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플라스틱 기초지식과 유효이용

플라스틱 기초지식과 유효이용

나근배 (지은이)
한국플라스틱기술정보센터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000원 -0% 0원
750원
14,250원 >
13,500원 -10% 2,500원
0원
16,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4개 11,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플라스틱 기초지식과 유효이용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플라스틱 기초지식과 유효이용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화학/금속/재료공학 > 금속재료/재료공학
· ISBN : 9791198507204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4-01-24

책 소개

그동안 우리가 막연하게 알고 있었던 플라스틱에 대해 플라스틱 개발역사와 우리나라에서 생산·사용되어온 과정, 제조방법과 공정, 플라스틱종류별 특성과 용도, 첨가제까지 정리한 책이다. 그동안 우리나라의 플라스틱산업 성장 과정과 통계자료도 함께 수록하였다.

목차

머리말 2 추천하는 글 6

1. 플라스틱의 발명과 역사
1. 플라스틱의 탄생 18 1
1.1 셀룰로이드의 탄생 18 1.2 석탄화학으로부터 나온 플라스틱 21 1.3 석유화학 시대로 21
2. 우리나라 플라스틱의 역사 24 2.1 셀룰로이드 제품의 태동(태동기) 24 2.2 열경화성 플라스틱 제품으로 전환(성장기) 25 2.3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등장(도약기) 26 2.4 열가소성 플라스틱 원료 생산(비약기) 27 2.5 생활의 획기적인 변화 28 2.6 산업을 발전시킨 플라스틱 33

2. 플라스틱의 종류와 특징
1. 플라스틱의 종류 36 2
1.1 열가소성 플라스틱(Thermo Plastic) 37 1.1.1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생산과정 37 1.1.2 석유화학 제품 체계도 39 1.1.3 열가소성 플라스틱별 개요와 용도 41 1.2 열경화성 플라스틱(Thermosetting Plastic) 52 1.2.1 열경화성 플라스틱이란? 52 1.2.2 열경화성 플라스틱별 개요와 용도 52 1.3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58 1.3.1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개발과 정의 58 1.3.2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종류 58 1.3.3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개발동향 59 1.3.4 주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특징과 용도 59 1.4 그 밖의 복합재료 62 1.4.1 그 밖의 복합 재료와 고성능 고기능성의 플라스틱 62

3. 플라스틱 성형재료의 개질과 첨가제
1. 플라스틱 성형재료의 개질과 첨가제 64 3
1.1 가소제 (Plasticizer) 65 1.2 열안정제 (Thermal Stabilizer) 67 1.3 대전방지제 (Antistatic agent) 68 1.4 도전제 (Electrically conductive agent) 68 1.5 착색제 (Colorant) 68 1.6 발포제 (Foam Agent) 69 1.7 산화방지제 (Antioxidant Agent) 70 1.8 자외선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Ultraviolet Stabilizing Agent) 71 1.9 활성제 (윤활제, Lubricant, Slip Agent) 71 1.10 난연제 (Fir retardant, Flame Retarder 72 1.11 유연성 개질계 73 1.12 기타 나노 사이즈 콤포지트 필러 첨가제 등 73

4. 플라스틱 성형(가공)방법
플라스틱 성형(가공)방법 74 4
▒ 열가소성 재료의 성형방법 75 ▒ 열경화성 재료의 성형방법 75
1. 열가소성 재료의 성형방법 76 1.1 압출성형 (Extrusion Molding) 74 1.2 사출성형 (Injection Molding) 84 1.3 중공(블로우)성형 (Blow Molding) 85 1.4 진공성형 (Thermo Forming) 87 1.5 캘린더 성형 (Calender) 89 1.6 압축성형 (Compression) 90 1.7 회전성형 (Rotational Molding) 90 1.8 기타 91
2. 열경화성 재료의 성형방법 92
2.1 압축성형 (Compression Molding) 92 2.2 이송성형 (Transfer Molding) 92 2.3 사출성형 (Injection Molding) 93 2.4 적층성형 (Laminated Molding) 93 2.5 주형성형 (Casting Molding) 93 2.6 FRP성형 (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s Molding) 94
3. 기타 플라스틱 가공 96 3.1 코팅 (coating) 96 3.2 래미네이팅 (laminating) 97 3.3 연포장(軟包裝) 가공 102 3.4 IT 및 광학용 필름 108

