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공무원 수험서 > 7/9급 공무원 > 국어 > 7/9급 기본서 및 부교재
· ISBN : 9791196820190
· 쪽수 : 958쪽
· 출판일 : 2021-05-07
책 소개
목차
^^문법편^^
CHAPTER 01 단어의 갈래
01 단어와 품사 / 12
02 단어의 분류 / 12
03 주의해야 하는 품사 / 13
04 품사의 통용 / 20
✚ 기출문제 / 26
CHAPTER 02 용언의 활용
01 어간과 어미 / 28
02 어미의 종류 / 28
03 본용언과 보조 용언 / 31
04 규칙 활용과 불규칙 활용 / 33
05 주의해야 하는 용언의 활용 / 37
✚ 기출문제 / 40
CHAPTER 03 단어의 짜임
01 형태소 / 42
02 단어의 짜임 / 43
03 파생어(어근+접사) / 43
04 합성어 / 48
05 직접 구성 성분 / 49
✚ 기출문제 / 50
CHAPTER 04 띄어쓰기
01 붙여 쓰는 경우 / 54
02 띄어 쓰는 경우 / 56
03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 / 57
04 본용언+보조 용언 / 59
05 인명 / 60
06 단음절로 된 단어가 연이어 나타날 적에는 붙여 쓸 수 있다. / 60
07 고유 명사(성명 제외) / 60
08 전문 용어 / 60
09 한번 vs 한 번 / 61
10 이외 vs 이 외 / 61
11 안 되다/안되다, 못 되다/못되다, 못 쓰다/못쓰다 / 62
12 못하다 / 62
13 단어와 구 / 63
✚ 기출문제 / 64
CHAPTER 05 음운과 음절
01 음향과 음성 / 68
02 음운의 개념 / 68
03 음운의 종류 / 69
04 음운의 개수 / 72
05 음절 / 73
✚ 기출문제 / 74
CHAPTER 06 표준 발음
01 표준 발음법 / 76
02 발음상의 음운의 변동 / 76
03 음의 길이 / 81
✚ 기출문제 / 82
CHAPTER 07 로마자 외래어 표기법
01 로마자 표기법 / 86
02 외래어 표기법 / 88
✚ 기출문제 / 98
CHAPTER 08 맞춤법
01 어법에 맞게 쓴다. / 100
02 음운의 변동 / 104
03 ‘이’와 ‘히’ / 105
04 ‘쟁이’와 ‘장이’ / 106
05 ‘구절’과 ‘귀절’ / 106
06 수컷을 이르는 말 / 106
07 ‘왠’과 ‘웬’ / 106
08 ‘-어라’와 ‘-(으)라’ / 106
09 서수사의 표기 / 106
10 추가된 표준어 / 107
11 알아두면 좋은 표준어 / 112
12 혼동하기 쉬운 맞춤법 / 134
13 한글 맞춤법 어문 규정 / 146
✚ 기출문제 / 170
CHAPTER 09 문장의 짜임
01 문장의 개념과 특징 / 174
02 홑문장과 겹문장 / 174
03 문장 성분 / 174
04 문장의 확대 / 177
✚ 기출문제 / 180
CHAPTER 10 문법 요소의 이해
01 높임 표현 / 182
02 피동 표현 / 184
03 사동 표현 / 185
04 부정 표현 / 187
05 시제 / 188
✚ 기출문제 / 190
CHAPTER 11 자연스러운 문장
01 문장 성분 갖추기 / 194
02 문장 성분 간의 호응 / 195
03 대등한 구조에 어긋난 문장 / 199
04 시제의 호응 / 200
05 의미 관계의 오류 / 201
06 우리말답지 않은 표현 / 201
07 불필요한 말이 중복된 경우 / 202
✚ 기출문제 / 206
CHAPTER 12 언어와 국어
01 음성 언어와 문자 언어 / 210
02 언어의 기호적 특성 / 210
03 언어의 분류 / 212
04 문자의 종류 / 213
05 언어의 기능 / 213
06 직접발화와 간접발화 / 213
07 언어와 사고, 사고 문화 / 214
08 국어의 특질 / 214
09 남북한의 언어 차이 / 215
✚ 기출문제 / 218
CHAPTER 13 문장 부호
01 마침표( . ) / 220
02 물음표(?) / 221
03 느낌표(!) / 222
