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스마트시티 개발

스마트시티 개발

(지속가능한 스마트 커뮤니티 실현을 위한 스마트시티 개발)

Shinji Yamamura (지은이), 박진아, 안세윤, 정용진 (옮긴이)
패러다임
3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4,200원 -10% 0원
1,900원
32,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스마트시티 개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스마트시티 개발 (지속가능한 스마트 커뮤니티 실현을 위한 스마트시티 개발)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건축공학 > 건축사/건축일반
· ISBN : 9791196309015
· 쪽수 : 270쪽
· 출판일 : 2018-12-15

책 소개

스마트기술의 신규성 여부가 아닌, 우리 생활자가 어떻게 살아가고 싶은가, 어떠한 삶을 사는 것이 진정좋은 것인가 등 그랜드 디자인부터 생각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인지 여부를 판명할 필요가 있다고 기술하고 있다.

목차

SMART CITY VOICES - 스마트시티, 어떻게 만들 것인가
PROLOGUE - '스마트'를 키워드로 하는 '지역구축'

ONE - 도시의 현황: 계속해서 팽창하는 도시와 성숙을 넘어선 도시

1.1 세계적인 도시인구의 집중
1.2 증가하는 에너지 수요
1.3 고령화되는 도시
Chapter 1. Current Status of Cities - Swelling Cities and Over-maturing Cities

TWO - 스마트화란 무엇인가?
2.1 스마트화의 개념 정리
2.2 스마트시티에 관한 시책 수립
2.3 도시 및 커뮤니티의 스마트화
2.4 스마트화의 최근 표준화 움직임에 대해
Chapter 2. What is Smartization?

THREE - 스마트시티 검토 프로세스
3.1 스마트시티 개발 현황
3.2 스마트시티 실현을 위한 종합적 검토 프로세스
3.3 스마트화 구현을 위한 사업의 추진방식
Chapter 3. Review Process of Smart Cities

FOUR - 스마트시티 기술의 도입 계획 [1]
4.1 에너지 자립형 건축을 위한 라이프스타일
4.2 에너지 자립형 건축을 실현하는 메소드
4.3 에너지 자립형 건축의 비용 평가
Chapter 4. Deployment Plan for Smart City Technologies [1]

FIVE - 스마트시티 기술의 도입 계획 [2]
5.1 상하수도 계통 인프라
5.2 폐기물처리 계열 인프라
5.3 인프라로서의 녹지 및 수변공간
5.4 교통 인프라(도로, 공공교통, 자동차)
5.5 ICT 계통 인프라
Chapter 5. Deployment Plan for Smart City Technologies [2]

에필로그
옮긴이의 글 Smart Cities - What's In It For Citizens?

저자소개

Shinji Yamamura (지은이)    정보 더보기
Born 1962 in Japan. Completed the master's program at the University of Tokyo. Graduate School of Architecture. Joined Nikken Sekkei in 1989. Executive General Manager. Principal Consultant of Nikken Sekkei Research Institute (NSRI) since 2006. Major contributions: Environmental equipment and design for Sitama Super Arena, Tokyo Midtown, and Sagamihara Campus of Aoyama Gakuin University. Environmental planning for Wind Path at Osaki Think Park and Iidabashi I-Garden. Planning and evaluaation of low carbon and smart cities including Tianjin Yujiapu Financial District and Samui Island Smart Grid (Thailand). Qualification: Ph.D. in Engineering. Professional Engineer (Sanitary Engineering). Registered Small and Medium Enterprise Consultant.
펼치기
박진아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밭대학교 사용자 중심 스마트시티 리서치 클러스터(User-centered Smart Cities Research Cluster) 산학협력중점교수로 재직중이며, 일본교토대학대학원 공학연구과 건축학 전공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한국퍼실리티매니지먼트학회 FM이노베이션랩 연구소장, 국민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축도시연구소, 성균관대학교 창의적디자인연구소(Creative Design Institute), 국민대학교 동양문화디자인연구소(Oriental Culture & Design Center) 에서 연구와 교육을 수행했다. 역서 및 편저로는 프리패브 건축-모듈러 설계 및 건축 가이드, 착한 건축-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도시를 위한 에너지 자립형 건축, BIM 기반 시설물 유지관리 (시설물 관리자 및 실무자를 위한), 리파이닝 건축 수법 -건축물의 장수명화를 위한 설계, 도시·건축 감성디자인공학 (KANSEI DESIGN ENGINEERING), 동양문화 가치와 디자인적 실천, EARCHING FOR DESIGN IDENTITY- KOREA, CHINA, JAPAN 등이 있다. 주된 연구경력으로는 온톨로지 기반 설계지식표현 표준화, 사용자행동패턴연구, 감성공학시스템개발, 워크플레이스의 에너지절감과 지적활동의 활성화 기술개발, 제품-서비스 통합시스템 디자인 기술개발, 동양문화디자인연구, 한옥기술개발, 장수명 공동주택 기술개발, 퍼실리티매니지먼트 표준개발, 스마트시티 기술개발연구 등이 있다. 주된 연구 영역은 스마트시티, 환경심리행태학, 공간디자인학, 재생건축과 친환경 디자인, 감성디자인, 퍼실리티 메니지먼트(FM)이다.
펼치기
안세윤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밭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교수이며, 한밭대학교 부설 연구소인 UCRC 연구소 소장이다.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학사) 및 연세대학교 디자인경영 석사, 연세대학교 실내건축학과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엔씨소프트 디자인파트장, 디씨스넷 대표로 디자인 실무를 경험했다. “서울시 성산로 디자인거리사업”(2009)과 국토부 “한 스타일 개발을 통한 한옥모델 개발 연구”(2013)에 참여했고, 현재 국가 U시티 R&D인 국토부 U시티 공간 계획 및 설계기술 개발 연구에 참여하고 있다. 공간 디자인 설계 및 인간 감성을 중심으로 한 UX 디자인 및 서비스 디자인과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상업공간 디지털 미디어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2017), “지역커뮤니티를 위한 ICT 기반의 커뮤니티센터 디자인에 관한 연구”(2016), “A Study of Media Facade Service Design for Promotion of Local Community”(2016), “페르소나 유형을 적용한 주거지형 U-City 체험지구 사용자 시나리오 개발”(2015), “Developing a Brand for Modernized Korean Housing Architecture on the Basis of the Brand Design Process Model”(2013)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정용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청운대학교 융합기술경영학부 ICT디자인전공(School of Integrated Technology & Entrepreneurship) 교수로 재직 중이며, 홍익대학교 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제품. 운송 전공에서 석사 학위 취득 후 박사과정 중이다. (주)태훈 중국 칭따오 지사 개발실 선임디자이너, 산업디자인 전문회사 앱솔루트디자인 디자인실장, 패러다임 대표를 역임하였다. 주된 연구경력으로는 2017 대전광역시 국민디자인단 서비스디자이너, 2015 세종특별자치시 국민디자인단 서비스디자이너, 2014 법무부 CPTED 시범사업 조명계획(대전, 논산, 여주, 구리) 2010 제주 색채 가이드라인 연구 외 150여건의 제품 디자인 개발 등이 있다. 주된 연구 영역은 서비스디자인(Service Design), 사용자 중심 디자인(User-centered Design), 서비스 로봇 디자인(Service Robot Design), 제품디자인(Product Design)이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