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전자책 > 과학 > 의학.법의학의 이해 > 의학
· ISBN : 9791197451188
· 출판일 : 2022-05-20
목차
저자 이종훈 발표 치매치료법 SCI (E) 논문 6
성명서 - 알츠하이머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의약품 발표 7
저자 소개 12
서평: 저자와 서울대학교병원의 알츠하이머병 환자 치료법에 대한 설명서이다.Prolog 12
제1장 2017년 10월 나는 집문서 도둑놈이 되었다. 14
1.1 뇌출혈 사고를 겪은 큰 누나를 돌보시는 어머니 16
2. 2018년 6월 6남매는 치매와 전쟁을 시작했다. 16
2.1 소녀 시절로 되돌아가신 어머니 18
2.2 치매를 치료하는 의사들은 약물 부작용이 발생하면 다른 약물을 처방한다. 21
2.3 어머니가 드시던 치매 의약품 25
2.4 2016년 어머니에게 들었던 기억력 보충약을 2018년에 다시 만났다. 26
3 치매 국가책임제, 요양보호사, 어머니의 공격성 28
4. 심각했던 치매약의 부작용과 새로운 무기를 장착하다 36
4.1 치매에 걸리신 어머니와 걷다. 42
4.3 111년 사상 최장/최고 더위 기록을 경신하던 여름이었다. 48
4.4 나는 89세 어머니와 걷기로 했다. 49
5. 치매에 걸리신 어머니와 걷다 51
5.1 걷기의 효과와 운동의 뇌자극 효과 54
5.2 화서학파 집안의 어머니 57
5.3 어머니와 아버지 61
6. 2010년-2015년 서울 치매 예방·치료법 연구 66
6.1 치매증후군 예방과 치료법 연구의 시작은 소록도 한센인 데이터를 분석하며 시작했다. 69
6.2 치매 치료 경과 73
6.3 2010 - 2019년 연구 환경 77
6.4 전향코호트의 구성과 운영 80
6.5 경도인지장애 치료하기 84
6.6 2018년 10월 서울대학교병원 진료와 다시 복용하게 된 답손 86
6.7 다시 시작된 부작용 87
6.8 치매 예방·치료법의 단서를 발견하다. 88
6.9 치매에서 경도인지장애 상태로 돌아오다. 91
7. 치매증후군 연구 93
7.1 어머니의 치료 경과 93
7.2 답손의 약리 기전 93
7.3 치매 증후군이란 무엇인가 97
7.4 답손과 뇌기능 연구 98
8. 서울 전향코호트연구의 해석: 치매는 염증성 질환이다 101
8.1. 내 앞에 남녀 두 사람이 앉아있다. 101
8.2. 치매증후군에서 염증 가설을 세우다 105
9. 치매치료법에 대한 논쟁 미국, 일본, 한국의 논란과 특허 110
9.1 치매치료법에 대한 논쟁 110
9.2 일본의 한센인 연구와 답손의 효과에 대한 역학 조사 111
9.3 귀무가설 114
9.4 귀무가설과 전향코호트연구 논문을 통한 증명 117
9.5 치매 치료법에 대한 논쟁의 역사 120
9.6 치매는 염증성 질환이다. 123
10. 치매 국가책임제의 개선 정책(호그벡 마을, 요양보호사, 공공제약사, 가정집의사) 126
10.1 치매 국가책임제 126
10.2 치매국가책임제의 입법 과정 129
10.3 치매관리법의 대가 133
11. 치매증후군을 치료하다 137
11.1 치료의 적용과 소록도병원 137
11.2 치료 증례 (症例) 139
11.3 병원 주치의와 경찰과 의료사고 유족 142
11.4 이웃 한씨 아저씨 어머니 146
11.5 치매증후군을 치료하기 시작하다. 148
인용문헌 151
치매 치료법 발표 논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158
INTRODUCTION 159
RESULTS 162
DISCUSSION 171
STAR+METHODS 180
References 190
Supplemental information 195
Fig. S1, related to STAR Method | The Study Design of the Preventive and Treatment of Neuroinflammasomes in Sorokdo National Hospital 195
Fig. S2, related STAR Method | The histogram of age in the study cohort of Sorok Island 196
Fig. S3, related Fig.3 | T1:T2 Test 197
Fig. S4, related Fig.3 | T3:T4 Test 198
Fig. S5, related Fig.3 | T1:T3 Test 199
Fig. S6, related Fig.3 | T2:T3 Test 200
Fig. S7, related Fig.3 | T1:T4 Test 201
Table S1, related Fig.2 | AD (+) Prevalence in the dapsone (+/-) subgroup*. 202
Table S1-1, related Fig.2 |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Calculator: AD (+) Prevalence in the dapsone (+/-) subgroup. 204
Table S2, related Fig.2 | AD (-) Prevalence in the dapsone (+/-) subgroup. 207
Table S2-1, related Fig.2 |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Calculator: AD (+) Prevalence in the dapsone (+/-) subgroup. 208
Table S3, related Fig.1 | P-value in the Dapsone (+/-) subgroup. 211
Table S3-1, related Fig.1 | Effect Size Calculator* in the Dapsone subgroup 1, 2. 211
Table S3-2, related Fig.1 | Effect Size Calculator in the Dapsone subgroup 3, 4. 212
Table S4, related Fig.3 | Alzheimer's disease prevalence and the DDS prescription (+)/nonprescription (-) group from January 2007 to June 2020 213
Table S4-1, related Fig.3 | Alzheimer's disease prevalence and the DDS (+)/(-) group from January 2007 to June 2020 213
Table S4-2, related Fig.3 | Alzheimer's disease prevalence and the DDS (+)/(-) group from January 2007 to June 2020 215
Table S4-3 Post hoc Tukey honestly significant difference (HSD), related Fig.3 | Alzheimer's disease prevalence and the DDS (+)/(-) group from January 2007 to June 2020 216
Table S4-4, related Fig.3 | T1: DDS (+) AD (+)/T2: DDS (+) AD (-) TEST 217
Table S4-5, related Fig.3 | T3: DDS (-) AD (+)/T4: DDS (-) AD (-) TEST 218
Table S4-6, related Fig.3 | T1: DDS (+) AD (+)/T3: DDS (-) AD (+) TEST 219
Table S4-7, related Fig.3 | T2: DDS (+) AD (-)/T3: DDS (-) AD (+) TEST 220
Table S4-8, related Fig.3 | T1: DDS (+) AD (+)/T4: DDS (-) AD (-) TEST 221
Table S5, related to STAR METHOD | STROBE Statement 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