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수험서/자격증 > 국가전문자격 > 공인회계사
· ISBN : 9791198915221
· 쪽수 : 924쪽
· 출판일 : 2024-09-16
책 소개
목차
01 현금흐름과 자본예산 · 01-1
[기본 1-1] 재무적 현금흐름 01-21
[기본 1-2] 화폐의 시간가치응용과 재무관리 목표 01-26
[기본 1-3] 화폐의 시간가치를 이용한 연금계산 01-29
[기본 1-4] 연금계산과 화폐의 시간가치 01-31
[기본 1-5] 확실성하의 자본예산 01-33
[기본 1-6] 현금흐름 측정 01-35
[기본 1-7] 영업현금흐름과 NPV 01-37
[기본 1-8] 현금흐름 추정과 재무적 손익분기점 01-39
[기본 1-9] 재무손익분기점 01-41
[기본 1-10] 증분 현금흐름 추정과 재무손익분기 분석 01-43
[기본 1-11] 수익률과 실효이자율 01-47
[기본 1-12] 투자안의 경제성 분석방법 비교 01-50
[기본 1-13] 투자안의 경제성 분석 01-55
[기본 1-14] 복수의 IRR과 진정한 IRR 01-58
[기본 1-15] AEV와 응용 01-60
[기본 1-16] 반복투자의 경우 투자안선택 01-63
[기본 1-17] 최적투자시점의 결정 01-65
[기본 1-18] 반복투자와 교체시기결정 01-67
[기본 1-19] 명목현금흐름과 실질현금흐름 01-69
[기본 1-20] 비중립적 인플레이션하의 자본예산 01-71
[기본 1-21] 실질치로 계산한 자본예산 01-73
[기본 1-22] 인플레이션하의 자본예산(Ⅰ) 01-75
[기본 1-23] 인플레이션하의 자본예산(Ⅱ) 01-77
[기본 1-24] 투자안의 현금흐름 측정과 인플레이션을 고려한 타당성평가 01-79
[기본 1-25] 피셔의 분리가설(그림 분석) 01-82
[기본 1-26] 확실성하의 순현재가치 01-84
[기본 1-27] 소비투자결정(수식 분석) 01-87
[기본 1-28] 피셔의 소비투자의사결정 01-90
[기본 1-29] 이자율과 피셔의 분리정리 01-93
[심화 1-1] 현금흐름추정과 자본예산 01-97
[심화 1-2] 법인세하의 연간균등비용 01-99
[심화 1-3] 반복투자와 자본예산 01-101
[심화 1-4] 기회비용을 고려한 투자안의 평가 01-105
[심화 1-5] 확실성등가법을 이용한 투자안의 선택방법 01-108
[심화 1-6] 확실성등가법과 자본예산 01-111
[심화 1-7] 다기간 자본제약 01-115
[심화 1-8] 성장이 있는 경우 비중립적 인플레이션하의 자본예산 01-117
[심화 1-9] 반복투자와 인플레이션하의 자본예산 01-120
[심화 1-10] 인플레이션하의 연간균등비용 01-123
[심화 1-11] 균형시장이자율과 투자소비결정 01-125
[심화 1-12] 생산기회가 있는 경우 이자율계산 01-128
02 위험과 포트폴리오 이론 · 02-1
[기본 2-1] 위험프리미엄과 겜블의 비용 02-15
[기본 2-2] 기대효용과 전망이론 02-18
[기본 2-3] 자본예산과 지배원리 02-29
[기본 2-4] 포트폴리오 효과 02-31
[기본 2-5] 최소분산포트폴리오 02-34
[기본 2-6] 최소분산포트폴리오와 최적포트폴리오 02-37
[기본 2-7] 공매가 불가능한 경우의 포트폴리오 02-40
[기본 2-8] 시장포트폴리오 구성과 주식베타 02-43
[기본 2-9] 포트폴리오 구성주식수와 위험 02-46