04 쉼표( , ) / 223
05 가운뎃점(·) / 225
06 쌍점( : ) / 226
07 빗금( / ) / 226
08 큰따옴표(“ ”) / 227
09 작은따옴표(‘ ’) / 227
10 소괄호[( )] / 228
11 중괄호({ }) / 228
12 대괄호([ ]) / 229
13 겹낫표(『 』)와 겹화살괄호(≪ ≫) / 229
14 홑낫표(「 」)와 홑화살괄호(< >) / 230
15 줄표(―) / 230
16 붙임표( - ) / 230
17 물결표(~) / 231
18 드러냄표( ˙ )와 밑줄(___) / 231
19 숨김표(○, ×) / 231
20 빠짐표(□) / 232
21 줄임표(……) / 232
✚ 기출문제 / 234
CHAPTER 14 고전 문법
01 고전 문법 한눈에 보기 / 236
02 국어사의 시대 구분 / 238
03 고대 국어 / 238
04 중세 국어 / 241
05 근대 국어 / 243
06 훈민정음(訓民正音) / 245
07 종성 표기법과 표기 방식 / 251
08 적기 법칙 / 252
09 초성 체계의 변천 / 252
10 중성 체계의 변천 / 252
11 관형격 촉음(=사잇소리)의 용례 / 253
12 음운의 변천 / 254
13 단어 / 261
14 문장 / 265
15 주요 지문 분석 / 268
✚ 기출문제 / 280
^^문학편^^
^^국어문학
CHAPTER 01 문학 일반
01 문학의 특성 / 14
02 문학의 기능 / 14
03 문학의 갈래 / 15
04 문학의 가치 / 18
05 문학 작품을 해석하는 관점 / 19
CHAPTER 02 현대 문학사
01 개화기~1910년대 / 22
02 1920년대 / 25
03 1930년대~1945년(일제 말기) / 27
04 1945년~1950년(해방기) / 29
05 1950년대(전후 문학) / 30
06 1960년대 / 31
07 1970년대 / 32
08 1980년대 / 33
09 1990년대 / 34
CHAPTER 03 운문
01 시 이론 / 35
02 작품의 이해 / 39
진달래꽃 / 39
접동새 / 40
님의 침묵 / 41
나룻배와 행인 / 42
향수 / 43
그 날이 오면 / 45
유리창 1 / 46
거울 / 47
모란이 피기까지는 / 48
독(毒)을 차고 / 49
모닥불 / 50
여승 / 51
깃발 / 52
바다와 나비 / 53
승무 / 54
봉황수(鳳凰愁) / 56
절정 / 57
광야 / 58
서시 / 59
쉽게 씌어진 시 / 60
은수저 / 61
귀촉도 / 62
그리움 / 63
해 / 64
초토의 시 / 65
눈 / 66
폭포 / 67
새 / 68
하관 / 69
이별가(離別歌) / 70
껍데기는 가라 / 71
풀 / 72
추천사 / 73
성북동 비둘기 / 74
농무 / 75
목계장터 / 77
귀천 / 78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 79
CHAPTER 04 산문
01 소설 / 80
혈의 누 / 86
무정 / 87
만세전 / 88
운수 좋은 날 / 89
삼대 / 91
봄·봄 / 92
날개 / 94
메밀꽃 필 무렵 / 95
치숙 / 96
오발탄 / 97
광장 / 99
모래톱 이야기 / 101
난쟁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 103
주요 현대 소설 줄거리 / 105
02 수필 / 122
그믐달 / 124
은전 한 닢 / 125
무소유 / 127
03 극 / 129
원고지 – 이근삼(1960) / 132
CHAPTER 05 고전 문학
01 고전 시가 / 134
구지가(龜旨歌) / 136
해가(海歌) / 136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 / 137
황조가(黃鳥歌) / 137
정읍사(井邑詞) / 138
서동요(薯童謠) / 141
처용가(향가) / 142
안민가 / 143
제망매가(祭亡妹歌) / 144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 145
