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91196902100
· 쪽수 : 254쪽
· 출판일 : 2021-03-02
목차
제1부 국제정치의 제문제
김영원 동해 병기노력 어디까지 왔나 _ 8
김원태 남북평화경제의 문제점과 전망 - WTO와 FTA를 중심으로 _ 13
조원호 문화제국주의의 해체가 다문화사회에 주는 함의 _ 19
최병구 D10 결성 움직임 _ 25
정해문 삼중고 시달리는 메콩강 _ 30
손선홍 독일통일 30주년이 한반도에 주는 의미 _ 35
연상모 중국인의 심리전과 협상술 이해하기 _ 39
연상모 중국의 공세적 외교정책은 변화할 수 있는가 _ 45
조원호 경제적 민족주의에 의한 글로벌 공급망 교란과 한국의 과제 _ 50
김영원 불법어업국 오명에서 벗어나자 _ 57
장시정 균형재정을 위한 독일식 헌법규정 신설을 제안한다 _ 62
이서항 북극문제와 강대국의 이해(利害) _ 67
장시정 독일식 연동형 비례대표제와 공직선거법 개정 _ 71
제2부 4강과 한반도 안보
이원형 한·일관계, 이대로는 안 된다 _ 78
송금영 SCO(상하이협력기구)의 20년 평가와 중·러 중심의 다자안보협력 전망 _ 83
김재범 바이든 시대의 한·미관계 _ 88
엄석정 미·중 패권경쟁과 한국의 대응 _ 94
최병구 한국과 쿼드(Quad) _ 99
임한택 종전선언, 무엇을 위한 종전선언인가? _ 103
연상모 중국은 대만에 무력을 사용할 것인가? _ 107
이강국 중국의 미국에 대한 지구전(持久戰) 전략과 한국의 대응 방향_ 112
김재범 2020년 미국선거 동향 _ 119
이강국 미국의 대중국 봉쇄정책과 한국의 선택 _ 125
이선진 미·중 해양 패권경쟁과 한국의 선택 _ 131
임한택 미·중 패권경쟁과 한국 _ 134
최병구 미·중 패권 경쟁과 한국의 외교전략 _ 138
연상모 일본을 직시하고 전략적 대응을 하자 _ 143
이강국 중국의 홍콩보안법 제정과 한국의 선택 _ 149
최병구 북한의 한국조롱, 무엇이 문제인가? _ 155
강근택 김정은이 칩거를 깨고 돌연 나타난 의도는 무엇인가? _ 159
최병구 북한 핵에 대한 서로 다른 인식 _ 163
김재범 트럼프 대통령 탄핵안 부결 이후의 한·미관계 _ 167
최병구 미·북 비핵화 협상은 왜 실패했나 _ 173
제3부 COVID-19 극복의 외교전략
김경근 포스트코로나시대의 국제질서와 한국의 대응 _ 180
한병길 페론이즘에서 우리가 얻어야 할 교훈 _ 185
조원호 공공외교의 새로운 흐름과 한국외교협회의 도전 _ 191
김재범 G11구상과 우리나라의 참여 가능성 _ 199
이동휘 급변기의 국제질서 따라잡기(1) - 포스트코로나시대 국제질서의 모습_ 205
이동휘 급변기의 국제질서 따라 잡기(2) - 미국대선, 국제질서 그리고 한국_ 211
연상모 코로나19 사태 이후 '세계화'의 미래 _ 216
박찬진 주목받는 여성 지도자들의 코로나 대응과 함의 _ 222
정병국 미 항공모함 루즈벨트호 함장 해직 드라마의 교훈 _ 227
이서항 코로나바이러스가 집어삼킨 핵비확산 논의 _ 233
송금영 코로나19 이후 중국의 일대일로 사업 전망 _ 236
송금영 국제사회의 에볼라 통제 경험과 전염병 대처 시사점 _ 241
엄석정 코로나19 확산과 중국의 통치체제 _ 245
최병구 주미대사 국감 발언 논란 _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