[기본 2-10] 시장모형과 포트폴리오 이론 02-49
[기본 2-11] 시장모형 02-52
[기본 2-12] 마코위츠모형과 시장모형의 포트폴리오 분산 02-55
[기본 2-13] 시장모형과 초과수익률을 이용한 회귀분석 02-58
[기본 2-14] 포트폴리오와 베타 02-62
[기본 2-15] 시장모형과 분산투자효과 02-66
[기본 2-16] 시장모형과 β(베타) 02-69
[기본 2-17] 지배원리와 포트폴리오 선택 02-72
[심화 2-1] 기대효용이론 응용 02-75
[심화 2-2] 기대효용이론과 위험회피도(度) 02-78
[심화 2-3] 완전분산공분산모형과 시장모형 02-80
03 CAPM과 APT · 03-1
[기본 3-1] 분산 공분산 행렬과 포트폴리오의 구성 03-19
[기본 3-2] 기대현금흐름의 확률분포와 순현재가치의 변동성 03-23
[기본 3-3] CML선상의 포트폴리오와 개별자산의 비교 03-25
[기본 3-4] 자본배분선과 보상―변동성 비율 03-28
[기본 3-5] 자본배분선을 이용한 최적포트폴리오 구성, 제로베타 포트폴리오 03-32
[기본 3-6] 자본시장선과 시장포트폴리오 03-36
[기본 3-7] 무위험자산과 위험자산의 결합과 최적포트폴리오 03-40
[기본 3-8] 시장포트폴리오의 도출 03-44
[기본 3-9] 시장포트폴리오와 최적자산 03-47
[기본 3-10] 자본시장선과 최적포트폴리오 03-52
[기본 3-11] 자본배분선과 직선의 성질 03-56
[기본 3-12] CAPM 성립하의 자본시장선 03-60
[기본 3-13] 최적포트폴리오 선택과 자본시장선 03-63
[기본 3-14] CAPM과 포트폴리오 03-65
[기본 3-15] 자본시장선과 최적포트폴리오 03-68
[기본 3-16] 사전적 베타와 주식가치평가 03-70
[기본 3-17] 사후적 베타 추정 03-72
[기본 3-18] 사후적 베타와 자본비용 03-74
[기본 3-19] CAPM과 투자안 평가 03-76
[기본 3-20] 자본시장선과 증권시장선, 주식평가 03-79
[기본 3-21] CAPM과 주식투자위험 03-83
[기본 3-22] 주식 β와 CAPM, EVA 03-85
[기본 3-23] CAPM과 주식평가 03-87
[기본 3-24] 자본시장선과 베타, 제로베타포토폴리오 03-90
[기본 3-25] 자본시장선 평면과 특성 응용 03-94
[기본 3-26] 제로 베타 CAPM 03-100
[기본 3-27] 제로 베타 포토폴리오와 시장모형 03-103
[기본 3-28] 펀드평가 03-106
[기본 3-29] 사후적 베타와 성과평가 03-108
[기본 3-30] CAPM과 성과평가 지표 03-110
[기본 3-31] CAPM 실증분석 03-114
[기본 3-32] CAPM을 이용한 성과평가 분석 03-116
[기본 3-33] 최소분포트폴리오와 접점 포트폴리오 03-119
[기본 3-34] 정보비율에 의한 성과평가 03-123
[기본 3-35] 성과평가지표 03-126
[기본 3-36] 다요인 모형과 실증분석 03-129
[기본 3-37] Fama와 French의 3요인모형 03-132
[기본 3-38] 3요인 모형과 시장타이밍 능력 03-134
[기본 3-39] 차익거래 포트폴리오 구성 03-137
[기본 3-40] 다요인 모형과 포트폴리오의 위험 03-139
[기본 3-41] APT 이론 03-144
[기본 3-42] 차익거래 가격결정모형 03-146
[기본 3-43] 2요인 차익거래 가격결정모형 03-148
