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프로젝트 관리 실무

프로젝트 관리 실무

(개정 7판)

안재성 (지은이)
제이에스캠퍼스
4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6,000원 -10% 0원
2,000원
34,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프로젝트 관리 실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프로젝트 관리 실무 (개정 7판)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컴퓨터 공학 > 컴퓨터공학/전산학 개론
· ISBN : 9791197471292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4-02-01

책 소개

프로젝트 관리자가 알아야 할 지식 영역을 계획과 수행을 중심으로 범위부터 공급에 이르는 PMBOK의 관리 프로세스를 실무 중심으로 설명하고 또한, 현장에서 실무 프로젝트관리자가 가장 어려워하는 외주 관리, 진척 관리, 변경 관리를 추가하여 체계적으로 구성한 책이다.

목차

Chapter-01. 프로젝트 관리 이해
1. 프로젝트 관리 실무
2. 프로젝트의 이해
2-1. 프로젝트 정의
2-2. 프로젝트 특징
2-3. 프로젝트의 사례
3. 프로젝트 관리란 무엇인가?
3-1. 프로젝트관리의 이해
3-2. 프로젝트관리의 필요성
3-3. 프로젝트관리의 3대 제약
3-4. 프로젝트 성공/실패
3-5. 프로젝트관리 조직 체계
3-6. 프로젝트 이해당사자
4. 프로그램, 포트폴리오
4-1. 프로그램(Program)
4-2. 포트폴리오(Portfolio)
5. 전사적 프로젝트관리(EPM : Enterprise Project Management)
5-1. 전사적 프로젝트관리(EPM)
5-2. EPM을 위한 프로젝트, 프로그램, 포트폴리오 관리
5-3. EPM의 핵심 3요소
6. 프로젝트 라이프사이클과 관리 프로세스
6-1. 프로젝트 라이프 사이클
6-2. 프로젝트 관리 라이프 사이클
6-3.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
6-4. 프로젝트관리 영역

PART 1. 프로젝트 관리 이해

Chapter-02. 프로젝트 관리자
1. 프로젝트 관리자
1-1. 프로젝트 관리자 정의
1-2. 프로젝트 관리자의 역할
1-3. 프로젝트 관리자 핵심 역량
1-4. 프로젝트 관리 리더십
2. 프로젝트 관리자의 업무
2-1. 주요 업무
2-2. 업무 지침

PART 2. 프로젝트 관리자 (Project Manager)

Chapter-03. 프로젝트 기획
1. 프로젝트 선정
1-1. 프로젝트 발생
1-2. 프로젝트 타당성 분석
1-3. 프로젝트 선정 기법
1-4. 사전검토회의 : VRB
1-5. 정보화 계획 수립
2. 프로젝트 제안
2-1. 프로젝트 발주
2-2. 제안서 작성의 이해
2-3. 제안서 작성 절차
3. 프로젝트 견적 사례 : IT프로젝트
3-1. 소프트웨어 사업대가 기준
3-2. 소프트웨어 규모 산정

PART 3. 프로젝트 기획

Chapter-04. 프로젝트 착수
1. 프로젝트 헌장
1-1. 프로젝트 헌장
1-2. 프로젝트 헌장의 구성 요소
1-3. 프로젝트 헌장의 의의
2. 프로젝트 관리 계획
2-1.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
2-2.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 구성
3. 프로젝트 관리 소프트웨어
3-1. 프로젝트 관리 소프트웨어
3-2. 프로젝트 관리 소프트웨어 주요 기능
3-3. 프로젝트 관리 소프트웨어의 선정

Chapter-05. 범위
1. 범위 계획의 단계
1-1. 범위(Scope)
2. 범위 계획
2-1. 범위기술서(Scope Statement)
3. 범위 정의
3-1. WBS(Work Breakdown Structure)
3-2. WBS 작성 절차
3-3. WBS 분할(Decomposition)
3-4. WBS 작성시 유의 사항
3-5. 산출물과 액티비티
3-6. 작업 패키지(Work package)의 적정 수준
3-7. 작업 패키지 적정 수준 평가 법칙
3-8. 인도물과 액티비티