5. 플라스틱의 용도와 종류
1. 농업 • 수산업과 플라스틱 111 5
1.1 농업 111 1.2 수산업 114
2. 용기 • 포장재로서의 플라스틱 116 2.1 연포장 117 2.2 식품용기 119 2.3 화장품 • 세제류 용기 120 2.4 의약품 • 농약용기 121 2.5 기타플라스틱 용기 포장재 121
3. 가정 • 주방용품과 플라스틱 123
4. 토목 • 건축과 플라스틱 125 4.1 상 • 하수도 관 125 4.2 창틀 127 4.3 바닥 및 벽재 127 4.4 보온재 128
5. 전기 • 전자부품과 플라스틱 129 6. 운송수단과 플라스틱 (자동차, 비행기, 선박 등) 130 7. 의료 • 스포츠와 플라스틱 133 8. 문구 • 완구와 플라스틱 137 9. 기타 (조명, 가구, 호스, 잡화, 수족관, 접착제 • 합성섬유 등) 139

6. 우리나라의 플라스틱 산업
1. 1950년대 플라스틱 산업 143 6
2. 1960년대 플라스틱 산업 144 3. 1970년대 플라스틱 산업 146 4. 1980년대 플라스틱 산업 148 5. 2000년대 플라스틱 산업 160 6. 2010년대 이후 플라스틱 산업 172 7.
2010년대 이후 플라스틱 산업 196

7. 플라스틱 관련 환경정책
1. 우리나라 플라스틱 관련 환경정책 211 7
1.1 합성수지 부담금 제도 시행 211 1.2 플라스틱 사용 규제제도 시행 212 1.3 플라스틱 재활용기반구축사업 추진 215 1.4 합성수지 부담금이 플라스틱 부담금으로 전환 217 1.4.1 부담금 감면 제도운영 220 1.4.2 플라스틱 자발적 협약(V.A: Voluntary Agreement) 제도운영 222 1.5 플라스틱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 시행 (EPR) 224

8. 지구 온난화 문제와 플라스틱
1. 현황 230 8
2. 플라스틱 업계의 과제와 견해 231 ▒ 화석원료에 대해 231 ▒ 석유자원은 유한하므로 플라스틱 제품을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234 ▒ 플라스틱은 썩지 않기 때문에 공해 물질이다? 234 ▒ 플라스틱은 소각하면 유해 물질이 발생된다? 234
3. 바이오 플라스틱과 분해성 플라스틱 235 4. 플라스틱 가공업계 역할 238

9. 플라스틱과 재활용
1. 플라스틱 재활용 방법 241 9
2. 물질 회수 재활용 (Material Recycle) 242 2.1 우리나라의 물질 회수 재활용 246 2.2 일본의 물질 회수 재활용 247 2.3 서유럽의 물질 회수 재활용 248 2.4 독일에서의 물질 재활용 249
3. 연료화 (Thermal Recycle) 252 3.1 직접연소 252 3.2 고형연료화 (RDF: Refuse Derived Fuel) 253 3.3 우리나라의 에너지 회수 재활용 256 3.4 일본에서의 에너지 재활용 257 3.5 EU 지역의 에너지 회수 재활용 259
4. 화학적 재활용 (Chemical Recycle) 261 4.1 독일의 Chemical Recycle 261 4.2 일본의 Chemical Recycle 263 4.3 우리나라의 Chemical Recycle 270
5. 재활용제도와 플라스틱 재활용 271 5.1 독일의 플라스틱 재활용산업 동향 271 5.2 EU 주요국가의 재활용 시스템 275 5.3 일본의 플라스틱 재활용산업(제도·기술) 동향 278 5.4 우리나라의 재활용제도 280

10. 플라스틱은 안전한가?
1. 합성수지제 기구 또는 용기, 포장에 대한 기준 및 규격 283 2. 플라스틱 용기 등의 안전성에 대한 Q&A 284 3. 환경 호르몬 문제에 대한 Q&A 287 4. 염화비닐(PVC)과 환경 문제 296 5. 발포스타이렌(PSP)과 환경 문제 299 6. 플라스틱을 잘 사용하는 방법 302 7. PL(Positive List) 제도 304

11. 플라스틱제품 전 과정 환경 영향평가(LCA)
1. LCA (Life Cycle Assessment)란? 307 2. LCA와 LCI 분석 308
3. 청량음료 용기에 대한 전 과정 환경영향평가 분석 309 3.1 청량음료 용기의 환경영향평가 309 3.2 플라스틱제품 환경적 편익 분석 310
4. 플라스틱제품 환경영향평가(LCA) 동향 310

맺으며 312
참고문헌 317

저자소개

나근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저자소개 - 서울시 재활용육성자금 심사위원 - 플라스틱 재활용대책협의회(플라스틱 재활용기반구축자금) 운영 간사 - 플라스틱 고형연료화 시범공장 (KRS) 대표이사 - (현) (사)한국플라스틱산업진흥협회 상근부회장 연구 및 저서 - 산업자원부, 플라스틱 관련 환경규제제도와 재활용 활성화방안 연구용역 수행 (2000.1) - 플라스틱 바로알기 (2011.09.26.) - 우리나라 플라스틱 필름·시트 산업동향 (2016.02.11.)
펼치기

책속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