[기본 3-44] 단일요인 차익거래 가격결정모형 03-151
[심화 3-1] 자본시장선(CML)과 증권시장선(SML) 03-153
[심화 3-2] 접점 포트폴리오 방식 03-156
[심화 3-3] 마코위츠 모형 03-159
[심화 3-4] 시장포트폴리오와 ETF 추적오차 03-164
[심화 3-5] 제로베타 포트폴리오 03-168
[심화 3-6] 3주식으로 구성된 제로베타 포트폴리오 03-171
[심화 3-7] CAPM과 APT 03-174
[심화 3-8] 증권시장선과 APT 균형방정식 03-177
[심화 3-9] 요인 공분산과 요인의 CAPM 베타 03-180
[심화 3-10] 2요인모형과 마코비츠모형의 포트폴리오 분산 비교 03-183
[심화 3-11] 단일요인모형과 다요인모형 비교 분석 03-186
[심화 3-12] 다요인 차익거래가 가결결정모형과 이항옵션모형 03-189
[심화 3-13] CAPM과 합병평가 03-193
[심화 3-14] CAPM을 통한 합병평가 03-196
04 자본구조이론 · 04-1
[기본 4-1] 레버리지분석과 EBIT-EPS 분석 04-19
[기본 4-2] 체계적 위험의 분석 04-22
[기본 4-3] 자본비용과 주주잉여현금흐름접근법 04-24
[기본 4-4] 원천별 자본비용과 WACC 04-28
[기본 4-5] MM이론 및 MM의 현실적용 04-32
[기본 4-6] MM의 수정명제 04-35
[기본 4-7] 자본구조 변화와 자본비용 04-38
[기본 4-8] 자본구조와 기업가치 04-41
[기본 4-9] 법인세하의 자본구조와 기업가치 04-45
[기본 4-10] 기업재무 각론 04-48
[기본 4-11] 자본구조변경과 자본비용 04-50
[기본 4-12] 부채비율의 변화와 기업가치 및 자본비용 04-52
[기본 4-13] MM이론과 자본구조 04-55
[기본 4-14] MM의 모형과 차익거래 04-58
[기본 4-15] 순이익접근법과 차익거래 04-61
[기본 4-16] 법인세하의 MM모형 차익거래와 EBIT EPS 분석 04-63
[기본 4-17] 부채기업간 자가레버리지를 이용한 차익거래-기본명제 04-66
[기본 4-18] 수정명제와 부채기업간의 차익거래 04-68
[기본 4-19] MM이론과 법인세 변화 효과 04-71
[기본 4-20] 개인소득세와 기업가치 04-74
[기본 4-21] 파산비용과 자본구조 04-76
[기본 4-22] 자본구조이론과 파산비용이론 04-79
[기본 4-23] 파산비용과 자본구조이론 04-81
[기본 4-24] 자금조달과 부채의 대리비용 04-84
[기본 4-25] 부채의 대리비용 04-87
[기본 4-26] 균형부채이론과 부채비율 04-90
[기본 4-27] 밀러의 균형부채이론 04-93
[기본 4-28] 유효법인세율을 고려한 부채조달 04-97
[기본 4-29] 신호균형이론 04-100
[기본 4-30] 비대칭적 정보와 주주간 대리비용 04-102
[기본 4-31] 신호균형이론 04-105
[기본 4-32] 비대칭정보하에서 자본조달순위결정 04-109
[기본 4-33] 최적투자결정 04-113
[심화 4-1] 자본구조변화와 차익거래 04-116
[심화 4-2] MM이론과 차익거래 04-119
[심화 4-3] 부채기업간의 차익거래 04-122
[심화 4-4] 규모가 다른 두 기업의 차익거래 04-125
[심화 4-5] 개인소득세와 차익거래 04-127
[심화 4-6] 파산비용과 자본비용 04-130
