버하고 있다.
-강경옥 편 중에서
만화/잡지/산업의 격변기에 발행된 《헬무트》의 운명은 향후 권교정 작품들이 맞는 운명의 예고편과 같았다. 1997년작 《어색해도 괜찮아》를 한번 보자. 호되게 입사식을 치른 뒤 권교정은 1997년 <메르헨, 백설공주의 계모에 관한>을 『이슈』『화이트』슈퍼만화대상에 출품해 가작에 당선된다. 이미 단행본을 냈는데도 공모전에 참여한 이유는, 큰 회사라면 상금과 고료를 잘 주겠지 싶어서였다. 이로써 활동방향을 잡지로 돌리나 싶었는데 웬걸. 그해 권교정은 《어색해도 괜찮아》를 '대화기획'에서 또! 낸다. 그래서 <피리 부는 사나이>처럼 동화를 자기 식으로 해석한 단편들을 잡지에 내는 ‘동시에’ 《어색해도 괜찮아》를 작업한다. 하지만 단행본 1권이 나왔을 때 출판사는 부도가 나고, 책은 또다시 절판된다. 이듬해 출판사 ‘만화세상’이 재발행을 하지만 3권까지 내고 다시금 중단. 결국 《어색해도 괜찮아》는 2001년 『쥬티』에 연재를 재개하면서 간신히 갈무리된다.
-권교정 편 중에서
1996년 『윙크』에서 시작한 《쿨 핫》은 1999년 돌연 중단되었다. 표면상의 이유는 “『나인』에 연재하는 《폐쇄자》에 집중하기 위해서”였다. 이후 2000년 ‘코믹스투데이’에서 재연재에 돌입했지만, 그해 불거진 ‘코믹스투데이 사태’로 인해 영영 미결로 남았다. 비슷한 시기, 역시 《폐쇄자》를 시작하면서 중단된 《신명기》도 같은 과정을 밟았다. 2003년 『오후』에 연재하던 《온》은 잡지가 폐간되며 중단되었다가, 2006년 ‘코믹뱅’을 새로운 연재처로 잡아 2007년 마무리했다. 그러나 나날이 좁아지는 입지, 개성을 발휘하기는커녕 생존조차도 어려운 현실, 반복되는 연재 중단의 상황은 유시진을 슬럼프로 몰아넣었다. -유시진 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