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91196902117
· 쪽수 : 299쪽
· 출판일 : 2022-03-07
목차
01 국제관계의 현안
이강국 중국의 세 번째 역사결의 내용과 함의 3
손선홍 독일 정치변화를 예고한 총선 10
장시정 독일 총선과 메르켈 시대의 종언 16
연상모 중국 공산당의 특권계급화 23
조원호 왜 아프리카에서 쿠데타가 빈번한가? 29
연상모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철수와 한ㆍ 미동맹 34
이강국 탈레반의 아프간 복귀와 한국의 대응 41
송금영 미ㆍ 러 정상회담 평가와 양국관계 전망 47
엄석정 중국의 ‘일대일로구상’ 중간 평가와 전망 53
손선홍 2021년 독일 총선 동향과 전망 60
임한택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와 대응방안 65
이백순 미얀마 사태의 원인과 전망 70
이동휘 급변기의 국제질서 따라잡기: 끝나지 않은 미국대선의 후유증 74
김원태 코로나19 백신과 대(對 )개발도상국 WTO 강제접근권 발동 80
박희권 보편적 관할권의 확대와 인권보호 86
송금영 서아프리카 해적 퇴치를 위한 한국의 역할 90
김재범 북한 인권 및 인도적 문제의 접근: 이상과 현실 95
이서항 중국의 '세계적' 불법조업 문제 101
임한택 국제인권 규범과 한국 106
02 강대국 외교와 한반도 안보
김재범 정부대표의 베이징 동계올림픽 참석문제 113
박동선 오커스(AUKUS) 동맹 출범과 한국의 진로 120
장시정 나토의 ‘이중결의’가 우리의 핵무장 논의에 갖는 함의 127
김재범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에서의 러시아 역할 재조명
134국제관계 현안과 외교전략
연상모 중국의 패권주의를 경계한다 141
최병구 북한 비핵화를 위한 ‘중국 역할론’의 취약점 146
김재범 한ㆍ 미정상회담 결과와 후속조치 151
이강국 미ㆍ 중 패권경쟁과 문재인대통령 방미 성과 157
연상모 미국의 동아시아 정책과 한국 163
송금영 왕이 중국 외교부장의 중동6개국 순방 평가 170
박동선 미국이 돌아왔다, 한국도 깨어나라 175
정병국 명백하고 현존하는 안보위험: 영화 'The Patriot'가 제시하는 대처방향 180
임한택 한복, 김치, 아리랑, 그리고 중국 186
연상모 한국의 대중국 외교는 무엇이 문제인가? 190
엄석정 미국의 아시아 정책전망: Campbell 조정관 기고문을 중심으로 196
최병구 ‘균형외교'의 제약과 한계 202
최병구 한미동맹과 '국익론'의 문제점 208
03 기술혁명과 한국외교
연상모 중국의 경제 외교무기화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 217
조원호 한국의 기후변화정책과 중견국 공공외교 223
김재범 원자력의 국가적 중요성 재조명 231
조원호 탈정상과학 시대와 K방역 공공외교 238
김재범 국가안보와 인구문제 245
이강국 세계 포퓰리즘의 양태와 한국에 주는 교훈 252
조원호 한국의 정체성과 對 아프리카 공공외교 259
조원호 4차 산업혁명이 국제정치에 주는 함의: 복잡계 이론을 중심으로 266
이강국 백신외교와 한미동맹, 그리고 쿼드 참여 274
신맹호 미ㆍ 중간 기술전쟁과 한국의 선택 281
최병구 외교의 전문성과 전문가의 역할 287
조원호 4차 산업혁명의 부상과 글로벌 거너번스의 변환 2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