Chapter-06. 일정
1. 일정 관리 계획
1-1. 일정 관리(Time Management)
1-2. 일정(Schedule)
1-3. 일정 기준
2. 공수 산정(Effort Estimation)
2-1. 산정 기법
2-2. 산정 요소들 간의 Trade off
2-3. 산정에 영향을 주는 외부적 요소
2-4. 공수 산정 방법
3. 일정 관리 Tool
3-1. 마일스톤(Milestone)
3-2. 간트 차트(Gantt Chart)
3-3. 프로젝트 네트워크 다이어그램(PND)
4. 주요 공정(Critical Path)
4-1. 주요 공정(Critical Path)
4-2. 주요 공정법의 특징 및 활용
4-3. 연관 관계(Dependency)
4-4. 주요 공정(Critical Path) 도출법
4-5. 자원 평준화(Resource Leveling)
4-6. 주요공정 연쇄법(Critical Chain Method)

PART 5. 프로젝트 계획

Chapter-07. 예산
1. 예산 관리 계획
1-1. 예산 관리 계획
1-2. 예산 관리 프로세스
2. 예산 산정 방법
2-1. 비용 산정(Cost Estimates)
2-2. 예산 산정 기법
2-3. 예산 할당
3. 프로젝트와 조직의 원가 구성
3-1. 프로젝트와 조직의 원가 구성
3-2. 프로젝트의 예산 항목
3-3. 조직의 원가 구성
4. 범위, 일정, 예산 계획 프로세스 구성

Chapter-08. 의사소통
1. 의사소통 계획
1-1. 의사소통 계획
1-2. 의사소통 프로세스
2. 의사소통 관리
2-1. 의사소통 관리 계획
2-2. 의사소통의 종류
2-3. 의사소통의 예
2-4.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PM의 역할
3. 프로젝트 회의와 공문
3-1. 회의의 목적과 유의사항
3-2. 프로젝트 회의
3-3. 효율적인 회의 기법
3-4. 회의록 작성 요령
3-5. 공문(Correspondence)의 의미
3-6. 공문 처리 절차

PART 6. 프로젝트 실행 및 통제

Chapter-09. 품질
1. 품질의 개요
1-1. 품질의 정의
1-2. 프로젝트의 품질 정책
1-3. 품질 목표
1-4. 품질 목표 정의시 고려할 사항
1-5. 품질 비용
1-6. 품질 측정
1-7. 현대적 품질관리
2. 품질 관리 프로세스
2-1. 품질 계획(Quality Management)
2-2. 소프트웨어 품질 관리
2-3. 품질 관리 프로세스
2-5. 품질 통제(QC) TOOL
3. CMMI
3-1. SW-CMM Level
3-2. SW-CMM KPA
3-3. CMMI(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

Chapter-10. 프로젝트 팀 관리(인력 관리)
1. 프로젝트 조직 구조
1-1. 프로젝트 조직 구조
1-2. 프로젝트 조직 구조의 설계
1-3. 팀 구성원의 선정
1-4. 팀 구성 절차
1-5. 착수 회의(Kick-off Meeting)
2. 프로젝트 팀 관리
2-1. 프로젝트 팀 관리의 목적
2-2. 팀원의 욕구 관리
2-3. 효과적인 Feedback을 위한 가이드라인
3. 팀 관리를 위한 PM Tool
3-1. Power of PM
3-2. 갈등 관리
4. 팀원 관리 프로세스
4-1. Human Resource Planning
4-2. Acquire Project Team
4-3. Develop Project Team
4-4. Manage Project Team

Chapter-11. 외주 관리
1. 외주 관리
1-1. 외주(Outsourcing)
1-2. 외주의 분류
1-3. 외주 업체 선정
1-4. 계약 절차
2. 외주 계약 형태
2-1. 계약의 형태
2-2. 계약 유형 결정시 고려 사항
3. 외주 계약시 문제점
4. 효율적인 외주 관리 기법
5. 하도급과 파견
5-1. 하도급법
5-2. 하도급법의 목적 및 적용대상
5-3. 하도급 거래의 규제내용
5-4. 도급과 파견의 구분

Chapter-12. 진척 관리
1. 프로젝트 수행 및 통제
1-1. 프로젝트 수행 및 통제 과정에서 PM의 임무
1-2. 프로젝트 진행 상황 추적에 대해 고려할 사항
2. 예산 통제(Cost Control)
2-1. 계획 대비 실적 차이(Variance)를 만들어내는 여러 요인들
2-2. 예비비(Contingency)
2-3. 비용 통제
2-4. 원가 변경 통제 시스템(Cost Change Control System)
2-5. 변경 요청(Change request)
3. 기성고(Earned Value Analysis)
3-1. 기성고 분석법의 도입 배경
3-2. 기성고 (Earned Value Analysis)
3-3. 기성고 분석을 위한 구성 요소
4. 일정 초과 관리
4-1. 일정 초과 원인
4-2. 일정 단축 기법(Duration Compression)

