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초등학교참고서 > 국어독해/어휘/논술 > 국어독해(초등)
· ISBN : 9791198144003
· 쪽수 : 246쪽
· 출판일 : 2023-01-07
책 소개
목차
* 문해력 테스트 안내
* 들어가는 말: 왜 이 책인가?
Part Ⅰ. 문장 구성과 의미 연결
1. 문장 구성 방법
1) 문장을 구성하는 데에는 정해진 규칙이 있다.
2) 정해진 규칙을 알면 복잡한 문장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문해력 1차시: 분석 능력] ‘문장의 구성 방법’ 테스트
2. 두 문장의 뜻을 이어주는 말(접속어)
1) 초등국어 5~6학년에는 쓰이는 8가지 종류의 이어주는 말
2) 두 문장의 관계를 보면 이어주는 말이 보인다.
3) 이어주는 말을 보면 그 다음 내용이 보인다.
[문해력 2차시: 분석 능력] ‘이어주는 말(접속어) 찾기’ 테스트
3. 모르는 낱말의 뜻 짐작하기
1) 모르는 낱말의 뜻을 짐작하는 3가지 방법
2) 모르는 낱말의 뜻을 짐작하는 습관을 들이면 좋은 이유 2가지
[문해력 3차시: 예측 능력] ‘모르는 낱말의 뜻 짐작하기’ 테스트
Part Ⅱ. 문장에서 사실과 의견 구분하기
1. 문해력의 시작, 사실과 의견 구분
2. 사실과 의견을 나타내는 문장은 따로 있다.
1) 사실을 나타내는 문장의 특징: 과거/현재의 일, 조사 결과
2) 의견을 나타내는 문장의 특징: 미래에 대한 소망, 느낌/판단
3. 사실과 의견을 구분하는 3가지 방법
4. 사실과 의견을 구분하는 데는 다 이유가 있다.
1) 기행문 쓰기가 쉬워진다.
2) 글 제목을 보고 설명하는 글인지 주장하는 글인지 예측할 수 있다.
3) 중심문장과 뒷받침문장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문해력 4차시: 분석 능력] ‘사실과 의견 구분하기‘ 테스트
Part Ⅲ. 초인지 1단계: 글 제목을 보고 글 종류 예측하기
1. 초등국어 5~6학년에서 다루는 3가지 글 종류
2. 글 제목 보고 설명과 주장을 예측하는 3가지 방법
3. 중심내용을 빠르게 파악하려면 글 제목 보고 글 종류를 예측하라.
[문해력 5차시: 예측 능력] ‘제목을 보고 설명과 주장 예측하기’ 테스트
Part Ⅳ. 초인지 2단계: 문단의 핵심내용 구별하기
1. 문단의 중심문장, 의견이나 새로운 사실
1) 문단, 여러 문장들이 모여 하나의 중심내용을 나타내는 글 단위
2) 중심내용을 나타내는 중심문장과 그것을 뒷받침하는 문장
3) 중심문장을 찾는 2가지 방법
4) 중심문장을 찾으면 그 다음에 나올 뒷받침문장이 보인다.
[문해력 6차시: 평가 능력] ‘중심문장 찾기’ 테스트
2. 문단의 전개 방식, 중심문장과 뒷받침문장의 서술 방식
1) 문단 전개 방식의 6가지 종류
(1) 원인과 결과 (2) 시간 순서 (3) 비교와 대조 (4) 열거(여러 가지 설명)
(5) 방법 (6) 주장과 이유
2) 글의 종류(체험, 설명, 주장)에 따라 전개 방식은 달라진다.
3) 중심문장을 보면 문단의 전개 방식을 짐작할 수 있다.
4) 문단의 전개 방식을 알면 초등 글쓰기의 절반을 알 수 있다.
[문해력 7차시: 평가 능력] ‘문단의 전개 방식’ 테스트
3. 문단 완성하기
1) 문단 완성 문제는 논리적 사고력을 테스트한다.
2) 문단 완성 문제를 푸는 3가지 방법
3) 논리적 사고력을 키우려면 문단 완성 문제를 풀어라.
[문해력 8차시: 분석 능력] ‘문단 완성하기’ 테스트
4. 문단의 문장 잇기(응집성)
1) 문단의 문장 잇기 원리, 알려진 정보와 새로운 정보의 연결
2) 문단의 문장 잇기 문제를 푸는 방법은 ‘원숭이 엉덩이는 빨개’에 다 들어있다.
3) 문단의 문장 잇기 원리를 알면 다음 문장의 주어가 보인다.