[심화 4-7] 파산위험과 최적자본구조 04-132
[심화 4-8] 투자안의 선택과 대리비용 04-136
[심화 4-9] 부채의 대리비용·위험투자선호유인 04-140
[심화 4-10] 채권자간의 대리비용 04-143
[심화 4-11] 후순위채와 대리비용 04-145
[심화 4-12] 정보의 비대칭성과 과소투자유인 04-149
[심화 4-13] 균형부채이론 04-153
[심화 4-14] 상태선호이론의 응용과 자본구조이론 04-158
[심화 4-15] 부채증가와 현금배당 04-162
[심화 4-16] 성장기업의 최적자본구조 04-164
05 불확실성하의 자본예산 · 05-1
[기본 5-1] WACC법, APV법, FTE법 05-12
[기본 5-2] 주주가치평가법 05-14
[기본 5-3] 조정현가법을 이용한 투자안의 평가 05-17
[기본 5-4] 현금흐름과 기업가치평가 05-21
[기본 5-5] 기업의 위험과 경제성평가 05-23
[기본 5-6] MM의 자본구조이론과 신규투자 05-26
[기본 5-7] β와 신규사업평가 05-28
[기본 5-8] 성장기업의 신규투자와 자본예산 05-31
[기본 5-9] 투자안의 선택과 유상증자 05-34
[기본 5-10] 반복투자와 자본예산 05-38
[기본 5-11] 내용연수와 위험이 다른 투자안의 평가 05-40
[기본 5-12] 조정현가법과 부채사용효과 05-43
[기본 5-13] 현금흐름 추정과 조정현가법 05-45
[기본 5-14] 내용연수가 유한한 투자안의 가치평가 05-48
[기본 5-15] 조정현가법과 부채사용효과 05-51
[기본 5-16] 의사결정수모형(Ⅰ) 05-53
[기본 5-17] 의사결정수모형과 NPV(Ⅱ) 05-56
[기본 5-18] 조정현가법과 의사결정수모형 05-58
[기본 5-19] 위험조정할인율법과 확실성등가법 05-63
[기본 5-20] CAPM을 이용한 확실성등가법 05-66
[기본 5-21] 확실성등가법을 이용한 신규투자평가 05-70
[기본 5-22] 확실성등가법 05-72
[기본 5-23] 현금흐름 베타와 수익률베타 05-74
[기본 5-24] 현금흐름을 이용한 확실성등가법 05-77
[기본 5-25] 확실성등가법과 이자비용절세효과 05-81
[기본 5-26] 시점간 현금흐름을 고려한 신규투자안의 평가 05-86
[기본 5-27] 위험조정할인율법과 CEQ법을 이용한 기업가치평가 05-88
[기본 5-28] 이자비용절세효과 반영과 확실성등가법 05-91
[심화 5-1] 목표자본구조하의 WACC법, APV법, FTE법 비교 05-95
[심화 5-2] 조달레버리지하의 WACC법, APV법, FTE법 비교 05-100
[심화 5-3] 투자안 평가 05-103
[심화 5-4] 자본비용과 사채차환 05-106
[심화 5-5] 신규투자안평가와 기업가치 05-111
[심화 5-6] 신규사업 분할과 유상증자와 주주부 05-114
[심화 5-7] 조정현가법과 자본예산 05-120
[심화 5-8] 조정현가법 적용 05-123
[심화 5-9] 부채비율을 유지하는 성장기업가치평가 05-127
[심화 5-10] 이자비용절세효과와 할인율 05-131
[심화 5-11] 의사결정수모형 05-135
[심화 5-12] 의사결정수와 민감도분석 05-139
[심화 5-13] 총 위험과 체계적 위험 05-142
[심화 5-14] 위험조정할인율법과 확실성등가법의 비교 05-145
[심화 5-15] 확실성등가법을 이용한 신규투자안평가 05-147
[심화 5-16] 복제포트폴리오를 이용한 투자안의 평가 05-150