정과정(鄭瓜亭) / 147
가시리 / 148
서경별곡 / 149
동동(動動) / 150
청산별곡 / 152
정석가 / 153
한림별곡(翰林別曲) / 156
구름이 無心탄 / 159
白雪이 진 / 159
興亡이 有數니 / 159
방 안에 혓는 촉불 / 160
간 밤의 우던 여흘 / 160
천만 리 머먼 길에 / 160
가노라 三角山(삼각산)아 / 160
견회요(遣懷謠) / 161
녹이상제 지게 / 161
십년 온 칼이 / 161
삭풍은 나모 긋 불고 / 162
적토마 살디게 먹여 / 162
눈 마 휘여진 / 162
이 몸이 죽어죽어 / 162
수양산 바라보며 / 163
가마귀 눈비 마자 / 163
이시렴 브디 갈 / 163
삼동에 뵈옷 닙고 / 163
녹초 청강상에 / 164
말 업슨 청산이요 / 164
추강에 밤이 드니 / 164
십년을 경영여 / 164
대쵸 볼 불근 골에 / 165
집방석 지마라 / 165
江山(강산) 죠흔 景(경)을 / 165
草庵(초암)이 寂寥(적료) / 165
백구(白鷗)야 말 물어 보자 / 166
田園(전원)에 나믄 興(흥)을 / 166
오우가(五友歌) / 166
매화사(梅花詞) / 168
강호사시가(江湖四時歌) / 169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 170
만흥(漫興) / 173
春山에 눈녹인 / 174
손에 막 잡고 / 174
산은 녯 산이로되 / 174
청산리 벽계수야 / 174
盤中(반중) 早紅(조홍)감이 / 175
노래 삼긴 사 / 175
한숨아 셰한숨아 / 175
논 밭 갈아 기음 매고 / 176
훈민가(訓民歌) / 176
고산구곡가(高山九曲歌) / 177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 / 179
梨花에 月白고 / 182
청산(靑山)은 내 뜻이오 / 182
동지ㅅ 기나긴 밤을 / 182
어져 내일이야 / 182
음이 어린 후ㅣ니 / 183
묏버들 것거 / 183
이화우 흣뿌릴 제 / 183
귀리 져 귀리 / 184
나모도 돌도 바히 없슨 / 184
서방님 病(병) 들여 두고 / 184
바람도 쉬어 넘난 고개 / 185
가버슨 兒孩(아해)ㅣ들리 / 185
宅(댁)들에 동난지이 사오 / 185
싀어마님 며라기 낫바 / 186
갓나희들이 여러 층이오레 / 186
개를 여남은이나 / 186
개야미 불개야미 / 187
대천 바다 한가운데 / 187
굼벙이 매암이 되야~ / 188
두터비 파리를 물고 / 188
상춘곡 / 191
관동별곡 / 193
사미인곡 / 200
속미인곡 / 203
규원가 / 206
선상탄 / 209
누항사(陋巷詞) / 212
송인(送人) / 217
봄비 / 217
부벽루 / 218
사리화 / 219
탐진촌요 / 219
어사시 / 219
보리타작[打麥行] / 220
절명시 / 221
용비어천가 / 223
강촌(江村) / 225
시집살이 노래 / 227
02 고전 산문 / 228
단군신화 / 230
주뢰설 / 232
경설(鏡說) / 233
슬견설(虱犬說) / 234
이옥설(理屋說) / 236
차마설(借馬說) / 237
공방전 / 239
국선생전(麴先生傳) / 241
호질 / 246
주요 고전 소설 줄거리 / 249
흥보가 / 259
봉산 탈춤 / 262
일야구도하기(一夜九渡河記) / 264
통곡할 만한 자리(好哭場記) / 266
규중칠우쟁론기 / 268
^^국어비문학^^
CHAPTER 01 글의 종류
01 설명문 / 274
02 논설문 / 275
03 광고문 / 276
04 기사문 / 276
05 전기문 / 277
06 기행문 / 278
CHAPTER 02 독해의 원리
01 독해의 원리 / 279
02 연결 고리를 통한 독해 / 279
03 불필요한 내용을 활용한 독해 / 281
CHAPTER 03 독해의 유형
01 사실적으로 읽기 / 285
02 추리하며 읽기 / 290
03 논리적으로 읽기 / 294
CHAPTER 04 화법
01 말하기 일반 / 300
02 토의 / 302
03 토론 / 302
CHAPTER 05 작문
