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사회/역사교육 전공
· ISBN : 9791196016319
· 쪽수 : 399쪽
· 출판일 : 2017-02-28
책 소개
목차
제1부 ― 사회과 수업의 이해와 구성
제1장 사회과 수업의 의미와 좋은 수업
Ⅰ. 사회과 수업의 의미와 관점
1. 수업의 의미
2. 학습자의 발달과 수업
3. 사회과 수업을 보는 관점
4. 사회과 수업의 원리와 방법
5. 사회과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Ⅱ. 좋은 수업을 향하여
1. 사회과 수업의 기본 문제
2. 좋은 수업의 평가 기준
3. 좋은 수업을 위한 조건
Ⅲ. 수업에서의 효과적인 대화와 발문
1. 수업에서의 대화
2. 수업에서의 발문
제2장 사회과 수업의 분류
1. 교수․학습의 기법, 방법, 모형
2. 사회과 수업의 분류 준거와 유형화
제3장 사회과 수업의 구성
1. 사회과 수업의 과정과 절차
2. 사회과 수업의 내적 구성 논리
제4장 사회과 수업의 설계와 계획
1. 사회과 수업의 설계
2. 사회과 수업의 계획과 준비
제2부 ― 사회과 수업의 방법
제5장 개념 학습
1. 개념의 정의와 기능
2. 개념의 성격과 종류
3. 개념 학습의 의미와 전략
4. 개념 학습의 유형
제6장 문제 해결 학습
1. 문제 해결 학습의 의미와 특징
2. 문제 해결 학습의 교수 원리
3. 문제 해결 학습의 교수․학습 과정
제7장 탐구 학습
1. 탐구 학습의 의미와 등장 배경
2. 탐구 학습의 교수 원리와 특징
3. 탐구 학습의 교수․학습 과정
제8장 의사 결정 학습
1. 의사 결정 학습의 의미
2. 의사 결정 학습의 유형
3. 의사 결정 전략과 한계
4. 의사 결정 학습의 실제
제9장 논쟁 문제 수업
1. 논쟁 문제 수업의 의미와 특징
2. 논쟁 문제 수업의 중요성
3. 논쟁 문제 수업에서 교사의 역할
4. 논쟁 문제 수업의 과정
제10장 협동 학습
1. 협동 학습의 의미와 특징
2. 협동 학습의 효과
3. 협동 학습의 관점
4. 협동 학습의 유형과 실제
제11장 가치 교육
1. 가치와 가치관
2. 가치 교육의 의미와 목표
3. 가치 교육의 종류
제12장 문제 중심 학습
1. 문제 중심 학습의 의미
2. 문제 중심 학습에서 ‘문제’의 특성
3. 문제 중심 학습의 절차와 적용
제13장 강의식 수업
1. 강의식 수업의 의미와 효과
2. 좋은 강의식 수업
제14장 토론 수업
1. 토론 수업의 의미
2. 토론 수업의 특징
3. 토론 수업의 유형
제15장 역할 놀이 및 시뮬레이션 학습
1. 역할 놀이 학습
2. 시뮬레이션 학습
제3부 ― 사회과 교사의 전문성! 수업에서 만나다
제16장 사회과 수업 개선의 일반 원리와 노력 중점
1. 수업 개선의 일반 원리
2. 사회과 교사의 수업 능력 향상을 위한 노력 중점
제17장 사회과 교사의 전문성 발달 기제: 수업 관찰 능력
1. 관찰 및 평가 주체로서 수업 실행자
2. 사회과 교사의 수업 관찰․평가 능력
부 록
∙ICT를 활용한 개념 학습(상황) 수업 사례
∙스탈의 에피소드 모형을 활용한 집단적 의사 결정 수업 사례
∙Pro-Con 모형을 활용한 수업 사례
∙합리적 의사 결정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 사례
∙시뮬레이션 학습을 활용한 수업 사례
■ 참고문헌
■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