06 주식과 기업가치평가 · 06-1
[기본 6-1] 재투자수익률과 NPVGO 06-15
[기본 6-2] 성장률하의 주식가치 평가 06-19
[기본 6-3] 주식가치와 성장기회의 순현가 06-22
[기본 6-4] 주식가치평가와 NPVGO 06-25
[기본 6-5] 항상성장모형과 PER NPVGO 06-27
[기본 6-6] 항상성장모형과 무성장모형의 PER 06-29
[기본 6-7] 성장기회가 있는 기업의 주식가치 평가 06-31
[기본 6-8] 2단계 주식가치모형 06-34
[기본 6-9] ROE 분석 06-37
[기본 6-10] 상대평가모형을 이용한 주식가치평가 06-40
[기본 6-11] 확실성등가법과 기업가치 06-42
[기본 6-12] 현금흐름과 재무비율분석 06-46
[기본 6-13] 재무적 현금흐름과 MM모형 06-51
[기본 6-14] 기업잉여현금흐름과 주주잉여현금흐름 06-54
[기본 6-15] 현금흐름과 일정 성장형 기업가치평가 06-57
[기본 6-16] FCFF와 FCFE 06-61
[기본 6-17] DCF모형과 기업가치 평가 06-64
[기본 6-18] FCFF와 조정현가법 06-67
[기본 6-19] β의 가법성과 기업가치평가 06-72
[기본 6-20] EVA와 MVA 06-75
[기본 6-21] 경제적 부가가치 모형과 기업잉여현금흐름 06-79
[기본 6-22] EVA, RIM, FCFE 상호비교 06-83
[기본 6-23] 현금흐름 추정과 주식가치평가 06-85
[기본 6-24] 추정손익계산서와 투자안의 평가 06-91
[심화 6-1] ROE분석과 기업가치평가 06-94
[심화 6-2] 3단계 모형과 기업가치평가 06-97
[심화 6-3] 초과이익모형과 PER 06-101
[심화 6-4] 추정재무제표와 주식가치평가 06-103
[심화 6-5] PSR과 기업가치평가 06-106
[심화 6-6] 2단계 모형의 주식가치평가와 PER, PBR, PSR 06-109
[심화 6-7] EV|EBITDA 모형 06-113
[심화 6-8] EVA의 가법성과 성장하의 EVA 06-116
[심화 6-9] 3단계 배당평가모형과 PER, PBR, PSR 06-121
[심화 6-10] 재무적 현금흐름과 현금흐름표 06-123
[심화 6-11] 영업활동접근법과 재무활동접근법 06-126
[심화 6-12]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과 영업현금흐름 06-129
[심화 6-13] 기업잉여현금흐름과 주주잉여현금흐름의 계산 06-131
[심화 6-14] 주주잉여현금흐름과 주식가치평가 06-134
[심화 6-15] FCFE & FCFF와 기업가치평가 06-138
[심화 6-16] 2단계 FCFE 모형 06-141
[심화 6-17] FCFF 2단계 모형과 이자비용 절세효과 06-143
[심화 6-18] 배당평가모형과 FCFE & FCFF 06-146
[심화 6-19] 3단계 FCFE와 주식가치평가 06-149
[심화 6-20] 3단계 FCFF 모형 06-152
[심화 6-21] 필요외부금융 06-155
[심화 6-22] 내부성장률과 유지가능성장률 06-161
부록 · 1
[부표 1] 현재가치계수(PVIF) 2
[부표 2] 연금의 현재가치계수(PVIFA) 3
[부표 3] 미래가치계수(CVIF) 4
[부표 4] 연금의 미래가치계수(CVIFA) 5
[부표 5] 표준정규분포표(0에서 Z까지의 누적확률) 6
[부표 6] 누적정규분포표 7