01 개요 수정 / 305
CHAPTER 06 비문학 주요 지문
01 기미 독립 선언서(己未獨立宣言書) / 308
02 나의 소원 / 322
03 민족 문화의 전통과 계승 / 326
04 유재론(遺才論) / 330
05 기예론 / 333
06 황소개구리와 우리말 / 337
^^어휘편^^
Ⅰ 어휘 편
CHAPTER 01 어휘의 체계와 양상
01 어휘의 체계 / 10
02 어휘의 양상 / 12
03 의미의 변화 / 14
04 순화어 / 16
✚ 기출문제 / 28
CHAPTER 02 고유어
01 사람과 관련된 고유어 / 30
02 성격을 나타내는 고유어 / 33
03 사물과 관련된 고유어 / 35
04 날씨와 관련된 고유어 / 35
05 ‘시간’을 나타내는 고유어 / 36
06 ‘처음’과 관련된 고유어 / 37
07 ‘소리’와 관련된 고유어 / 37
08 ‘잠’과 관련된 고유어 / 37
09 ‘인색함’과 관련된 고유어 / 38
10 ‘탕진’과 관련된 고유어 / 38
11 ‘넉넉함’과 관련된 고유어 / 38
12 ‘총알’과 관련된 고유어 / 39
13 ‘논’과 관련된 고유어 / 39
14 음식과 관련된 고유어 / 39
15 신체와 관련된 고유어 / 40
16 ‘길’과 관련된 고유어 / 40
17 문학 지문 속 고유어 / 41
18 알아두면 좋은 고유어 / 46
19 구별해서 써야하는 우리말 / 65
✚ 기출문제 / 74
CHAPTER 03 관용 표현
01 관용 표현 / 76
02 주제별 관용어와 속담 / 76
03 신체 관련 관용어 / 80
04 알아두면 좋은 속담 / 84
✚ 기출문제 / 112
CHAPTER 04 지식 어휘
01 단위어 / 116
02 친족어 / 117
03 직장 및 사회에서의 호칭 및 지칭 / 123
04 인사말 / 124
✚ 기출문제 / 126
CHAPTER 05 중의적 표현
01 어휘적 중의성 / 128
02 구조적(통사적) 중의성 / 128
03 비유적 중의성 / 130
04 중의성의 해소 방법 / 131
05 모호한 표현 / 131
06 주요 기출 동음이의어와 다의어 / 131
✚ 기출문제 / 150
CHAPTER 06 의미 관계
01 유의 관계 / 152
02 반의 관계 / 153
03 상하 관계 / 154
✚ 기출문제 / 156
Ⅱ 한자 편
CHAPTER 01 한자성어
01 유교 / 160
02 학문·학업, 면학, 독서·책 / 162
03 은혜, 무례함 / 163
04 노력, 성공 / 164
05 실패, 실수, 늦음, 헛됨 / 165
06 지혜, 재주 / 167
07 성격 / 167
08 감정 / 168
09 준비, 기다림, 질서 / 170
10 처지 / 170
11 망설임, 근심·걱정, 결정 / 173
12 오해, 속임, 다툼, 모순 / 173
13 사람 / 175
14 판단, 평가 / 178
15 무질서, 흩어짐, 이동, 단절 / 179
16 정치 / 180
17 어리석음 / 181
18 말과 글 / 183
19 변화와 일관성 / 185
20 겉과 속이 같음/다름 / 187
21 자연, 계절 / 187
22 가르침 / 188
23 협동, 믿음, 신뢰, 양심 / 189
24 비교, 대조 / 190
25 주객전도, 지나침 / 191
26 시간 / 192
27 이익과 재앙 / 192
28 기회, 기세 / 193
29 거리, 양 / 194
30 음식 / 194
31 원인과 결과 / 194
32 성찰 / 195
33 균형, 평등 / 195
34 사상, 덕목 / 195
35 그 밖의 한자성어 / 195
✚ 기출문제 / 198
CHAPTER 02 한자어
01 나이 / 202
02 10간(十干)과 12지(十二支) / 203
03 날짜 / 203
04 주요 산 이름 / 203
05 우리나라의 별칭 / 204
06 절기 / 205
07 의미 관계 / 206
08 구별하여 사용해야 하는 한자어 / 235
09 의미상 주의해야 하는 한자어 / 265
10 주요 한자 어휘 / 266
✚ 기출문제 / 3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