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프로그래밍 개발/방법론 >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 > Oracle
· ISBN : 9791196319212
· 쪽수 : 742쪽
· 출판일 : 2018-03-30
책 소개
목차
01 엔터티 이야기
1.1. 집합과 엔터티
1.2. 엔터티에 대한 서설
1.3. 엔터티 정의가 왜 중요한가?
1.4. 엔터티 분류법
1.5. 엔터티 정의 방법 - 보이는 것인가?
1.6. 엔터티 정의 방법 - 스스로 존재하는가?
1.7. 종속 엔터티의 종류
1.8. 모델(ERD)과 메타 시스템의 속성 설명
1.9. 엔터티 정의 방법 - 원천 데이터인가?
1.10. 데이터 본질에 따른 엔터티 분류법 - 실체곀敾쭅가공겚誰?
1.11. 실체 엔터티란?
1.12. 행위 엔터티란?
1.13. 가공 엔터티란?
1.14. 기준 엔터티란?
1.15. 엔터티 정의 방법 - 데이터 생성에 따른 분류법
1.16. 엔터티 정의 방법 - 엔터티 유형에 따른 분류법
1.17. 교차 엔터티란?
1.18. 엔터티 설계 원칙
1.19. 엔터티 명은 어떻게 정하는가?
1.20. 다양한 엔터티에 대한 명명법
1.21. 엔터티 설명은 어떻게 기술하는가?
1.22. 개념 모델에 포함하는 주요 엔터티란?
1.23. 엔터티 정의의 또 다른 이름 - 업무 식별자
1.24. 업무 식별자 도출 방법
1.25. 업무 식별자 표현 방법
1.26. 데이터 모델을 검증할 수 있는가?
1.27. 엔터티 검증
1.28. 데이터 모델 설계 원칙
1.29. 무결성에 대해서
1.30. 성능에 대해서
02 정규화 이야기
2.1. 정규화에 대한 서설
2.2. 정규화란?
2.3. 함수 종속이란?
2.4. 결정자와 종속자
2.5. 함수 종속과 폐포
2.6. 함수 종속과 정규화
2.7. 그냥 릴레이션과 비정규형 릴레이션
2.8. 등산과 정규화
2.9. 정규화를 하면 좋아지는 게 무엇인가?
2.10. 아노말리란?
2.11. 정규형의 종류
2.12. 1정규화와 원자 값
2.13. 1정규화의 대상
2.14. 1정규형과 비정규형
2.15. 반복 속성으로 인한 1정규형 위반 사례
2.16. 2정규형
2.17. 2정규형 위반인가?
2.18. 3정규형
2.19. BC정규형
2.20. 4정규형
2.21. 5정규형
2.22. 정규화 요약
2.23. 3정규화까지만 수행하면 된다?
2.24. 정규형과 성능
03 데이터 통합과 서브타입 이야기
3.1. 데이터 통합에 대한 서설
3.2. 일반화와 상세화
3.3. 데이터 통합과 엔터티 통합
3.4. 통합이 대세인가?
3.5. 어떤 경우에 통합을 고려하는가?
3.6. 통합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3.7. 데이터 통합이 어려운 또 다른 이유
3.8. 데이터 주제 영역이란?
3.9. 주제 영역 설계 방법
3.10. 데이터 오너십과 모델 오너십
3.11. 데이터 통합의 시발점
3.12. 데이터 통합과 정규화
3.13. 통합과 합체
3.14. 주 식별자가 다른 엔터티의 통합
3.15. 서브타입에 대한 서설
3.16. 서브타입과 부분집합
3.17. 서브타입은 어떻게 도출하는가?
3.18. 왜 서브타입을 사용하는가?
3.19. 한 엔터티에 서브타입이 여러 개 존재한다?
3.20. 서브타입과 코드
3.21. Is-A 서브타입과 Part-Of 서브타입
3.22. 배타 서브타입과 중복 서브타입
3.23. 배타 서브타입과 이력 데이터
3.24. 중복 서브타입에 대한 설계
3.25. 중복 서브타입의 주의점
3.26. 완전 서브타입과 불완전 서브타입
3.27. 서브타입과 슈퍼타입의 관계
3.28. 서브타입의 오해 - 슈퍼타입과 서브타입은 부모 자식 관계다
3.29. 슈퍼타입·서브타입 논리 모델의 물리 모델 변환
3.30. 서브타입 모델의 물리 모델 변환 - 서브타입별로 엔터티 분할
3.31. 서브타입 모델의 물리 모델 변환 - 슈퍼타입 엔터티로 통합
3.32. 서브타입 모델의 물리 모델 변환 - 슈퍼타입·서브타입 개별 생성
3.33. 서브타입 모델의 물리 모델 변환 - 슈퍼타입·서브타입 개별 생성(배타 관계)
3.34. ERWin 툴의 서브타입 표기법
3.35. 중첩 서브타입
3.36. 서브타입 간의 관계 표현법
3.37. 잘못된 서브타입
3.38. 범주에 대해서
04 속성 이야기
4.1. 속성에 대한 서설
4.2. 식별자 속성과 비식별자 속성
4.3. 식별자 종류 - 후보 식별자
4.4. 식별자 종류 - 주 식별자
4.5. 주 식별자가 바뀌는 현상
4.6. 어떤 속성을 주 식별자로 선택해야 하는가?