Chapter-13. 위험 관리
1. 프로젝트 위험(Project Risk)
1-1. 프로젝트 위험(Project Risk)
1-2. 위험의 3대 구성요소
1-3. 위험의 특징
2. 위험 관리(Project Risk Management)
2-1. 위험 관리(Risk Management)의 의미와 목적
2-2. 위험 관리의 필요성
2-3. 위험 관리의 효과
3. 위험 관리 프로세스
3-1. 위험 관리 프로세스

Chapter-14. 변경 관리
1. 변경관리 프로세스
1-1. 변경관리 프로세스
2. Scope Creep
2-1. Scope Creep의 발생 원인
2-2. Scope Creep의 방지
3. 변경 관리
3-1. 변경 관리와 PM의 고려 사항
3-2. 변경 관리 절차 및 조치 사항
4. 변경 관리 단계
4-1. 변경 필요성 인식과 평가
4-2. 범위, 일정, 예산에 미치는 영향 평가
4-3. 관련 조직과 개인에 대한 통보
4-4. 문서화와 적용
4-5. 범위, 일정, 예산에 대한 재산정

Chapter-15. 프로젝트 종료
1. 프로젝트 종료 프로세스
1-1. 프로젝트 종료 프로세스
2. 기성과 준공
2-1. 기성과 준공
2-2. 기성의 신청
3. 프로젝트 종료 절차
3-1. 프로젝트 종료 절차
4. 인수 회의 개최
4-1. 인수 회의의 목적
4-2. 인수 회의의 절차
5. 프로젝트 최종 리뷰
5-1. 프로젝트 최종 리뷰의 내용 및 실시 요령
5-2. 프로젝트 최종 리뷰 회의의 목적
6. Lessons Learned
6-1. Lessons Learned
6-2. Lessons Learned의 인식
용어 찾기

저자소개

안재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직 : PJT 대표 제이에스캠퍼스 PM부문 전임강사 고려사이버대학교 외래교수(담당교과 : 프로젝트 관리) Microsoft Office Project MVP (2007 ~ 2017, 10년 연속 수상) PMP, CISA 담당 교과목 : PM양성, PMP 자격증 대비반 프로젝트 리더십 PMO 실무 MS Project 실무 요구사항 관리 전문가 주요경력 : 삼성SDS 멀티캠퍼스 전임교수 한국생산성본부 PM부문 전임강사 일본과학기술연맹 소프트웨어 품질협회 PM분과 삼성 SDS SI프로젝트 수행 연구논문 : PM 관리도구에 관한 연구 - 한국 SI학회 춘계학술대회 EVMS(기성고) 연구 - 일본 과학기술연맹 소프트웨어 품질협회 PM 프로젝트 관리기법 연구 - 일본 과학기술연맹 소프트웨어 품질협회 저서 : 프로덕트 매니저 실무 프로젝트 관리 실무(개정7판) PMP Master Core(개정5판) PMP 실전문제 1500(개정5판) 쉽게 배우는 Microsoft Project 2019 쉽게 배우는 Jira Project 애자일 스크럼 쉽게 배우는 Jira Project 애자일 칸반 꿈을 이루는 기술 강의실적 :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 하이닉스 CJ그룹, LH공사, LS산전 삼성 SDI, 삼성전기, 삼성 SDS KT, KTDS, LG U+, LG전자, SK C&C GS건설, 삼성물산, 한국가스공사, 한전KPS 한국투자공사, 아모레퍼시픽, 교보정보통신 한국인삼공사, 넥슨코리아 외 다수
펼치기

책속에서

프로젝트 관리자의 역량은 교육에 의해서 향상될 수 있는 것인가? 아니면 실무 경험을 통해 얻게 되는 것인가?
프로젝트 현장 경험과 PMBOK(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의 이론을 바탕으로 실제 프로젝트에서 경험할 수 있는 일들을 CASE STUDY 로 전개하여 학습자가 실제 프로젝트 상황을 간접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 프로젝트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재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