[문해력 9차시: 평가 능력] ‘문단의 문장 잇기(응집성)’ 테스트
5. 문단의 문장 배열순서(긴밀성)
1) 문단의 문장 배열순서 원리, 문장과 문장의 의미 연결
2) 문단의 긴밀성을 높이는데 필요한 4가지 조건
3) 문단의 문장 배열순서 문제를 푸는 3가지 방법
4) 문단의 문장 배열순서 원리를 알면 초등 글쓰기의 80%를 알 수 있다.
[문해력 10차시: 평가 능력] ‘문단의 문장 배열순서(긴밀성)’ 테스트
6. 문단의 중심문장과 뒷받침문장의 내용 일치(통일성)
1) 문단의 중심문장과 뒷받침문장의 내용 일치 원리, 하나의 내용으로 통일
2) 문단의 중심문장과 뒷받침문장의 내용 일치 문제를 푸는 2가지 방법
3) 초등 글쓰기에서 산만한 글이 많은 데에는 다 이유가 있다.
[문해력 11차시: 평가 능력] ‘중심문장과 뒷받침문장의 내용 일치(통일성)’ 테스트
Part Ⅴ. 초인지 3단계: 문단의 핵심내용 요약하기
1. 긴 문장을 짧게 요약하는 4가지 방법
2. 문단의 핵심내용 요약 방법은 글 종류와 전개 방식에 따라 다르다.
1) 주장하는 글의 핵심내용을 요약하는 방법
2) 설명하는 글의 핵심내용을 요약하는 방법
(1) 원인과 결과에 관한 핵심내용을 요약하는 방법
(2) 비교와 대조에 관한 핵심내용을 요약하는 방법
(3) 열거에 관한 핵심내용을 요약하는 방법
(4) 방법에 관한 핵심내용을 요약하는 방법
3) 기행문의 핵심내용을 요약하는 방법
3. 한 번에 기억하는 낱말은 겨우 7개, 그것으로 핵심내용을 요약하라.
[문해력 12차시: 평가 능력] ‘문단의 핵심내용 요약하기’ 테스트
Part Ⅵ. 글 제목 보고 예측하고, 구별하고, 요약하기
1. 글 제목 보고 글 종류를 예측하는 3가지 방법
2. 문단 핵심내용 구별 방법은 예측과 실제가 맞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3. 문단 핵심내용을 요약하는 6가지 방법
4. 초등국어 5~6학년 글 제목을 보고 예측하고, 구별하고, 요약하기
[문해력 13차시: 분석·예측·평가 능력] ‘글 제목 보고 예측, 구별, 요약하기’ 테스트
책속에서
정해진 규칙을 알면 복잡한 문장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문장 구성 방법을 알면 복잡한 문장을 간결하게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한 문장의 내용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꾸며 주는 말을 모두 생략하고 <누가 + 어찌하다>로 간단하게 요약할 수 있다.
“지구온난화로 겨울이 따뜻해지면서 겨울잠에 들어가지 않는 꿀벌들이 일교차가 심한 날에 추워서 죽는다.” → 꿀벌들이 죽는다.
이어주는 말(접속어)을 활용해서 모르는 낱말의 뜻 짐작하기
이어주는 말이 비슷한 내용을 이어주는 것인지, 아니면 반대 내용을 이어주는 것인지만 알아도 모르는 낱말의 뜻을 짐작하는 데 도움이 된다. 예를 들면, ‘그래서, 왜냐하면, 그리고, 또한’은 비슷한 내용을 이어주는 말이고, ‘그러나, 하지만, 그렇지만, 반면(에), 그런데’는 반대 내용을 이어주는 말이다.
(가) 그 선비는 매우 고지식했다. 반면에 그의 아내는 무척 융통성이 있었다.
→ ‘반면에’ 앞뒤 문장은 반대 내용을 나타낸다. ‘고지식했다’는 ‘융통성이 있었다’와 반대 의미임을 짐작할 수 있다
제목이 의문문일 때 설명하는 글과 주장하는 글 예측 방법
제목이 의문문으로 주어질 때 그 의문문이 ‘사실에 대한 설명을 요구하는 것’이면 그 제목은 사실을 나타내고, 글의 종류는 설명하는 글이 된다. 반면에, 제목이 의문문으로 주어질 때 그 의문문이 ‘개인 의견을 요구하는 것’이면 그 제목은 의견을 나타내고, 글의 종류는 주장하는 글이 된다.
(나) 내 귀는 건강한가요? <『초등국어』 5-2(나)> → 건강하다 / 건강하지 않다.
(라) 동물 실험을 없애도 괜찮을까? <『초등국어』 6-2(나)> → 괜찮다 / 안 괜찮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