4.7. 주 식별자를 단순하게 설계해야 하는 이유
4.8. 주 식별자 선정 절차
4.9. 복잡한 주 식별자
4.10. 복합 주 식별자의 속성 순서
4.11. 교차 엔터티의 주 식별자
4.12. 사원 엔터티의 주 식별자와 사원의 정의에 대해서
4.13. 식별자 종류 - 인조 식별자
4.14. 인조 식별자를 사용해야 좋을 때
4.15. 업무 식별자와 인조 식별자의 혼합
4.16. 부분 인조 식별자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
4.17. 식별자 종류 - 대리 식별자
4.18. 식별자 종류 - 슈퍼 식별자
4.19. 속성 종류 - 기초 속성
4.20. 속성 종류 - 관계 속성
4.21. 속성 종류 - 추출 속성
4.22. 속성 종류 - 시스템 속성
4.23. 추출 속성의 종류 - 중복 속성
4.24. 시점 데이터가 중복 속성이다?
4.25. 중복 속성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
4.26. 단일 값 속성과 다가 속성
4.27. 단순 속성과 복합 속성
4.28. 필수 속성과 선택 속성
4.29. 배타 속성
4.30. 코드 속성과 비코드 속성
4.31. 일반 코드와 식별자 코드
4.32. 식별자 코드와 일반 코드의 관리
4.33. 식별자 코드와 일반 코드의 상호 변환
4.34. 통합 코드로 설계할지 개별 엔터티로 설계할지?
4.35. 코드 속성의 명명법
4.36. 코드 인스턴스 설계 원칙
4.37. 코드를 사용하는 용도
4.38. 코드 엔터티와 참조 무결성 관계
4.39. 통합 코드 엔터티와 개별 코드 엔터티
4.40. 일반적인 코드 모델
4.41. 전체 코드의 부분집합을 관리하는 모델
4.42. 코드 값 간 관계를 관리하는 코드 모델
4.43. 출력 순서를 관리하는 코드 모델
4.44. 코드 모델의 이력 관리
4.45. 속성 명은 어떻게 정하는가?
4.46. 속성 설명
4.47. 속성 표준화
4.48. 도메인
4.49. 데이터 타입 선정 원칙과 절차
4.50. 널에 대한 서설
4.51. 널과 DBMS와 인덱스
4.52. 널 특징과 사용법
4.53. 속성 검증
05 관계 이야기
5.1. 관계에 대한 서설
5.2. 관계선이 의미하는 것
5.3. 관계를 설계할 때 고려할 사항
5.4. 참조 무결성
5.5. 기준 엔터티의 참조 무결성
5.6. 종속 관계와 참조 관계
5.7. 식별 관계와 비식별 관계
5.8. 종속·참조 관계와 식별·비식별 관계
5.9. 식별 관계와 비식별 관계를 채택하는 예외 경우
5.10. 관계 속성과 관계 엔터티
5.11. 관계 엔터티의 특징
5.12. 관계 엔터티 선택 기준
5.13. 관계선의 구성 요소
5.14. 관계 구성 요소 - 관계비
5.15. 관계비 분석 방법
5.16. 관계 구성 요소 - 관계 존재성
5.17. 상위 엔터티의 관계 존재성
5.18. 관계비와 관계 존재성의 표기법
5.19. 관계 존재성과 관계 속성의 널 제약
5.20. 관계 구성 요소 - 관계 참여수
5.21. 관계 참여수와 주 식별자
5.22. 관계 참여수와 연관된 다앙한 설계 방법
5.23. 관계 명
5.24. 관계 명 붙이는 방법
5.25. 관계 명이 필요할 때와 필요 없을 때
5.26. 일대일 관계
5.27. 일대일 관계와 이력 데이터
5.28. 배타 관계
5.29. 주 식별자가 다른 엔터티의 배타 관계
5.30. 재귀 관계
5.31. 재귀 관계의 관계비
5.32. 재귀 관계에서의 데이터 발생 규칙
5.33. 분류 계층 모델
5.34. 추출 관계
5.35. 양방향 관계
5.36. 잘못 설계한 관계선
5.37. 잘못 설계한 관계선의 다양한 예제
5.38. 관계 검증
06 이력 데이터 이야기
6.1. 이력 데이터에 대한 서설
6.2. 이력 데이터와 내역 데이터
6.3. 이력 엔터티 설계 시점
6.4. 이력 데이터를 설계하는 방법
6.5. 이력 데이터를 설계하는 첫 번째 방법
6.6. 이력 데이터를 설계하는 두 번째 방법
6.7. 이력 데이터를 설계하는 세 번째 방법
6.8. 이력 데이터를 설계하는 네 번째 방법
6.9. 속성 단위의 이력 모델과 추출 속성
6.10. 속성 그룹 단위로 이력 데이터를 설계하는 예제
6.11. 이력 데이터를 설계하는 다섯 번째 방법
6.12. 이력 데이터를 종 테이블로 설계하는 다양한 방법
6.13. 함께 변경된 속성을 알아야 할 때
6.14. 선분이력
6.15. 선분이력의 종료일자
6.16. 기간을 의미하는 종료 일자
6.17. 이력 엔터티의 주 식별자
6.18. 이력 엔터티 설계 절차
6.19. 서브타입의 이력 모델
6.20. 정정 데이터
07 비정규화 이야기
7.1. 비정규화에 대한 서설
7.2. 비정규화 원칙
7.3. 비정규형의 단점
7.4. 비정규화 과정
7.5. 비정규화 방법 - 역정규화
7.6. 비정규화 방법 - 엔터티 합체
7.7. 비정규화 방법 - 엔터티 분해
7.8. 비정규화 방법 - 요약 엔터티
7.9. 비정규화 방법 - 추출 속성
7.10. 이전 값을 관리하는 모델을 설계하는 방법
7.11. 비정규화 방법 - 추출 엔터티
7.12. 비정규화 방법 - 반복 속성
7.13. 비정규화 방법 - 중복 데이터
참고 문헌
용어 대역표 I 약어 목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