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이야기
· ISBN : 9791195977741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20-01-30
책 소개
목차
추천의 글
개정판 서문
초판 서문
PART 1_길고 넓게 봐야 제대로 보인다
경제학의 오류
PART 2_보이는 경제학 안 보이는 경제학
Lesson 01 깨진 유리창
유리창이 깨지면 돈과 일자리가 생긴다?
Lesson 02 파괴의 축복
전쟁이 경제적 발전을 가져올까?
Lesson 03 공공사업
공공사업은 세금을 의미한다
Lesson 04 세금
세금은 생산의욕을 감소시킨다
Lesson 05 정부신용
신용 제공은 생산의 방향을 바꾼다
Lesson 06 기계화와 자동화
기술이 실직을 부른다?
Lesson 07 일자리 창출 정책
근로시간을 단축하면 일자리가 늘어날까?
Lesson 08 공무원 감축
공무원은 ‘구매력’이 아니라 ‘유용성’으로 평가된다
Lesson 09 완전고용
완전고용보다 완전생산에 집중해야 한다
Lesson 10 관세보호
관세가 보호하는 것은 누구인가?
Lesson 11 수출 촉진 정책
무역의 이득은 수출보다 수입에 있다
Lesson 12 패리티가격
공평한 가격책정은 불가능하다
Lesson 13 산업 보존 정책
성장하는 산업, 쇠퇴하는 산업은 필수적이다
Lesson 14 가격체계
가격체계가 상품의 생산량을 결정한다
Lesson 15 상품 가격 안정화
가격 안정화 정책은 부와 자유를 제한한다
Lesson 16 정부의 가격통제
완벽하고 오래 지속되는 가격통제란 없다
Lesson 17 임대료 규제
규제가 엄격할수록 파괴적 효과가 초래된다
Lesson 18 최저임금법
최저임금법을 강화할수록 악영향이 커진다
Lesson 19 노동조합
노동조합이 실제로 임금인상을 가져오는가?
Lesson 20 적정임금
생산품을 되사기에 충분한 임금
Lesson 21 이윤의 기능
이윤이 상품 생산을 결정한다
Lesson 22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은 최악의 세금이다
Lesson 23 저축
저축을 많이 하면 경제가 잘 돌아기지 않는다?
Lesson 24 경제학 원리
결과를 추적하는 과학, 경제학
PART 3_더 늦기 전에
30년 후의 이야기
주
추천도서
리뷰
책속에서
오늘날 거의 모든 나라의 정부가 경제학 오류의 일부를 받아들여 경제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즉 경제정책을 수립하는 데 있어 경제학 오류에 영향을 받지 않은 국가는 없다. 경제학의 오류, 특히 그 오류의 근거가 되는 중심 논리를 상세하게 분석하는 것이 경제학을 이해하는 가장 빠르고 확실한 방법이다. _ <초판 서문> 중에서
나쁜 경제학자는 눈앞에 직접적으로 보이는 것에만 집중하고, 좋은 경제학자는 간접적이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고려한다. 나쁜 경제학자는 제안된 정책의 직접적인 결과에만 집중하지만, 좋은 경제학자는 더 장기적이고 간접적인 결과까지도 포함해서 연구한다. 나쁜 경제학자는 주어진 정책의 효과가 특정 집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만 집중하지만, 좋은 경제학자는 정책의 효과가 다수의 집단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서도 질문한다.
차이점은 아주 명백하다. 특정 경제정책이 다수에게 미치는 단기부터 장기까지의 영향을 주의 깊게 살펴보는 노력은 좋은 경제학자가 되기 위해 꼭 필요한 자질이다. _ part 1 <경제학의 오류> 중에서
정부 대출을 해야 한다는 제안은 B는 보지만 A를 잊어버리자는 제안이다. 그 제안은 혜택을 받는 사람에게는 관심을 갖지만, 정부 혜택으로 인해 자기가 얻을 수 있던 것을 얻지 못한 사람은 간과한다. 자본이 투여된 프로젝트에는 관심을 갖지만, 정부 관여로 자본을 빼앗긴 프로젝트는 잊는다. 한 집단이 받는 즉각적인 이익은 보지만, 다른 집단이 입는 손실과 지역사회 전체의 순손실은 간과한다.
민간 기업 및 개인에 대한 정부의 대출보증은 직접적인 정부 대출 사례보다 확연하게 드러나 보이지는 않지만, 거의 그만큼 강력하다. 정부의 대출보증을 옹호하는 사람들은 대출되는 것이 궁극적으로는 공급에 한계가 있는 실물자본이며, 눈앞에 보이는 B를 돕기 위해 정체불명의 A를 희생시키고 있다는 사실을 잊는다._ part 2 <Lesson 05 정부신용 | 신용 제공은 생산의 방향을 바꾼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