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97402432
· 쪽수 : 194쪽
· 출판일 : 2021-05-26
책 소개
목차
1. 서론 8
1.1. 방법론적 문제 15
1.2. 근대 성서비평 방법의 흐름 23
1.3. 수사비평 52
1.4. 성서 비평과 해석학 62
2. 신명기 연구사 72
2.1. 역사비평 이전의 신명기 연구사 73
2.2. 드베테 이후의 신명기 역사 연구사 77
2.3. 문학비평 이후의 연구사 96
3. 신명기 12장의 수사비평적 연구 98
3.1. 본문 비평 99
3.2. 신명기 12장의 문학적 특징 및 구조 120
3.3. 주석 및 신학적 탐구 143
4. 신명기 법전 내 12장의 위치와 신학 172
4.1. 신명기의 전체 구조 172
4.2. 신명기 법전 175
4.3. 신명기 법전 내 12장의 위치와 신학 178
5. 결론: 신명기 12장과 신명기 신학 183
참고 문헌 186
저자소개
책속에서
"통상적으로 주석학에서 말하는 해석학은, 쉽게 말해서, 저자의 의도를 말한다. 혹은 본문의 본래적 의미를 지시할 수도 있다. 그러나 해석학은 단순히 주석상의 결론에만 국한되는 활동이 아니다. 해석학의 본래 영역은 이해에 대한 메타언어이다. 다시 말해서 해석학의 본래 영역은 특정한 이해를 해독하려는 것도 아니고 그러한 모든 특정한 이해를 도출시킨 원인을 밝히려는 것도 아니며, 이러한 모든 이해라는 현상이 의미하는 바에 대한 것이다."(12쪽 중에서) "통상적으로 주석학에서 말하는 해석학은, 쉽게 말해서, 저자의 의도를 말한다. 혹은 본문의 본래적 의미를 지시할 수도 있다. 그러나 해석학은 단순히 주석상의 결론에만 국한되는 활동이 아니다. 해석학의 본래 영역은 이해에 대한 메타언어이다. 다시 말해서 해석학의 본래 영역은 특정한 이해를 해독하려는 것도 아니고 그러한 모든 특정한 이해를 도출시킨 원인을 밝히려는 것도 아니며, 이러한 모든 이해라는 현상이 의미하는 바에 대한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